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20221226 ~ 20230101)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12월 26일 월요일부터 01월 01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다운로더가 48.8%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백도어가 24.2%, 이어서 인포스틸러 18.4%, 코인마이너 4.8%, 랜섬웨어 3.4%, 마지막으로 뱅킹 악성코드가 0.5%로 집계되었다.

Top 1 – SmokeLoader

Smokerloader는 인포스틸러 /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며 익스플로잇 킷을 통해 유포된다. 이번 주는 33.8%를 차지하며 1위에 올랐다. 익스플로잇 킷을 통해 유포되는 다른 악성코드와 마찬가지로 MalPe 외형을 갖는다.

실행되면 explorer.exe에 자기 자신을 인젝션하게 되고, 실제 악성 행위는 이 explorer.exe에 의해 수행된다. C&C 서버에 접속한 후 명령에 따라 추가 모듈을 다운로드할 수도 있고, 또 다른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추가 모듈의 경우 다운로드되는 모듈 대부분은 인포스틸러 기능을 담당하며, 자식 프로세스로 explorer.exe를 생성하여 모듈을 인젝션하여 동작시킨다.

Smoke Loader와 관련된 분석 보고서는 아래의 ASEC 리포트 내에 존재한다.

[PDF] ASEC REPORT vol.101_한층 업그레이드된 최신판 스모크로더(Smoke Loader), 전격해부

다음은 확인된 C&C 서버 주소들이다.

  • vatra[.]at/tmp
  • spbdg[.]ru/tmp
  • skinndia[.]com/tmp
  • cracker[.]biz/tmp
  • piratia-life[.]ru/tmp
  • piratia[.]su/tmp
  • potunulit[.]org
  • hutnilior[.]net
  • bulimu55t[.]net
  • soryytlic4[.]net
  • novanosa5org[.]org

Top 2 –  Redline

RedLine 악성코드는 22.6%로 2위를 기록하였다. RedLine 악성코드는 웹 브라우저, FTP 클라이언트, 암호화폐 지갑, PC 설정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하며 C&C 서버로 부터 명령을 받아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BeamWinHTTP와 마찬가지로 S/W 크랙 다운로드로 위장하여 유포되는 경우가 많다.

다음은 확인된 RedLine의 C&C 서버 도메인이다.

  • 45.15.156[.]155:80
  • 34.125.68[.]133:80
  • 159.223.106[.]156:81
  • 185.242.86[.]118:46875
  • 79.137.204[.]112:80


Top 3 –  BeamWinHTTP

11.6%로 3위를 차지한 BeamWinHTTP는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PUP 설치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를 통해 유포되는데, BeamWinHTTP가 실행되면 PUP 악성코드인 Garbage Cleaner를 설치하고, 동시에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다음은 확인된 C&C 서버 주소이다.

  • 45.139.105[.]171


Top 4 –  Vidar

이번주는 Vidar가 7.2%를 차지하며 4위를 차지하였다. Vidar는 대표적인 인포스틸러 /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Vidar는 웹 브라우저, FTP, 코인 지갑 주소, 스크린샷 등의 인포스틸러 기능 외에도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기능이 존재한다.

아래의 블로그 처럼 주기적으로 국내 사용자 타겟의 스팸 메일로 유포 중이며, 스팸 메일의 첨부 파일에 존재하는 압축 파일 내부에 다른 랜섬웨어와 함께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외에도 최근에는 특정 게임 플랫폼을 악용하여 유포 중이다.

다음 Vidar 악성코드의 정보 유출 기능에 대한 분석 정보이다.

해당 기간 동안 사용된 C&C 주소는 다음과 같다.

  • hxxp://195.201.45[.]53/1707
  • hxxp://116.202.6[.]206/1707
  • hxxp://142.132.236[.]84/1515
  • hxxp://49.12.8[.]228/1839
  • hxxp://157.90.244[.]205/400
  • hxxp://116.202.4[.]70/634


Top 5 – Tofsee

이번주에는 Tofsee가 6.3%로 5위를 차지하였다. Tofsee는 스팸봇 악성코드로서 현재 국내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공격은 확인되지 않지만 해외에서는 과거부터 꾸준히 유포되고 있다. 참고로 SmokeLoader, Vidar 인포스틸러, Stop 랜섬웨어 등과 동일한 패커 외형을 갖는 것으로 보아 주로 상용 소프트웨어의 크랙, 시리얼 다운로드 페이지로 위장한 악성 사이트에서 유포되는 악성코드들을 통해 설치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Tofsee는 모듈 기반의 악성코드로서 감염 이후 C&C 서버로부터 명령을 받아 다양한 모듈들을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 설치 가능한 모듈들로는 코인 마이닝, 계정 정보 탈취, DDoS 공격 등이 있다.

다음은 확인된 C&C 서버 주소이다.

  • svartalfheim[.]top:443
  • jotunheim[.]name:443

연관 IOC 및 관련 상세 분석 정보는 안랩의 차세대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AhnLab TIP’ 구독 서비스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0 0 votes
별점 주기
Subscribe
Notify of
guest

0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