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분석팀은 최근 RedLine 인포스틸러 악성코드가 크랙 프로그램 다운로드 링크로 위장한 유튜브 사이트를 통해 유포 중인 것을 확인하였다. RedLine은 정보 유출 악성코드로서 웹 브라우저 및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계정 정보나 스크린샷, 코인 지갑 주소 등 사용자 정보를 C&C 서버에 유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RedLine 악성코드가 최초로 확인된 것은 2020년 3월경으로 코로나 바이러스 이슈를 이용한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된 것이 첫번째 사례이다. 이후부터 꾸준히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포되고 있으며 그 비율은 2020년 하반기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유포 경로로는 Smoke Loader나 BeamWinHTTP 같이 다른 악성코드에 의해 다운로드되는 방식이 있으며, 크랙 프로그램으로 위장하여 사용자가 검색을 통해 악성코드로 인지하지 못한 형태로 설치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크랙과 같은 불법 프로그램 검색을 통해 유포되는 방식은 과거부터 존재하였으며, 대표적인 사례로는 블루크랩, Vidar, CoinLoader 등이 있다. 여기에서는 일반적인 피싱 페이지가 아닌 유튜브를 통한 유포 사례를 소개한다.

사용자가 다음과 같이 구글에 작곡 프로그램의 크랙 버전을 검색할 경우 다양한 피싱 사이트들이 검색 결과로 보여 진다. 검색 결과 중에는 대부분이 피싱 사이트 페이지지만 아래와 같이 유튜브 페이지도 존재한다.

해당 링크를 클릭할 경우 공격자가 업로드한 크랙 프로그램 설치 방법과 관련된 동영상 및 아래에 링크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밀번호가 같이 적혀진 것을 통해 암호 걸린 파일을 다운로드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참고로 시간이 지나 위의 구글 검색 결과에는 Samer Khafaga 결과가 존재하지 않지만, 현재 검색 결과 보여지는 링크들 또한 여기서 소개된 사례와 동일하다)
– Youtube 링크 : hxxps://www.youtube[.]com/watch?v=Kb_Wl2OBr1U

사용자가 해당 링크를 클릭할 경우 아래와 같은 다운로드 페이지가 확인된다.
– 유튜브에 존재하는 다운로드 링크 : hxxps://cutt[.]ly/abletoncrack
– 다운로드 페이지 : hxxps://gofile[.]io/d/SaKOnY

이름은 “Ableton Activator v.2.7.rar”이며 아래의 Download 버튼 클릭 시 암호 걸린 압축 파일이 다운로드 받아진다. 압축 해제 비밀번호는 유튜브에서 확인 가능한 “4321”이다. 참고로 이렇게 비밀번호를 거는 이유는 진단을 회피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정된다.
– 압축 파일 다운로드 링크 : hxxps://srv-store3[.]gofile.io/download/SaKOnY/Ableton%20Activator%20v.2.7.rar
위의 링크를 업로드한 공격자 Samer Khafaga는 이 영상을 포함해 3개의 영상을 업로드하였으며, 동일한 크랙 프로그램 하나를 제외하면 추가적으로 FL Studio라는 프로그램에 대한 크랙도 업로드되어 있다. 해당 사례의 경우 다음과 같은 링크를 갖는다.
– Youtube 링크 : hxxps://www.youtube[.]com/watch?v=KQTYsyrtJiY
– 유튜브에 존재하는 다운로드 링크 : hxxps://cutt[.]ly/flsactivator
– 다운로드 페이지 : hxxps://gofile[.]io/d/M0AHEs
– 압축 파일 다운로드 링크 : hxxps://srv-store6.gofile[.]io/download/M0AHEs/FLActivator%20v.3.6.rar

2개의 압축 파일을 확인해 보면 Readme.txt와 info.txt만 다를 뿐 동일한 해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악성코드는 Ableton Activator v.2.7.exe 및 FLActivator v.3.6.exe이다.

해당 실행 파일들은 다음과 같은 아이콘과 등록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리고 폴더에 함께 존재하는 DLL들과 텍스트 파일들 때문에 사용자는 이 프로그램을 악성코드라 생각하지 못하고 실행시킬 수 있다.

이 Ableton Activator v.2.7.exe 와 FLActivator v.3.6.exe 가 RedLine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이며 닷넷 외형의 패커를 이용해 패킹되어 있다. 이 또한 암호 걸린 압축 파일처럼 진단을 우회하기 위한 목적이며 실행 이후에는 자식 프로세스를 재귀 실행한 후 원본 RedLine 악성코드를 인젝션하여 자식 프로세스에서 악의적인 행위가 수행된다.
RedLine은 다양한 사용자 정보 탈취 후 종료 및 자가 삭제되지만, 삭제되기 이전에 C&C 서버로부터 명령을 받아 외부에서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악성코드가 다운로드될 수 있기 때문에 불법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는 행위를 지양해야 하며, 정품 소프트웨어 사용을 생활화하고 의심스러운 웹사이트나 P2P 이용은 자제해야 한다. 또한 V3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여 악성코드의 감염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신경써야 한다.
[파일 진단]
Trojan/Win32.RedLine.C4250805 (2020.12.06.01)
[행위 진단]
Malware/MDP.Behavior.M3108
[IOC]
– RedLine 인포스틸러 : 439fe5699fa97546a36332a9480904ad
– Youtube 링크 : hxxps://www.youtube[.]com/watch?v=Kb_Wl2OBr1U
– 유튜브에 존재하는 다운로드 링크 : hxxps://cutt[.]ly/abletoncrack
– 다운로드 페이지 : hxxps://gofile[.]io/d/SaKOnY
– 압축 파일 다운로드 링크 : hxxps://srv-store3[.]gofile.io/download/SaKOnY/Ableton%20Activator%20v.2.7.rar
– Youtube 링크 : hxxps://www.youtube[.]com/watch?v=KQTYsyrtJiY
– 유튜브에 존재하는 다운로드 링크 : hxxps://cutt[.]ly/flsactivator
– 다운로드 페이지 : hxxps://gofile[.]io/d/M0AHEs
– 압축 파일 다운로드 링크 : hxxps://srv-store6.gofile[.]io/download/M0AHEs/FLActivator%20v.3.6.rar
Categories:악성코드 정보
[…] [ASEC 블로그] 유튜브를 통해 유포 중인 RedLine 인포스틸러 […]
[…] [ASEC 블로그] 유튜브를 통해 유포 중인 RedLine 인포스틸러 […]
[…] 지원하는 기능이다. 구체적으로 AgentTesla[2]나 SnakeKeylogger[3], RedLine[4] 스틸러는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을 경우 주기적으로 스크린샷을 캡쳐하여 […]
[…] AgentTesla[2] や SnakeKeylogger[3]、RedLine[4] Steal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