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20221219 ~ 20221225)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12월 19일 월요일부터 12월 25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인포스틸러가 37.3%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다운로더가 35.7%, 백도어 23.9%, 랜섬웨어 3.1%로 집계되었다.


Top 1 – BeamWinHTTP

23.3%로 1위를 차지한 BeamWinHTTP는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PUP 설치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를 통해 유포되는데, BeamWinHTTP가 실행되면 PUP 악성코드인 Garbage Cleaner를 설치하고, 동시에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다음은 확인된 C&C 서버 주소이다.

  • 45.139.105[.]171/itsnotmalware/count.php?sub=NOSUB&stream=mixone&substream=mixtwo
  • 45.139.105[.]171/itsnotmalware/count.php?sub=/mixtwo&stream=mixtwo&substream=mixinte
  • 45.139.105[.]171/itsnotmalware/count.php?sub=/mixtwo&stream=mixone&substream=mixazed
  • 45.9.20[.]13/partner/loot.php?pub=mixone
  • ppp-gl[.]biz/stats/1.php?pub=/mixone
  • ppp-gl[.]biz/check.php?pub=mixone


Top 2 – AgentTesla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인 AgentTesla가 16.1%로 2위를 기록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유형의 악성코드이다.

수집한 정보 유출 시 메일 주로 메일 즉 SMTP 프로토콜을 활용하지만 FTP나 Telegram API 등을 사용하는 샘플도 존재한다. 최근 샘플들의 C&C 정보는 아래와 같다.

  • SMTP Server : mail.galaxybreakdown.co.za
    User : accounts@galaxybreakdown.co.za
    Password : e***9
    Receiver : teahyunkoo@gmail.com
  • SMTP Server : smtp.yandex.com
    User : alma.yang2@yandex.ru
    Password : graceofgod@amenn
    Receiver : alma.yang2@yandex.ru
  • SMTP Server : host39.registrar-servers.com
    User : Account@nachnegg.net
    Password : p****nt 1***5
    Receiver : Account@nachnegg.net
  • SMTP Server : us2.smtp.mailhostbox.com
    User : support@habitatbreks.org
    Password : Hu***2
    Receiver : support@habitatbreks.org

대부분 송장(Invoice), 선적 서류(Shipment Document), 구매 주문서(P.O. – Purchase Order) 등으로 위장한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기 때문에 파일명도 이와 관련된 단어 또는 문장이 사용된다. 확장자의 경우 pdf, xlsx와 같은 문서 파일로 위장한 샘플도 다수 존재한다.

  • ORDER ENQIRY #093727664.exe
  • PO 29388-0321.exe
  • SCANNED COPY.exe
  • DATA SHEET.exe
  • INWARDREMITANCE48990021337565990_pdf.exe
  • UPDATED SOA.exe


Top 3 – Tofsee

이번주에는 Tofsee가 14.6%로 3위를 차지하였다. Tofsee는 스팸봇 악성코드로서 현재 국내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공격은 확인되지 않지만 해외에서는 과거부터 꾸준히 유포되고 있다. 참고로 SmokeLoader, Vidar 인포스틸러, Stop 랜섬웨어 등과 동일한 패커 외형을 갖는 것으로 보아 주로 상용 소프트웨어의 크랙, 시리얼 다운로드 페이지로 위장한 악성 사이트에서 유포되는 악성코드들을 통해 설치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Tofsee는 모듈 기반의 악성코드로서 감염 이후 C&C 서버로부터 명령을 받아 다양한 모듈들을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 설치 가능한 모듈들로는 코인 마이닝, 계정 정보 탈취, DDoS 공격 등이 있다.

다음은 확인된 C&C 서버 주소이다.

  • svartalfheim[.]top:443
  • jotunheim[.]name:443


Top 4 – Formbook

Formbook 악성코드는 7.5%로 5위를 기록하였다.

다른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들과 동일하게 대부분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며 유포 파일명도 유사하다.

  • Invoice B72418M pdf.exe
  • DHL Invoice Notification_pdf.exe
  • AWB 9899691012 Clearance Doc_pdf.exe
  • DKU0021176pdf.22.12.2022pdf.exe
  • Payment Invoice 0102322.exe
  • New Price Confirmation.exe

Formbook 악성코드는 현재 실행 중인 정상 프로세스인 explorer.exe 및 system32 경로에 있는 또 다른 정상 프로세스에 인젝션함에 따라 악성 행위는 두 정상 프로세스에 의해 수행된다. 웹 브라우저의 사용자 계정 정보 외에도 키로깅, Clipboard Grabbing, 웹 브라우저의 Form Grabbing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할 수 있다.

다음은 확인된 Formbook의 C&C 서버 주소이다.

  • hxxp://www.crtinha[.]xyz/s20g/
  • hxxp://www.eroptik[.]online/j17j/
  • hxxp://www.gawiul[.]xyz/mi08/
  • hxxp://www.magenx2[.]info/x2ee/
  • hxxp://www.merop[.]online/b21g/
  • hxxp://www.mewzom[.]online/oi05/
  • hxxp://www.peiphitan[.]com/poub/
  • hxxp://www.slebuild[.]com/dcn0/
  • hxxp://www.slebuild[.]com/obee/
  • hxxp://www.solisdq[.]info/ugk8/
  • hxxp://www.tacosmina[.]info/n2hm/


Top 5 – SnakeKeylogger

6.2%로 5위를 차지한 SnakeKeylooger는 사용자 키 입력 및 시스템 클립 보드, 브라우저 계정 정보 등의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유형의 악성코드이다.

해당 악성코드는 AgentTesla와 유사하게 수집한 정보 유출 시 주로 메일 서버 및 사용자 계정들을 이용하며 이외에도 FTP, Telegram, Discord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최근 유입되는 샘플들이 이용하는 C&C 정보는 아래와 같다.

  • SMTP Server : us2.smtp.mailhostbox.com
    User : moni@hq-blli.com
    Password : nP***)8
    Receiver : moni@hq-blli.com
  • SMTP Server : mail.impressive-edge.com
    User : goobm@impressive-edge.com
    Password : dG***djt
    Receiver : camialfieri3@gmail.com
  • SMTP Server : us2.smtp.mailhostbox.com
    User : info@giftwayexpress-service.com
    Password : %c***t9
    Receiver : info@giftwayexpress-service.com
  • Telegram API hxxps://api.telegram[.]org/bot5484820495:AAGEjy8dT72vJZImmHLmeh3onMuG9LLRD5A/sendMessage[?]chat_id=5101327412

다른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들과 동일하게 송장(Invoice), 구매 주문서(P.O. – Purchase Order) 등으로 위장한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됨에 따라 파일명 역시 이와 유사하다.

  • URGENT UPDATED SOA.exe
  • 11140109927_20221220_11440490_HesapOzet.exe
  • Swift.exe
  • REQUEST FOR Quotations (PYRENAQUA SEAFOOD, S.L.exe
  • DEBIT NOTE.exe
  • 987656-098765456789987654.exe
  • Revised documents.exe

연관 IOC 및 관련 상세 분석 정보는 안랩의 차세대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AhnLab TIP’ 구독 서비스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Categories:위협 통계

0 0 votes
별점 주기
Subscribe
Notify of
guest

0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