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 20210726 ~ 20210801 )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주요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2021년 7월 26일 월요일부터 2021년 8월 1일 일요일까지 수집된 한 주간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인포스틸러가 48.2%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RAT (Remote Administration Tool) 악성코드가 25.8%, 다운로더 13.0%, 코인마이너 8.6%, 랜섬웨어 4.2%, Ddos 0.3%로 집계되었다.


T
op 1 – RedLine

RedLine 악성코드가 18.0%로 지난주에 이어 1위를 차지했다. RedLine 악성코드는 웹 브라우저, FTP 클라이언트, 암호화폐 지갑, PC 설정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하며 C&C 서버로 부터 명령을 받아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다음은 확인된 RedLine의 C&C 서버 도메인이다.

  • hxxps://all-brain-company[.]xyz/
  • hxxp://yarinefatt[.]xyz
  • hxxp://zertypelil[.]xyz
  • hxxp://ivaloribar[.]xyz/
  • hxxp://naxunarium[.]xyz/
  • hxxp://salkefard[.]xyz/
  • hxxp://verecalina[.]xyz/


T
op 2 –  BeamWinHTTP

11.1%로 2위를 차지한 BeamWinHTTP는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PUP 설치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를 통해 유포되는데, BeamWinHTTP가 실행되면 PUP 악성코드인 Garbage Cleaner를 설치하고, 동시에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다음은 확인된 C&C 서버 주소이다.

  • hxxp:///gc-prtnrs[.]top/decision.php


T
op 3 –  CryptBot

이번주는 CryptBot 악성코드가 9.7% 로 3위를 차지했다. CryptBot은 주로 유틸리티 다운로드 페이지를 위장한 악성 사이트로부터 유포되고 있다. 해당 악성 사이트는 검색 엔진에 특정 키워드 검색 시 상위에 노출된다. 감염 시 각종 사용자 정보 탈취 및 추가 악성코드 다운로드 행위를 한다. 

다음은 CryptBot의 C&C 서버 주소와 추가 악성코드 다운로드 주소이다.

  • C&C1: wymkjd37[.]top/index.php
    C&C2: moriue03[.]top/index.php
    Download URL: hofxuo04[.]top/download.php?file=lv.exe
  • C&C1: smanik53[.]top/index.php
    C&C2: morzie05[.]top/index.php
    Download URL: gurqfo07[.]top/download.php?file=lv.exe
  • C&C1: smaoez65[.]top/index.php
    C&C2: mortuh06[.]top/index.php
    Download URL: gurswi09[.]top/download.php?file=lv.exe
  • C&C1: smauxw61[.]top/index.php
    C&C2: mortuh06[.]top/index.php
    Download URL: gurswi09[.]top/download.php?file=lv.exe

유포 시 파일명은 다음과 같다.

  • main_setup_x86x64.exe
  • p3-signed.exe
  • Setup.exe
  • setup_installer.exe
  • setup_x86_x64_install.exe
  • setuplauncher_v2.exe
  • setuplauncher_v3.exe
  • x86_x64_setup.exe


T
op 4 –  Glupteba

8.6%를 차지하여 4위를 기록한 Glupteba는 Golang으로 개발된 악성코드이다. 다수의 추가 모듈을 다운로드하며 여러 기능을 갖지만 실질적으로는 XMR (모네로) 코인 마이너를 설치하는 코인 마이너 악성코드이다.

Glupteba는 실행되면 UAC Bypass를 거쳐서 TrustedInstaller의 권한을 이용해 시스템 권한을 갖게 된다. 그리고 C:Windowsrsscsrss.exe 이름으로 정상 프로세스를 위장하여 시스템에 상주한다. 이후 추가 모듈을 다운로드하는데, 그 대상으로는 프로세스 및 파일들을 숨기기 위한 루트킷 드라이버들이 있으며, 최종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는 XMR 코인 마이너 및 SMB 취약점을 통한 전파를 위한 Eternal Blue 패키지가 있다.

현재 확인된 Glupteba 대부분은 PUP를 통해 다운로드되는 방식으로 유포 중이다. PUP를 통해 유포 중임에도 불구하고 이전 블로그에서 언급된 MalPe 패커 외형을 갖는다는 것이 특징이다.

참고로 MalPe 패커 외형을 갖는 악성코드들은 크게 Exploit Kit을 통해 유포되는 방식과, PUP 및 아래의 Vidar 악성코드 유포 사례와 같이 정상 프로그램으로 위장하여 유포되는 방식이 있다.

[추가 모듈 다운로드 주소]

  • hxxps://spolaect[.]info

[C&C 서버 주소]

  • hxxps://ninhaine[.]com
  • hxxps://2makestorage[.]com
  • hxxps://nisdably[.]com


T
op 5 –  AgentTesla

AgentTesla는 7.2%를 차지하며 5위에 머물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이다.

최근 유입되는 샘플들은 수집한 정보 유출 시 아래와 같은 메일 서버 및 사용자 계정들을 이용한다.

  • serv-10708.handsonwebhosting[.]com
    sender: droid@multillantaszl[.]com
    receiver: droid@multillantaszl[.]com
    user: droid@multillantaszl[.]com
    pw: icui****@@
  • smtp.saisianket-tech[.]com
    sender: akibapen@saisianket-tech[.]com
    receiver: akibapen@saisianket-tech[.]com
    user: akibapen@saisianket-tech[.]com
    pw: oluwag****123
  • us2.smtp.mailhostbox[.]com
    sender: paola.micheli@copangroup[.]xyz
    receiver: paola.micheli@copangroup[.]xyz
    user: paola.micheli@copangroup[.]xyz
    pw: gibs****990

대부분 송장(Invoice), 선적 서류(Shipment Document), 구매 주문서(P.O. – Purchase Order) 등으로 위장한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기 때문에 파일 이름도 동일하게 위와 같은 이름이 사용된다. 또한 확장자의 경우 pdf, xlsx와 같은 문서 파일이나 .dwg 즉 Auto CAD 도면 파일로 위장한 것들도 다수 존재한다.

  • XP010-61.exe
  • scan0012330.PDF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exe
  • 委外订单-启绩物料6-1-2.exe

연관 IOC 및 관련 상세 분석 정보는 안랩의 차세대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AhnLab TIP’ 구독 서비스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Categories:위협 통계

Tagged as:

0 0 votes
별점 주기
Subscribe
Notify of
guest

0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