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 20210802 ~ 20210808 )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주요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2021년 8월 2일 월요일부터 2021년 8월 8일 일요일까지 수집된 한 주간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인포스틸러가 53.7%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RAT (Remote Administration Tool) 악성코드가 22.4%, 다운로더 11.3%, 코인마이너 7.6%, 랜섬웨어 4.3%, Ddos 0.6% 로 집계되었다.


T
op 1 – RedLine

RedLine 악성코드가 12.8%로 지난주에 이어 1위를 차지했다. RedLine 악성코드는 웹 브라우저, FTP 클라이언트, 암호화폐 지갑, PC 설정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하며 C&C 서버로 부터 명령을 받아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다음은 확인된 RedLine의 C&C 서버 도메인이다.

  • hxxp://zertypelil[.]xyz/
  • hxxp://yonicathal[.]xyz/
  • hxxp://stanntinab[.]xyz/
  • hxxp://salanoajalio[.]xyz/
  • hxxps://all-brain-company[.]xyz/


Top 2 – Formbook

Formbook은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로 8.6%를 차지하며 2위에 올랐다.

다른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들과 동일하게 대부분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며 유포 파일명도 유사하다.

  • RFQ 데이터 시트 0400100347_pdf________________________.exe
  • Payment_Advice.exe
  • Temmuz 2021 Ekstreniz.exe
  • vbc.exe
  • MV PROGRESS-VSL008.exe
  • company business card.exe
  • Swift Payment.exe
  • Order_04_08_2021.exe
  • PO UTITECH20210802.exe

Formbook 악성코드는 현재 실행 중인 정상 프로세스인 explorer.exe 및 system32 경로에 있는 또 다른 정상 프로세스에 인젝션함에 따라 악의적인 행위는 정상 프로세스에 의해 수행된다. 웹 브라우저의 사용자 계정 정보 외에도 키로깅, Clipboard Grabbing, 웹 브라우저의 Form Grabbing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할 수 있다. 다음은 확인된 Formbook의 C&C 서버 주소이다.

  • hxxp://www.bainrix[.]com/d8ak/
  • hxxp://www.magetu[.]info/weni/
  • hxxp://www.tomrings[.]com/ftgq/
  • hxxp://www.cunerier[.]com/n8ba/
  • hxxp://www.ravexim3[.]com/dy8g/
  • hxxp://www.racevc[.]com/busc/
  • hxxp://www.brateix[.]info/gno4/
  • hxxp://www.psm-gen[.]com/cg53/
  • hxxp://www.nieght[.]com/wt5i/
  • hxxp://www.afcerd[.]com/odse/


T
op 3 –  BeamWinHTTP

8.4%로 3위를 차지한 BeamWinHTTP는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PUP 설치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를 통해 유포되는데, BeamWinHTTP가 실행되면 PUP 악성코드인 Garbage Cleaner를 설치하고, 동시에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다음은 확인된 C&C 서버 주소이다.

  • hxxp:///gc-prtnrs[.]top/decision.php


Top 4 –  Vidar

이번주는 Vidar가 8.2%를 차지하며 4위를 차지하였다. Vidar는 대표적인 인포스틸러 /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Vidar는 웹 브라우저, FTP, 코인 지갑 주소, 스크린샷 등의 인포스틸러 기능 외에도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기능이 존재한다.

아래의 블로그 처럼 주기적으로 국내 사용자 타겟의 스팸 메일로 유포 중이며, 스팸 메일의 첨부 파일에 존재하는 압축 파일 내부에 다른 랜섬웨어와 함께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외에도 최근에는 특정 게임 플랫폼을 악용하여 유포 중이다.

다음 Vidar 악성코드의 정보 유출 기능에 대한 분석 정보이다.

해당 기간 동안 사용된 C&C 주소는 다음과 같다.

  • hxxp://116.202.183[.]50/517
  • hxxp://116.202.183[.]50/860
  • hxxp://2.56.59[.]226/www//main.php
  • hxxp://notedemo.axfree[.]com/main.php
  • hxxp://23.88.49[.]119/937
  • hxxp://23.88.49[.]119/973


Top 5 –  Raccoon

이번주 7.8%로 5위를 차지한 Raccoon은 정보유출형 악성코드로 Glupteba와 유사하게 MalPe 패커 외형을 지니고 있다.

해당 악성코드는 Chrome, Edge, Opera와 같은 웹 브라우저의 계정 정보, 쿠키와 암호 화폐 지갑 정보 등을 유출한다. 다음은 확인된 Raccoon 의 C&C 서버이다.

  • hxxp://185.234.247[.]148/
  • hxxp://5.181.156[.]60/
  • hxxp://5.252.179[.]21/
  • hxxp://45.138.172[.]138/

연관 IOC 및 관련 상세 분석 정보는 안랩의 차세대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AhnLab TIP’ 구독 서비스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Categories:위협 통계

Tagged as:

0 0 votes
별점 주기
guest

0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