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 20211227 ~ 20220102 )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1년 12월 27일 월요일부터 2022년 01월 02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인포스틸러가 42.7%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RAT (Remote Administration Tool) 악성코드가 35.4%, 다운로더가 14.6%, 랜섬웨어가 4.9%, Ddos가 2.4% 로 집계되었다.


Top 1 –  AgentTesla

AgentTesla는 20.7%로 1위를 기록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유형의 악성코드이다.

수집한 정보 유출 시 메일을 활용하며 최근 샘플들의 메일 주소 및 계정은 아래와 같다.

  • server : mail.almanatechnology[.]com (162.222.226[.]194)
    sender : naseer@almanatechnology[.]com
    receiver : naseer@almanatechnology[.]com
    user : naseer@almanatechnology[.]com
    pw : ne********wel
  • server : webmail.crestftb[.]com (199.188.201[.]139)
    sender : Ikmero@crestftb[.]com
    receiver : Ikmero@crestftb[.]com
    user : Ikmero@crestftb[.]com
    pw : OLU*********456
  • server : mail.croatiahunt[.]com (116.202.174[.]203)
    sender : info@croatiahunt[.]com
    receiver : t.aidinis@empire-eyewear[.]com
    user : info@croatiahunt[.]com
    pw : Vil*******852

대부분 송장(Invoice), 선적 서류(Shipment Document), 구매 주문서(P.O. – Purchase Order) 등으로 위장한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기 때문에 파일명도 이와 관련된 단어 또는 문장이 사용된다. 확장자의 경우 pdf, xlsx와 같은 문서 파일로 위장한 샘플도 다수 존재한다.

  • OFERTA ALSSET 12.31.21.exe
  • OFERTA ALSSET 12.29.21.exe
  • RE Documents Attached for New Sea ShipmentNastah FCL20-21MIL238.exe
  • REVISED_EPDA _ Statment & Tuticorin MV GRACE.exe
  • D00501_DIB_Bur_Dubai_New_Branch.exe
  • SHIPPING_ADVICE_4084301002.exe
  • dhl delivery documents.exe

Top 1 –  RedLine

RedLine 악성코드가 20.7%로 공동 1위를 기록하였다. RedLine 악성코드는 웹 브라우저, FTP 클라이언트, 암호화폐 지갑, PC 설정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하며 C&C 서버로 부터 명령을 받아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BeamWinHTTP와 마찬가지로 S/W 크랙 다운로드로 위장하여 유포되는 경우가 많다.

다음은 확인된 RedLine의 C&C 서버 도메인이다.

  • 45.147.196[.]146:6213
  • 109.236.88[.]5:81
  • 193.150.103[.]37:81
  • 45.153.184[.]61:34783
  • 185.148.39[.]13:81
  • 94.140.115[.]160:81

Top 3 –  BeamWinHTTP

14.6% 로 3위를 차지한 BeamWinHTTP는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PUP 설치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를 통해 유포되는데, BeamWinHTTP가 실행되면 PUP 악성코드인 Garbage Cleaner를 설치하고, 동시에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최근 들어서는 S/W 크랙 다운로드를 위장하여 유포되는 드로퍼형 악성코드에 의해 유포되는 수량이 상당하다. ASEC 분석팀에서는 이러한 악성코드를 “MulDrop” 진단명으로 대응 중이며, 해당 악성코드에 대한 정보는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길 바란다.

다음은 확인된 C&C 서버 주소이다.

  • hxxp://ad-postback[.]biz


Top 4 – Smoke Loader

Smoker Loader는 인포스틸러 / 다운로더 악성코드로서 11.0% 비율로 이번주 4위를 차지하였다. Smoke Loader와 관련된 분석 보고서는 아래의 ASEC 리포트를 참고하자.

[PDF] ASEC REPORT vol.101_한층 업그레이드된 최신판 스모크로더(Smoke Loader), 전격해부

다음은 확인된 C&C 서버 주소들이다.

  • host-data-coin-11[.]com/
  • file-coin-host-12[.]com/
  • melchen-testet[.]at/upload/
  • zjymf[.]com/upload/
  • pbxbmu70275[.]cn/upload/
  • mnenenravitsya[.]ru/upload/
  • pitersprav[.]ru/upload/


Top 5 –  Remcos

이번 주는 Remcos가 7.3% 로 5위를 차지했다. Remcos는 RAT 악성코드로서 키로깅을 포함한 정보 유출 및 다양한 공격자의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Remcos는 AgentTesla, Formbook, NanoCore 등의 악성코드와 같이 닷넷 외형의 패커로 패킹되어 스팸 메일의 첨부 파일을 통해 유포되고 있다. 즉 접수되는 파일명도 아래와 같이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는 악성코드들과 유사하다.

  • fuscontainer.exe 

다음은 확인된 Remcos의 C&C 서버 주소이다.

  • hxxp://91.243.44[.]75/prophecy.jpg
  • hxxp://91.243.44[.]45/guron.jpg
  • hxxp://91.243.44[.]45/uber.jpg

연관 IOC 및 관련 상세 분석 정보는 안랩의 차세대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AhnLab TIP’ 구독 서비스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Categories:위협 통계

Tagged as:

0 0 votes
별점 주기
Subscribe
Notify of
guest

0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