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2021년 4월 5일 월요일부터 2021년 4월 11일 일요일까지 수집된 한 주간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인포스틸러가 76.6%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RAT (Remote Administration Tool) 악성코드가 13.9%, Coin Miner가 5.6%, 다운로더가 3.5%, 랜섬웨어가 0.4%로 집계되었다.

Top 1 – AgentTesla
AgentTesla는 35.5%를 차지하며 1위를 차지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이다.

최근 유입되는 샘플들은 수집한 정보 유출 시 아래와 같은 메일 서버 및 사용자 계정들을 이용한다.
- mail.konnark[.]com
sender : info@konnark[.]com
receiver : info@konnark[.]com
user : info@konnark[.]com
pw : P@****rd - mail.privatemail[.]com
sender : moj@bosenmouid[.]com
receiver : moj@bosenmouid[.]com
user : moj@bosenmouid[.]com
pw : m****7 - ireneoptik[.]ro
sender : ifeanyi@ireneoptik[.]ro
receiver : ifeanyi@ireneoptik[.]ro
user : ifeanyi@ireneoptik[.]ro
pw : BKAW****F_y
대부분 송장(Invoice), 선적 서류(Shipment Document), 구매 주문서(P.O. – Purchase Order) 등으로 위장한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기 때문에 파일 이름도 동일하게 위와 같은 이름이 사용된다. 또한 확장자의 경우 pdf, xlsx와 같은 문서 파일이나 .dwg 즉 Auto CAD 도면 파일로 위장한 것들도 다수 존재한다.
- APRILQUOTATIONQQO2103060_SAMPLES_KHANG HY_CO_CORPORATION.exe
- AWB-18267638920511_ES.bat
- comprovativoTransferenciaBancaria.exe
- DHL_Express_Shipment_Invoice_Confirmation_CBJ190517000131_74700456XXXX.exe
- MT ACCORD V12.exe
- MT Group RF24032021.exe
- NEW ORDER.exe
- official_machine_po.241120.exe
- P&I Club CIRCULARS.exe
- PAGO FACTURA V-8680.exe
- PI_Circularpdf.exe
- PO-07042021_MR-KFIP-M-13878-NEW_ORDER_1400600902634-07.04.20211620.PDF.exe
- POM-20120273.PDF.exe
- PURCHASE LIST.pdf.exe
- Q88_Bulk Carrier.exe
- RARE LADY WEIHAI – FINAL SOA V.09.exe
- Rising Harrier Inquiry.exe
- SCAN_040.EXE SWIFT COPY.exe
- TRANSACTION_INTTRANSFER_1617266945242 MEDICON_PDF.exe
Top 2 – Formbook
Formbook은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로 19.0%를 차지하며 Top 2위에 올랐다.

다른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들과 동일하게 대부분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며 유포 파일명도 유사하다.
- Kwang Bok Trading.exe
- 2021_04_09.exe
- Commercial invoice312809-2.exe
- Esimate 2021_04_06.exe
- Esimate 2021_04_06.exe
- estimate_2021_04_05.exe
- ORDER.exe
- Payment Slip.exe
- PO#KFP210408-001.exe
- PO.exe
- PO91361.exe
- PURCHASE-ORDER.exe
- QUOTATIO.EXE
- Quotation Enquiry (P045632).exe
- REQUEST FOR QUOTATION.exe
- Reversed Payment.exe
Formbook 악성코드는 현재 실행 중인 정상 프로세스인 explorer.exe 및 system32 경로에 있는 또 다른 정상 프로세스에 인젝션함에 따라 악의적인 행위는 정상 프로세스에 의해 수행된다. 웹 브라우저의 사용자 계정 정보 외에도 키로깅, Clipboard Grabbing, 웹 브라우저의 Form Grabbing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할 수 있다. 다음은 확인된 Formbook의 C&C 서버 주소이다.

- hxxp://www.bakldx.com/llc/
- hxxp://www.carbeloy.com/md5/
- hxxp://www.casnop.com/kkr/
- hxxp://www.cinmax.xyz/aw9e/
- hxxp://www.contex33.xyz/n30n/
- hxxp://www.curiget.xyz/rbpi/
- hxxp://www.iregentos.info/ur06/
- hxxp://www.jumlasx.xyz/i9ac/
- hxxp://www.lownak.com/fcn/
- hxxp://www.magentos6.com/chue/
- hxxp://www.stevebana.xyz/t052/
- hxxp://www.yeasuc.com/kbc/
Top 3 – Glupteba
5.6%를 차지하는 Glupteba는 Golang으로 개발된 악성코드이다. 다수의 추가 모듈을 다운로드하며 여러 기능을 갖지만 실질적으로는 XMR (모네로) 코인 마이너를 설치하는 코인 마이너 악성코드이다.
Glupteba는 실행되면 UAC Bypass를 거쳐서 TrustedInstaller의 권한을 이용해 시스템 권한을 갖게 된다. 그리고 C:Windowsrsscsrss.exe 이름으로 정상 프로세스를 위장하여 시스템에 상주한다. 이후 추가 모듈을 다운로드하는데, 그 대상으로는 프로세스 및 파일들을 숨기기 위한 루트킷 드라이버들이 있으며, 최종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는 XMR 코인 마이너 및 SMB 취약점을 통한 전파를 위한 Eternal Blue 패키지가 있다.
현재 확인된 Glupteba 대부분은 PUP를 통해 다운로드되는 방식으로 유포 중이다. PUP를 통해 유포 중임에도 불구하고 이전 블로그에서 언급된 MalPe 패커 외형을 갖는다는 것이 특징이다.

참고로 MalPe 패커 외형을 갖는 악성코드들은 크게 Exploit Kit을 통해 유포되는 방식과, PUP 및 아래의 Vidar 악성코드 유포 사례와 같이 정상 프로그램으로 위장하여 유포되는 방식이 있다.

[추가 모듈 다운로드 주소]
- hxxps://fotamene[.]com
[C&C 서버 주소]
- hxxps://sndvoices[.]com
- hxxps://2makestorage[.]com
Top 4 – Raccoon
이번주 5.6%로 4위를 차지한 Raccoon은 정보유출형 악성코드로 Glupteba와 유사하게 MalPe 패커 외형을 지니고 있다.

해당 악성코드는 Chrome, Edge, Opera와 같은 웹 브라우저의 계정 정보, 쿠키와 암호 화폐 지갑 정보 등을 유출하며, 최근 아래와 같이 설치 파일 형식의 파일명으로 유포되고 있다.
- Install.exe
- setupnerino.exe
- Start_Install.exe
- phantom[1].exe
다음은 확인된 Raccoon 의 C&C 서버이다.
- hxxps://mynameisjamesbrown.top/
- hxxps://tastytofutempura.top/
Top 5 – NanoCore
NanoCore는 5.2%로 5위를 차지했다. NanoCore는 닷넷으로 개발된 RAT 악성코드로서 njRAT과 유사하게 키로깅을 포함한 정보 유출 및 다양한 공격자의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NanoCore는 AgentTesla, Formbook, AveMaria, Remcos 등의 악성코드와 같이 닷넷 외형의 패커로 패킹되어 스팸 메일의 첨부 파일을 통해 유포되고 있다. 다음은 확인된 NanoCore의 C&C 서버 도메인이다.
- view43750.ddns[.]net
- justinalwhitedd554.duckdns[.]org
- chukwuemeka.ddns[.]net
- james12.ddns[.]net
- wealth2021.ddns[.]net
- nanopc.linkpc[.]net
- backu4734.duckdns[.]org
- hdstlindos.duckdns[.]org
- servicepoint.duckdns[.]org
Categories:위협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