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치 가이드

마이크로소프트 2012년 6월 보안 패치 배포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2012년 5월 한 달 동안 해당 업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보안 패치를 2012년 6월 13일 배포하였다. 이번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된 보안 패치들은 총 7건으로 다음과 같다.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6 – 긴급 원격 데스크톱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685939)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7 – 긴급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 (2699988)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8 – 긴급 .NET Framework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706726)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9 – 중요 Lync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707956)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40 – Important Vulnerability in Microsoft Dynamics AX Enterprise Portal Could Allow Elevation of Privilege (2709100)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41 – 중요 Windows 커널 모드 드라이버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마이크로소프트 2012년 5월 보안 패치 배포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2012년 4월 한달 동안 해당 업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보안 패치를 2012년 5월 9일 배포하였다. 이번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된 보안 패치들은 총 7건으로 다음과 같다.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29 – 긴급 Microsoft Word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680352)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0 – 중요 Microsoft Office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663830)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1 – 중요 Microsoft Visio Viewer 2010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597981)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2 – 중요 TCP/IP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688338)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3 – 중요 Windows Partition Manager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690533)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4 – 긴급 Microsoft Office, Windows, .NET Framework 및 Silverlight에 대한 통합 보안…

마이크로소프트 2012년 3월 보안 패치 배포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2012년 2월 한달 동안 해당 업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보안 패치를 2012년 3월 14일 배포하였다. 이번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된 보안 패치들은 총 6건으로 다음과 같다.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17 – 중요 DNS 서버의 취약점으로 인한 서비스 거부 문제점 (2647170)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18 – 중요 Windows 커널 모드 드라이버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641653)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19 – 보통 DirectWrite의 취약점으로 인한 서비스 거부 문제점 (2665364)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20 – 긴급 원격 데스크톱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671387)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21 – 중요 Visual Studio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651019)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22 – 중요 Expression Design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651018) 다양한 악성코드들이…

한글 코드 실행 취약점으로 인한 보안 패치 배포

해외 시각으로 2월 7일 소프트웨어 취약점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를 진행하는 시큐니아(Secunia)에서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하는 한글 프로그램에서 임의 코드를 실행 할 수 있는 취약점이 존재함을 “Secunia Advisory SA47386 Hancom Office Hanword Image Processing Integer Overflow Vulnerabilities” 보안 권고문을 통해 공개하였다. 한글 프로그램에 존재하였던 임의의 코드를 실행 할 수 있는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사례가 이미 존재함으로 한글 프로그램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즉시 보안 패치를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번에 발견된 취약점은 한글 프로그램에 존재하는 JPEG와 PNG 이미지 필터 모듈에 존재하는 힙 버퍼 오버플로우(Heap Buffer Overflow) 취약점으로 인해 임의의 코드를 실행 할 수 있는 취약점이다. 현재 한글 프로그램에서 발견된 취약점에 대해 한글과 컴퓨터에서는 “패치 업데이트” 공지를 통해 이미 보안 패치를 배포 중에 있다. 그리고 한글 프로그램 사용자는 한글과 컴퓨터 웹 사이트를 통해 보안 패치를 업데이트…

마이크로소프트 2012년 2월 보안 패치 배포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2012년 1월 한달 동안 해당 업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보안 패치를 2012년 2월 15일 배포하였다. 이번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된 보안 패치들은 총 9건으로 다음과 같다.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08 – 긴급 Windows 커널 모드 드라이버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660465)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09 – 중요 Ancillary Function Driver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645640)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10 – 긴급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 (2647516)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11 – 중요 Microsoft SharePoint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663841)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12 – 중요 색 제어판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643719)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13 – 긴급 C 런타임 라이브러리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654428) Microsoft Secu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