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치 가이드

악성코드가 이용하는 취약점 패치 (Flash Player / Java ) 권고

■ 개 요 최근 다수의 웹페이지에 삽입된 악성스크립트로 인해 온라인게임계정을 탈취하는 Onlinegamehack 류의 악성코드에 감염되는 현상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현재 유포 중인 온라인게임핵류 악성코드는 OS 정상 시스템 파일을 교체함으로 치료가 매우 까다롭고, 악성코드의 버그 및 치료 방해 기능으로 인해 감염시 인터넷이 되지 않거나, 심할 경우 시스템 부팅이 되지 않는 증상이 발생하여 개인 및 기업에 심각한 피해를 입히고 있습니다. 이러한 악성코드 감염을 근본적으로 예방하고자, 온라인게임핵류 악성코드가 주로 이용하는 취약점 관련 어플리케이션  중 'Flash player', 'Java' 패치 방법 에 대해 IT 관리자 측면에서 사용자에게 패치를 적용시키는 방법을 공유하오니, IT 관리자분들은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어 관련 업데이트를 적용하시길 권해드립니다. 1. Flash Player silent update guide Flash Player 최신버전 다운로드http://www.adobe.com/products/flashplayer/distribution.html상단의 링크에서 플랫폼에 맞는 설치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Silent 모드 인스톨  flashplayer[version]_install.exe –install  참 고▶ Adobe Flash player 버전 확인http://www.adobe.com/kr/software/flash/about/▶ Adobe Flash player 기술지원http://helpx.adobe.com/kr/contact.html 2. Java(JRE)…

Adobe CVE-2011-2462 취약점 보안 패치 배포

ASEC에서는 12월 8일 Adobe Reader에서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 Day, 0-Day) 취약점인 CVE-2011-2462 발견되었으며, 이를 악용한 타깃 공격(Targeted Attack)이 발생하였음을 공개한 바가 있다.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을 제거하기 위한 보안 패치를 Adobe에서 미국 현지 시각 12월 16일 배포하기 시작하였음을 보안 권고문 “APSB11-30 Security updates available for Adobe Reader and Acrobat 9.x for Windows“을 공개하였다.   이 번 보안 패치의 설치 대상이 되는 제품들은 다음과 같다. Adobe Reader 9.x for Windows Adobe Acrobat 9.x for Windows 해당 버전의 Adobe Reader와 Adobe Acrobat 사용자들은 다음의 순서로 Adobe에서 배포하는 보안 패치를 설치 할 수 있다. [도움말] -> [업데이트 확인] Adobe Reader X 제품은 보호 모드(Protected Mode)와 보호 뷰(Protected View) 기능을 통해 해당 취약점으로부터 보호가 가능하며, 해당 버전의 제품은 2012년 1월 12일경에 보안 패치를 배포 할 예정으로…

마이크로소프트 2011년 12월 보안 패치 배포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2011년 11월 한달 동안 해당 업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보안 패치를 2011년 12월 14일 배포하였다. 이번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된 보안 패치들은 총 13건으로 다음과 같다.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1-087 – Critical Vulnerability in Windows Kernel-Mode Drivers Could Allow Remote Code Execution (2639417)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1-088 – Important Vulnerability in Microsoft Office IME (Chinese) Could Allow Elevation of Privilege (2652016)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1-089 – Important Vulnerability in Microsoft Office Could Allow Remote Code Execution (2590602)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1-090 – Critical Cumulative Security Update of ActiveX Kill Bits (2618451)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1-091 – Important Vulnerabilities in Microsoft Publisher Could Allow Remote Code Execution (2607702)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1-092 – Critical Vulnerability in Windows Media…

마이크로소프트 2011년 11월 보안 패치 배포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2011년 10월 한달 동안 해당 업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보안 패치를 2011년 11월 09일 배포하였다. 이번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된 보안 패치들은 총 4건으로 다음과 같다.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1-083 – 긴급 TCP/IP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588516)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1-084 – 보통 Windows 커널 모드 드라이버의 취약점으로 인한 서비스 거부 문제점 (2617657)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1-085 – 중요 Windows Mail 및 Windows Meeting Space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620704)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1-086 – 중요 Active Directory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630837) 다양한 악성코드들이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보안 취약점을 악용함으로 미리 보안 패치 설치를 통해 악성코드의 감염을 예방 하는 것이 좋다. 마이크로소프트의 보안 패치 설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사용자들의 경우 아래…

마이크로소프트 2011년 9월 보안 패치 배포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2011년 8월 한달 동안 해당 업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보안 패치를 2011년 9월 14일 배포하였다. 이번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된 보안 패치들은 총 5건으로 다음과 같다.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1-070 – 중요 WINS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571621)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1-071 – 중요 Windows 구성 요소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570947)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1-072 – 중요 Microsoft Excel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587505)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1-073 – 중요 Microsoft Office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587634)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1-074 – 중요 Microsoft SharePoint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451858) 다양한 악성코드들이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 보안 취약점을 악용함으로 미리 보안 패치 설치를 통해 악성코드의 감염을 예방 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