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치 가이드

Cisco IOS XE Software Web UI 취약점 주의 (CVE-2023-20198, CVE-2023-20273)

개요 이달, Cisco는 실제 공격에 활발히 악용되고 있는 두 취약점 CVE-2023-20198, CVE-2023-20273에 대한 보안 권고를 발표하였다. 취약점은 Cisco IOS XE Software의 Web UI에서 발생한다. CVE-2023-20198 취약점은 인증되지 않은 공격자가 가장 높은 수준의 접근 권한인 레벨 15 권한의 임의의 계정을 생성하여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으며, CVE-2023-20273 취약점은 명령어 주입을 수행하여 악의적인 내용을 파일 시스템에 쓸 수 있다. 각각 CVSS 점수 10.0/7.2를 할당받았다.   영향 받는 제품 Cisco IOS XE Software의 Web UI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다면 영향을 받는다. Web UI는 다음 명령어를…

3CX DesktopApp 사용 주의 (CVE-2023-29059)

개요 3CX DesktopApp을 통해 공급망 공격이 이루어졌다는 내용이 공개되었다.[1] 해당 소프트웨어는 통화, 화상 회의 등 사용자에게 여러 통신 기능을 제공하며 Windows, MAC 운영체제 환경에서 구동이 가능하다. 현재 3CX 업체에서는 새로운 인증서를 발급하기 위하여 준비 중이며 그 전까지는 다른 소프트웨어를 대체하여 사용할 것을 가이드하고 있다. 설명 관련하여 유포된 악성코드는 악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들을 포함한 MSI, DMG 형태의 설치 파일인 것으로 확인된다. 3CXDesktopApp.exe가 악성 모듈인 ffmpeg.dll을 로드하고, 이후 d3dcompiler.dll를 추가 로드하여 메모리 상에서 실행한다. 메모리 상에서 실행되는 악성코드는 다운로더로서 최종적으로 정보 탈취형…

이니텍 제품(INISAFE CrossWEB) 보안 업데이트 권고

개요 이니텍 사 INISAFE CrossWeb EX V3 프로그램의 취약점 해결을 위한 보안 업데이트가 발표되었다. 인터넷뱅킹에 사용하는 전자금융 및 공공부문 금융보안인증 소프트웨어로, 다양한 기업 뿐아니라 다수의 개인 PC에서도 사용하는 프로그램이기에 대다수의 사용자들은 자신의 PC에 해당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지 필수적으로 확인이 필요하며 아래 가이드에 따라 최신으로 업데이트하길 권고한다. 설명 AhnLab Security Emergency response Center(ASEC)에서는 Lazarus 그룹에 의해 취약점 관련 프로세스로 악성 행위가 발생하고 있다는 정황을 파악하고 있었으며, 이 내용에 대해서는 작년 4월에 ASEC 블로그를 통해 소개한 바 있다. 블로그 링크 : INITECH…

Microsoft Office Outlook 취약점(CVE-2023-23397) 발현 및 수동 조치 가이드

AhnLab Security Emergency response Center(ASEC)은 최근 Microsoft Office Outlook 취약점 주의를 알린 바 있다. CVE-2023-23397 취약점은 메일을 받고 알림 발생 시 계정 정보가 유출된다. 유출되는 정보는 시스템에 로그인한 계정의 비밀번호 해싱 정보를 포함한 ‘NTLM’ 해시 값으로, 탈취 시 내부 전파 공격 등에 악용될 수 있다. 취약점에 노출되지 않기 위해서는 반드시 보안 패치 적용이 필요하나, MS Outlook의 ‘미리 알림(Reminder)’ 기능 옵션 해제 시 수동 조치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아래와 같이 해당 취약점을 일으키는 메일에는 알림 소리 기능이 켜져있으며, 유출 정보가 전달될 악성…

공인 인증 솔루션(MagicLine4NX) 취약점 주의 및 업데이트 권고

취약 소프트웨어 및 개요 MagicLine4NX는 국내 드림시큐리티사에서 제작한 Non-ActiveX 공동인증서 프로그램이다. 사용자는 MagicLine4NX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동인증서 로그인과 거래내역에 대한 전자서명을 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시작 프로그램에 등록되어 있으며, 프로세스가 종료되더라도 특정 서비스(MagicLine4NXServices.exe)에 의하여 재실행되며, 한번 설치되면 프로세스에 항상 상주해 있으므로 취약점 공격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취약점 설명 해당 취약점은 안랩에서 최초 발견 및 신고한 취약점으로, 취약한 버전의 MagicLine4NX에서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RCE)이 발생할 수 있다. 패치 대상 및 버전 MagicLine4NX 1.0.0.1~1.0.0.26 버전 취약점 악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