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20221121 ~ 20221127)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11월 21일 월요일부터 11월 27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다운로더가 40.3%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인포스틸러가 35.8%, 백도어 16.3%, 랜섬웨어 7.2%, 코인마이너가 0.4%로 집계되었다.

Top 1 – AgentTesla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인 AgentTesla가 17.3%로 1위를 기록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유형의 악성코드이다.

수집한 정보 유출 시 메일 주로 메일 즉 SMTP 프로토콜을 활용하지만 FTP나 Telegram API 등을 사용하는 샘플도 존재한다. 최근 샘플들의 C&C 정보는 아래와 같다.

  • SMTP Server : mail.strictfacilityservices[.]com
    User : guc850155@gmail.com
    Password : SFS****21
    Receiver : humhum@nutiribio.com
  • SMTP Server : host39.registrar-servers[.]com
    User : dickson@potashin.us
    Password : *r4}********87G
    Receiver : dickson@potashin.us
  • SMTP Server : smtp.yandex[.]com
    User : prince.omd@yandex.com
    Password : uomw********xboa
    Receiver : prince.omd@yandex.com

대부분 송장(Invoice), 선적 서류(Shipment Document), 구매 주문서(P.O. – Purchase Order) 등으로 위장한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기 때문에 파일명도 이와 관련된 단어 또는 문장이 사용된다. 확장자의 경우 pdf, xlsx와 같은 문서 파일로 위장한 샘플도 다수 존재한다.

  • TNT Invoice_pdf.exe
  • Quote_2200001679.exe
  • Updated Qutotaion Of Accesories____PDF.exe
  • Payment#0011422320_SWIFT_20222909.exe
  • INVOICE_.EXE
  • Transaction Invoice .exe
  • POTHX221001.PDF.exe
  • RFQ+Lenz Global Imports Inc.exe
  • RERFQ_Lenz Global Imports Inc PDF.exe
  • Wire#Confirmation0101010.pdf.exe
  • PO2201101701.exe
  • THX22100100012332.pdf.exe
  • Inquiry #140220.pdf.exe
  • MW90 CRF Port Klang_HongKong Taisung Innovase Enterprise Co. Ltd.exe
  • Proof of payment.exe
  • DHL AWB – 4520065422_Nov.2022.exe
  • swift(USD 17043.50).exe

Top 2 – SmokeLoader

Smokerloader는 인포스틸러 /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며 익스플로잇 킷을 통해 유포된다. 이번 주는 14.5%를 차지하며 2위에 올랐다. 익스플로잇 킷을 통해 유포되는 다른 악성코드와 마찬가지로 MalPe 외형을 갖는다. 

실행되면 explorer.exe에 자기 자신을 인젝션하게 되고, 실제 악성 행위는 이 explorer.exe에 의해 수행된다. C&C 서버에 접속한 후 명령에 따라 추가 모듈을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고, 또 다른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추가 모듈의 경우 다운로드되는 모듈 대부분은 인포스틸러 기능을 담당하며, 자식 프로세스로 explorer.exe를 생성하여 모듈을 인젝션하여 동작시킨다.

Smoke Loader와 관련된 분석 보고서는 아래의 ASEC 리포트 내에 존재한다.

[PDF] ASEC REPORT vol.101_한층 업그레이드된 최신판 스모크로더(Smoke Loader), 전격해부

다음은 확인된 C&C 서버 주소들이다.

  • host-host-file8[.]com
  • host-file-host6[.]com
  • cracker[.]biz
  • freeshmex[.]at
  • piratia[.]su
  • piratia-life[.]ru
  • wildweep[.]com
  • o339ku32b3yk26[.]com
  • o36fafs3sn6xou[.]com
  • o391tckjywmtj0[.]com

Top 3 – BeamWinHTTP

10.0%로 3위를 차지한 BeamWinHTTP는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PUP 설치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를 통해 유포되는데, BeamWinHTTP가 실행되면 PUP 악성코드인 Garbage Cleaner를 설치하고, 동시에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다음은 확인된 C&C 서버 주소이다.

  • hxxp://208.67.104[.]60/api/firegate.php
  • hxxp://208.67.104[.]60/api/tracemap.php
  • hxxp://kokoko-24[.]online/api/tracemap.php
  • hxxp://megalobster[.]ru/api/tracemap.php
  • hxxp://metazone1[.]com/api/tracemap.php
  • hxxp://meta-zone-1[.]online/api/firegate.php
  • hxxp://meta-zone-1[.]online/api/tracemap.php
  • hxxp://meta-zone-1[.]ru/api/tracemap.php

Top 4 – Amadey

Amadey Bot 악성코드는 이번 주 9.6%를 차지하며 4위에 올랐다. Amadey는 다운로더 악성코드로서 공격자의 명령을 받아 추가 악성코드를 설치할 수 있으며, 정보 탈취 모듈이 사용될 경우에는 감염 시스템의 사용자 정보들을 수집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Amadey는 정상 프로그램 및 크랙 악성코드를 위장해 유포되고 있는 SmokeLoader에 의해 설치된다. 하지만 최근에는 기업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스팸 메일에 첨부된 악성 문서 파일을 통해 유포되면서 LockBit 랜섬웨어를 설치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다음은 확인된 C&C 서버 주소들이다.

  • hxxp://79.137.197[.]181/g93dLhG2/index.php
  • hxxp://193.56.146[.]194/h49vlBP/index.php
  • hxxp://77.73.134[.]66/o7Vsjd3a2f/index.php

Top 5 – RedLine

RedLine 악성코드는 9.1%로 5위를 기록하였다. RedLine 악성코드는 웹 브라우저, FTP 클라이언트, 암호화폐 지갑, PC 설정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하며 C&C 서버로 부터 명령을 받아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BeamWinHTTP와 마찬가지로 S/W 크랙 다운로드로 위장하여 유포되는 경우가 많다.

다음은 확인된 RedLine의 C&C 서버 도메인이다.

  • hxxp://chardhesha[.]xyz:81
  • hxxp://185.215.113[.]216:21921
  • hxxp://94.103.183[.]33:80
  • hxxp://80.66.87[.]11:80
  • hxxp://79.137.204[.]112:80
  • hxxp://160.20.109[.]26:27713
  • hxxp://77.73.134[.]24:80
  • hxxp://fivemonitoring[.]com:80
  • hxxp://45.138.74[.]121:80
  • hxxp://185.219.80[.]6:35361
  • hxxp://20.126.112[.]157:16733

연관 IOC 및 관련 상세 분석 정보는 안랩의 차세대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AhnLab TIP’ 구독 서비스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0 0 votes
별점 주기
Subscribe
Notify of
guest

0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