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 20220530 ~ 20220605 )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5월 30일 월요일부터 6월 5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인포스틸러가 89.9%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RAT (Remote Administration Tool) 악성코드가 8.5%, 랜섬웨어, 다운로더, 뱅킹 악성코드가 각각 0.5%로 집계되었다.

Top 1 – Formbook

이번주에는 Formbook 악성코드가 33.7%로 1위를 기록하였다.

다른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들과 동일하게 대부분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며 유포 파일명도 유사하다.

  • BL COPY- CIF LCL SEA SHIPMENT.exe
  • Bolt,Screw and Nuts Pdf.exe
  • Company Profile.exe
  • Invoice document.exe
  • Invoice_pdf.exe
  • lists.PDF.exe
  • ListsAll.PDF.exe
  • Neft_Rtgs_01_06_2022_pdf.exe
  • New Order 013.exe
  • Order_673N78333_pdf.exe
  • Payment Advice.exe
  • Remove Damage old pipe & Supply and Installation of Polypropylene pipe-6 -8mtr – 1.exe
  • Request for Quotation.exe
  • RFQ1.PDF.exe
  • Shipment Notification.exe
  • Transferencia____________.exe

Formbook 악성코드는 현재 실행 중인 정상 프로세스인 explorer.exe 및 system32 경로에 있는 또 다른 정상 프로세스에 인젝션함에 따라 악성 행위는 두 정상 프로세스에 의해 수행된다. 웹 브라우저의 사용자 계정 정보 외에도 키로깅, Clipboard Grabbing, 웹 브라우저의 Form Grabbing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할 수 있다.

다음은 확인된 Formbook의 C&C 서버 주소이다.

  • hxxp://www.camekodesign[.]xyz/p3ss/
  • hxxp://www.munichu[.]com/ukkg/
  • hxxp://www.temp-bait[.]com/ziuo/
  • hxxp://www.b8ceex[.]com/ges0/
  • hxxp://www.greks33[.]com/rh2e/
  • hxxp://www.dinglom[.]xyz/ab58/
  • hxxp://www.camekodesign[.]xyz/p3ss/
  • hxxp://www.trendiddas[.]com/gqvv/
  • hxxp://www.renchies[.]com/heqa/
  • hxxp://www.bravesxx[.]com/mwfc/
  • hxxp://www.striphilopen[.]xyz/e1a8/
  • hxxp://www.hilopen[.]online/ms18/

Top 2 –  AgentTesla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인 AgentTesla 가 30.7%로 2위를 기록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유형의 악성코드이다.

수집한 정보 유출 시 메일을 활용하며 FTP나 Discord API 등을 사용하는 샘플도 존재한다. 최근 샘플들의 C&C 정보는 아래와 같다.

  • server : mail.exportersglobe[.]com (51.210.156[.]152)
    sender : ikesend@exportersglobe[.]com
    receiver : origin4wding1@gmail[.]com
    user : ikesend@exportersglobe[.]com
    pw : Mn****teq4_
  • server : mail.vaidictesthouse[.]com (162.241.169[.]155)
    sender : report@vaidictesthouse[.]com
    receiver : report@vaidictesthouse[.]com
    user : report@vaidictesthouse[.]com
    pw : Low****93
  • server : smtp.nutiribio[.]com (162.222.225[.]29)
    sender : humhum@nutiribio[.]com
    receiver : humhum@nutiribio[.]com
    user : humhum@nutiribio[.]com
    pw : zG***15

대부분 송장(Invoice), 선적 서류(Shipment Document), 구매 주문서(P.O. – Purchase Order) 등으로 위장한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기 때문에 파일명도 이와 관련된 단어 또는 문장이 사용된다. 확장자의 경우 pdf, xlsx와 같은 문서 파일로 위장한 샘플도 다수 존재한다.

  • 2022-SF-00001-22026553-01020129_____.exe
  • 703_INVO.EXE
  • DOCUMENT.EXE
  • NEW PO 5243242443 & 35336448501_2022.exe
  • NEW PURCHASE ORDER 5893372663.exe
  • OUTSTANDING BALANCE IS USD$. 70360.exe
  • Payment Instruction N._7890.exe
  • Quote RF-E68-STD-094.pdf.exe
  • Quote. METSA (Reduction).exe
  • SWIFT,jpg.exe

Top 3 –  Lokibot

Lokibot 악성코드는 10.1%로 3위를 기록하였다. Lokibot은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로서 웹 브라우저, 메일 클라이언트, FTP 클라이언트 등의 프로그램들에 대한 정보를 유출한다.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는 다른 악성코드들과 유사한 파일명으로 유포된다.

  • Account Info0-98789.exe
  • FedEx Receipt_AWB#5305323204643.exe
  • new order_pdf________________________.exe
  • Payment Proof.exe
  • Quotation Inquiry..exe
  • Shipping Documents.exe
  • 구매 주문서(PO) 번호 PO010222-00193.exe

대부분의 Lokibot 악성코드 C&C 서버 주소는 다음과 같이 fre.php로 끝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hxxp://198.187.30[.]47/p.php?id=17642814389135937
  • hxxp://45.133.1[.]45/perez1/five/fre.php
  • hxxp://blinkcard.co[.]vu/shin/five/fre.php
  • hxxp://cqmio[.]com/cj/loki/fre.php
  • hxxp://dlokis[.]xyz/kk/cc/rr.php
  • hxxp://lasloki[.]us/xo/ff/uu.php
  • hxxp://lokaxz[.]xyz/fc/bk/ss.php
  • hxxp://sempersim[.]su/fo/fre.php
  • hxxp://sempersim[.]su/gg19/fre.php

Top 4 – AveMaria

이번주는 AveMaria가 8.0%를 기록하며 4위에 이름을 올렸다. AveMaria는 원격제어 기능의 RAT (Remote Administration Tool) 악성코드로서 C&C 서버에서 공격자의 명령을 받아 다양한 악성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AveMaria 악성코드는 최근 AgentTesla, Lokibot, Formbook 악성코드와 유사하게 대부분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고 있다. 또한 진단을 우회하기 위해 위의 악성코드들과 유사한 닷넷(.NET) 외형의 패커로 패킹되어 유포 중이다. 따라서 접수되는 파일명도 같이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는 악성코드들과 유사하다.

  • ScanDocument-pdf.exe
  • Purchase order_(PO220956).exe
  • PO#198000.exe
  • Payment Proof.exe
  • order.pdf.exe
  • New Invoice.exe
  • June new invoice.exe
  • D0508-22 Al Wasl Trading L.L.C.exe

다음은 확인된 AveMaria 의 C&C 서버이다.

  • 2.56.57[.]85:80
  • 37.0.14[.]204:1604
  • guest.maximos[.]quest:2626
  • clientss777.duckdns[.]org:6053
  • babajay.ddns[.]net:5800
  • udooiuyt.dynamic-dns[.]net:5200
  • remote.msoftupdate[.]me:8010

Top 5 –  RedLine

RedLine 악성코드는 5.0%로 5위를 기록하였다. RedLine 악성코드는 웹 브라우저, FTP 클라이언트, 암호화폐 지갑, PC 설정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하며 C&C 서버로 부터 명령을 받아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BeamWinHTTP와 마찬가지로 S/W 크랙 다운로드로 위장하여 유포되는 경우가 많다.

다음은 확인된 RedLine의 C&C 서버 도메인이다.

  • 139.99.32[.]83:43199
  • 185.106.92[.]86:48678
  • 191.101.130[.]240:41874
  • 194.93.2[.]28:46378
  • 2.56.57[.]16:25154
  • 23.94.54[.]224:6325
  • 65.21.213[.]209:32936

연관 IOC 및 관련 상세 분석 정보는 안랩의 차세대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AhnLab TIP’ 구독 서비스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Categories:위협 통계

Tagged as:

0 0 votes
별점 주기
Subscribe
Notify of
guest

0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