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2021년 7월 5일 월요일부터 2021년 7월 11일 일요일까지 수집된 한 주간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인포스틸러가 53.4%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CoinMiner 15.5%, RAT (Remote Administration Tool) 악성코드 14.4%, 다운로더 12.9%, 랜섬웨어 2.7%, Ddos 0.8% 순으로 집계되었다.

Top 1 – Glupteba
15.5%를 차지하는 Glupteba는 Golang으로 개발된 악성코드이다. 다수의 추가 모듈을 다운로드하며 여러 기능을 갖지만 실질적으로는 XMR (모네로) 코인 마이너를 설치하는 코인 마이너 악성코드이다.
Glupteba는 실행되면 UAC Bypass를 거쳐서 TrustedInstaller의 권한을 이용해 시스템 권한을 갖게 된다. 그리고 C:Windowsrsscsrss.exe 이름으로 정상 프로세스를 위장하여 시스템에 상주한다. 이후 추가 모듈을 다운로드하는데, 그 대상으로는 프로세스 및 파일들을 숨기기 위한 루트킷 드라이버들이 있으며, 최종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는 XMR 코인 마이너 및 SMB 취약점을 통한 전파를 위한 Eternal Blue 패키지가 있다.
현재 확인된 Glupteba 대부분은 PUP를 통해 다운로드되는 방식으로 유포 중이다. PUP를 통해 유포 중임에도 불구하고 이전 블로그에서 언급된 MalPe 패커 외형을 갖는다는 것이 특징이다.

참고로 MalPe 패커 외형을 갖는 악성코드들은 크게 Exploit Kit을 통해 유포되는 방식과, PUP 및 아래의 Vidar 악성코드 유포 사례와 같이 정상 프로그램으로 위장하여 유포되는 방식이 있다.

[추가 모듈 다운로드 주소]
- hxxps://spolaect[.]info
[C&C 서버 주소]
- hxxps://ninhaine[.]com
- hxxps://2makestorage[.]com
- hxxps://nisdably[.]com
Top 2 – Vidar
14.0%를 차지하는 Vidar도 대표적인 인포스틸러 /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Vidar는 웹 브라우저, FTP, 코인 지갑 주소, 스크린샷 등의 인포스틸러 기능 외에도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기능이 존재한다.
아래의 블로그 처럼 주기적으로 국내 사용자 타겟의 스팸 메일로 유포 중이며, 스팸 메일의 첨부 파일에 존재하는 압축 파일 내부에 다른 랜섬웨어와 함께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외에도 최근에는 특정 게임 플랫폼을 악용하여 유포 중이다.

다음 Vidar 악성코드의 정보 유출 기능에 대한 분석 정보이다.

해당 기간 동안 사용된 C&C 주소는 다음과 같다.
- hxxp://157.90.127[.]76/933
- hxxp://157.90.127[.]76/865
- hxxp://157.90.127[.]76/890
- hxxp://157.90.127[.]76/706
- hxxp://turkcoder.com.tr[.]ht/main.php
- hxxp://162.55.223[.]232/933
- hxxp://162.55.223[.]232/313
- hxxp://162.55.223[.]232/865
- hxxp://notedrives.tr[.]ht/main.php
- hxxp://erolbasa.ac[.]ug/main.php
- hxxp://162.55.223[.]232/947
Top 3 – Smoke Loader
Smoker Loader는 인포스틸러 / 다운로더 악성코드로서 12.1% 비율로 이번주 3위를 차지하였다. Smoke Loader와 관련된 분석 보고서는 아래의 ASEC 리포트를 참고하자.
[PDF] ASEC REPORT vol.101_한층 업그레이드된 최신판 스모크로더(Smoke Loader), 전격해부
다음은 확인된 C&C 서버 주소들이다.
- conceitosseg[.]com/upload/
- integrasidata[.]com/upload/
- ozentekstil[.]com/upload/
- finbelportal[.]com/upload/
- telanganadigital[.]com/upload/
- nusurtal4f[.]net/
- netomishnetojuk[.]net/
- netomishnetojuk[.]net/
- nick22doom4[.]net/
- wrioshtivsio[.]su/
- nusotiso4[.]su/
- rickkhtovkka[.]biz/
- palisotoliso[.]net/
- 999080321newfolder100231-service1022020[.]ru/
- 999080321newfolder100221-service1022020[.]ru/
- 999080321newfolder1002-012525999080321[.]ml/
- 999080321newfolder1002-012625999080321[.]ga/
- 999080321newfolder1002-012725999080321[.]cf/
- 999080321newfolder1002-012825999080321[.]gq/
Top 4 – BeamWinHTTP
11.7%를 차지하는 BeamWinHTTP는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PUP 설치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를 통해 유포되는데, BeamWinHTTP가 실행되면 PUP 악성코드인 Garbage Cleaner를 설치하고, 동시에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다음은 확인된 C&C 서버 주소이다.
- hxxp://g-partners[.]live
Top 5 – CryptBot
이번주 CryptBot 악성코드는 10.6% 로 5위를 차지했다. CryptBot은 주로 유틸리티 다운로드 페이지를 위장한 악성 사이트로부터 유포되고 있다. 해당 악성 사이트는 검색 엔진에 특정 키워드 검색 시 상위에 노출된다. 감염 시 각종 사용자 정보 탈취 및 추가 악성코드 다운로드 행위를 한다.

다음은 CryptBot의 C&C 서버 주소와 추가 악성코드 다운로드 주소이다.
- C&C1 : xeiqvo57[.]top/index.php
C&C2 : moraid05[.]top/index.php
Download URL : lopoga07[.]top/download.php?file=lv.exe - C&C1 : aleysn13[.]top/index.php
C&C2 : mordmy01[.]top/index.php
Download URL : otiasc01[.]top/download.php?file=lv.exe - C&C1 : xeinxk65[.]top/index.php
C&C2 : morksu06[.]top/index.php
Download URL : lopywn08[.]top/download.php?file=lv.exe - C&C1 : xeicwj77[.]top/index.php
C&C2 : moregy07[.]top/index.php
Download URL : lopxep10[.]top/download.php?file=lv.exe - C&C1 : alepez15[.]top/index.php
C&C2 : mordmy01[.]top/index.php
Download URL : otiasc01[.]top/download.php?file=lv.exe
유포 시 파일명은 다음과 같다.
- Setup.exe
- setup_x86_x64_install.exe
- Main-Setup.exe
- x86_x64_setup.exe
- main_setup_x86x64.exe
- SetupFile-v16.2.9.exe
연관 IOC 및 관련 상세 분석 정보는 안랩의 차세대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AhnLab TIP’ 구독 서비스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Categories:위협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