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 20210322 ~ 20210328 )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2021년 3월 22일 월요일부터 2021년 3월 28일 일요일까지 수집된 한 주간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인포스틸러가 74.1%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RAT (Remote Administration Tool) 악성코드가 17.2%, 다운로더가 4.3%, Coin Miner 가 2.8%, 뱅킹 악성코드가 1.2%로 집계되었다. 랜섬웨어는 이전과 동일하게 수량이 줄어들어 집계되지 않았다.

Top 1 –  AgentTesla

AgentTesla는 27.1%를 차지하며 1위를 차지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이다.

최근 유입되는 샘플들은 수집한 정보 유출 시 아래와 같은 메일 서버 및 사용자 계정들을 이용한다.

  • bh-37.webhostbox[.]net
    sender : info.network@greatdeck[.]co
    receiver : info.network@greatdeck[.]co
    user : info.network@greatdeck[.]co
    pw : Greatd@xxxx$!
  • us2.outbound.mailhostbox[.]com
    sender : grace@tapyung[.]com
    receiver : grace@tapyung[.]com
    user : grace@tapyung[.]com
    pw : GH****z2
  • iva5-057a0d1fbbd8.qloud-c.yandex[.]net
    sender : sultan.works@yandex[.]com
    receiver : sultan.works@yandex[.]com
    user : sultan.works@yandex[.]com
    pw : com****ice852
  • s38.mihanhelp[.]com
    sender : info@a-k.co[.]ir
    receiver : info@a-k.co[.]ir
    user : info@a-k.co[.]ir
    pw : 09****34194

대부분 송장(Invoice), 선적 서류(Shipment Document), 구매 주문서(P.O. – Purchase Order) 등으로 위장한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기 때문에 파일 이름도 동일하게 위와 같은 이름이 사용된다. 또한 확장자의 경우 pdf, xlsx와 같은 문서 파일이나 .dwg 즉 Auto CAD 도면 파일로 위장한 것들도 다수 존재한다.

  • Payment_Invoice.exe
  • RFQ#8086A_461A_0000086_300_3550_2021_Hangzhou_Zhongniuo.exe
  • Bill of Lading…..pdf.exe
  • TT payment.exe
  • 298700 Packing list case 6#.pdf.exe
  • ATR Truck 1.pdf.exe
  • Quotation 400026.exe
  • swift copy MT-103.exe
  • 298700 Packing list case SK1#.pdf.exe
  • RPQ_8765686-pdf.exe
  • OUR OFFICIAL ORDER.exe
  • 298700 Packing list case 1#.pdf.exe
  • 21-717_298400_Isken-1.pdf.exe


Top 2 –  Lokibot

이번 주는 Lokibot이 13.8% 로 2위를 차지했다. Lokibot은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로서 웹 브라우저, 메일 클라이언트, FTP 클라이언트 등의 프로그램들에 대한 정보를 유출한다.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는 다른 악성코드들 처럼 스팸 메일 형태로 유포됨에 따라 유사한 유포 파일명을 지닌다.

  • 2021_03_22.exe
  • PO 210322-008.exe
  • PO_210322.exe
  • 05062019_Scan.pdf.exe
  • 1426_TVS0905_M-Mold_BTM_Rev01.exe
  • kkEL9dwtvliYAfa.exe
  • Attached Payment Advise 39 430-25.exe
  • Quote list.exe
  • win32.exe
  • winlog.exe
  • regasm.exe
  • 20210323075943_140314136909568_275.pe
  • PO_210319.exe
  • G4ZlkIpHE5EUsdk.exe
  • ErrorMessage.exe
  • Order list march 2021.exe

대부분의 Lokibot 악성코드 C&C 서버는 다음과 같이 fre.php로 끝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hxxp://3tril[.]com/garuba/Panel/fre.php
  • hxxp://moem-my[.]com/zoro/zoro6/fre.php
  • hxxp://msslrsa-motherson[.]com/chief/boss/fre.php
  • hxxp://amrp[.]tw/webxpo/gate.php
  • hxxp://servrhost[.]xyz/MY3/five/fre.php
  • hxxp://nakib.buet.ac[.]bd/ox/Panel/fre.php
  • hxxp://becharnise[.]ir/fb15/fre.php
  • hxxp://transcorpoil[.]com/dumbo/dumbo1/fre.php
  • hxxp://gccorps[.]com/chief/kev/fre.php
  • hxxp://gjsd[.]xyz/MY/five/fre.php
  • hxxp://fleximexi[.]ir/stan/Panel/fre.php
  • hxxp://takr[.]xyz/TAKR/five/fre.php


Top 3 – Formbook

Formbook은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로 12.4%를 차지하며 Top 3위에 올랐다.

다른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들과 동일하게 대부분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며 유포 파일명도 유사하다.

  • MV Sky Marine_pdf.exe
  • SCANNED COPY.png
  • yeni sipariş pdf.exe
  • teklif siparişi pdf.exe
  • invoice.exe
  • (RFQ)견적요청_해성190918.exe
  • Swift Payment_PDA invoice_24_03_21.exe
  • INVOICE CORRECTION.png.scr
  • Fargo PW,pdf.exe
  • invoice No 60340.png.scr
  • Order-PO-0186500.exe
  • CVE9362.exe
  • host.exe

Formbook 악성코드는 현재 실행 중인 정상 프로세스인 explorer.exe 및 system32 경로에 있는 또 다른 정상 프로세스에 인젝션함에 따라 악의적인 행위는 정상 프로세스에 의해 수행된다. 웹 브라우저의 사용자 계정 정보 외에도 키로깅, Clipboard Grabbing, 웹 브라우저의 Form Grabbing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할 수 있다. 다음은 확인된 Formbook의 C&C 서버 주소이다.

  • hxxp://www.cowbex[.]info/ti26/
  • hxxp://www.magetu[.]info/m2be/
  • hxxp://www.ruvapy[.]com/vfs/
  • hxxp://www.lownak[.]com/g7b/
  • hxxp://www.novergi[.]com/bfr/
  • hxxp://www.magen-tracks[.]xyz/uoe8/
  • hxxp://www.commagx4[.]info/nsag/
  • hxxp://www.contex33[.]xyz/n30n/
  • hxxp://www.mex33[.]info/evh4/


Top 4 –  Vidar

8.5%를 차지하는 Vidar도 대표적인 인포스틸러 /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Vidar는 웹 브라우저, FTP, 코인 지갑 주소, 스크린샷 등의 인포스틸러 기능 외에도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기능이 존재한다.

아래의 블로그 처럼 주기적으로 국내 사용자 타겟의 스팸 메일로 유포 중이며, 스팸 메일의 첨부 파일에 존재하는 압축 파일 내부에 다른 랜섬웨어와 함께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외에도 최근에는 윈도우 정품 인증 툴인 KMSAuto 인스톨러로 위장하여 유포 중이다.

다음 Vidar 악성코드의 정보 유출 기능에 대한 분석 정보이다.

해당 기간 동안 사용된 C&C 주소는 다음과 같다.

  • hxxp://juhjuh[.]com/freebl3.dll
  • hxxp://choohchooh[.]com/freebl3.dll
  • hxxp://ciaociaoline[.]com/freebl3.dll
  • hxxp://data.parafia-strumiany[.]pl/freebl3.dll


Top 5 –  Remcos

이번 주는 Remcos가 6.7% 로 3위를 차지했다. Remcos는 RAT 악성코드로서 키로깅을 포함한 정보 유출 및 다양한 공격자의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Remcos는 AgentTesla, Formbook, AveMaria, NanoCore 등의 악성코드와 같이 닷넷 외형의 패커로 패킹되어 스팸 메일의 첨부 파일을 통해 유포되고 있다. 즉 접수되는 파일명도 아래와 같이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는 악성코드들과 유사하다.

  • Fatura _893454.pdf.exe
  • Y43CM3LH.exe
  • awo.exe
  • HUB.exe

다음은 확인된 Remcos의 C&C 서버 주소이다.

  • 105.112.145[.]186:2006
  • 172.111.156[.]135:1996
  • 188.72.103[.]27:2177
  • 78.129.249[.]105:2017
  • 176.111.174[.]14:2904
  • 104.223.106[.]236:8780

Categories:위협 통계

Tagged as:

5 1 vote
별점 주기
Subscribe
Notify of
guest

0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