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협 통계

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20221121 ~ 20221127)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11월 21일 월요일부터 11월 27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다운로더가 40.3%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인포스틸러가 35.8%, 백도어 16.3%, 랜섬웨어 7.2%, 코인마이너가 0.4%로 집계되었다. Top 1 – AgentTesla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인 AgentTesla가 17.3%로 1위를 기록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유형의 악성코드이다. 수집한 정보 유출 시 메일 주로 메일 즉 SMTP…

ASEC 주간 피싱 이메일 위협 트렌드 (20221113 ~ 20221119)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와 허니팟을 활용하여 피싱 이메일 위협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11월 13일부터 11월 19일까지 한 주간 확인된 피싱 이메일 공격의 유포 사례와 이를 유형별로 분류한 통계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기존에 발견되지 않은 새로운 유형이나 주의해야 할 이메일을 키워드와 함께 소개하여 사용자 피해를 최소화하려고 한다. 본 포스팅에서 다루는 피싱 이메일은 첨부파일이 있는 이메일만을 대상으로 한다. 첨부파일 없이 악성 링크만 본문에 포함된 이메일은 대상에서 제외한다. 피싱 이메일 위협 유형 한 주간 피싱 이메일 첨부파일 중…

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20221114 ~ 20221120)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11월 14일 월요일부터 11월 20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다운로더가 53.2%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백도어가 24.1%, 인포스틸러 21.1%, 랜섬웨어 1.0%, 코인마이너가 0.4%, 뱅킹 0.2%로 집계되었다. Top 1 – BeamWinHTTP 30.5%로 1위를 차지한 BeamWinHTTP는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PUP 설치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를 통해 유포되는데, BeamWinHTTP가 실행되면 PUP 악성코드인 Garbage Cleaner를 설치하고, 동시에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20221107 ~ 20221113)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11월 7일 월요일부터 11월 13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다운로더가 37.8%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인포스틸러 악성코드가 27.1%, 뱅킹 22.9%, 백도어 11.2%, 랜섬웨어와 코인마이너가 0.5%로 집계되었다. Top 1 – Emotet 6개월 만에 돌아온 Emotet 악성코드는 22.9%로 1위를 기록하였다. Emotet은 스팸 메일의 첨부 파일을 통해 유포되는 대표적인 뱅킹 악성코드이다. 국제적인 공조를 통해 무력화되기도 했던 Emotet은 최근…

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20221031 ~ 20221106)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10월 31일 월요일부터 11월 6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다운로더가 64.8%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인포스틸러 악성코드가 25.9%, 백도어 6.6%, 랜섬웨어 2.2%, 코인마이너 0.4%로 집계되었다. Top 1 – BeamWinHTTP 39.6%로 1위를 차지한 BeamWinHTTP는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PUP 설치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를 통해 유포되는데, BeamWinHTTP가 실행되면 PUP 악성코드인 Garbage Cleaner를 설치하고, 동시에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