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8일 이후 확인된 메그니베르(Magniber) 랜섬웨어는 기존의 복구툴로 복구가 불가능하다. 이유는 복구를 위해 필요한 벡터정보를 고정값이 아닌 랜덤하게 생성하여 발생한 것으로 동일한 확장자로 암호화된 파일이라도 사용자마다 사용된 벡터정보가 다를 수 있다. (단, 하나의 시스템에서 암호화된 파일은 동일 벡터가 사용) 이러한 문제로 인해 테스트로 복구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서도 일부 알려진 포멧(JPG, PNG, BMP, DOCX, PPTX, HWP, XLSX 등)의 파일들을 제외하고 복구가 실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파일 복구에 8시간 정도 소요될 수 있다는 문구가 추가되었다. 4월 8일 이후에 암호화된 파일을 복구하기 위해서는 감염시점에 무료로 복구 테스트를 제공하는 페이지를 통해 암호화 파일, 복호화 파일 한 쌍을 백업해 둘 필요가 있다. (일정시간이 지나면 해당 서비스 페이지 접속불가) 실패없이 복구에 성공하기 위해서 테스트 복구대상으로는 그림파일, 문서파일 등이 사용되는 것이 좋다. (*.doc, *.pdf, *.xls, *.ppt, *.hwp, *.docx, *.xlsx, *.pptx, *.jpg, *.bmp, *.png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