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AhnLab Security Emergency response Center)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3년 4월 17일 월요일부터 4월 23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다운로더가 61.2%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인포스틸러가 30.8%, 이어서 백도어 7.1%, 랜섬웨어 1.0%로 집계되었다.

Top 1 – Amadey
Amadey Bot 악성코드는 이번 주 57.7%를 차지하며 1위에 올랐다. Amadey는 다운로더 악성코드로서 공격자의 명령을 받아 추가 악성코드를 설치할 수 있으며, 정보 탈취 모듈이 사용될 경우에는 감염 시스템의 사용자 정보들을 수집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Amadey는 정상 프로그램 및 크랙 악성코드를 위장해 유포되고 있는 SmokeLoader에 의해 설치된다. 하지만 최근에는 기업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스팸 메일에 첨부된 악성 문서 파일을 통해 유포되면서 LockBit 랜섬웨어를 설치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다음은 확인된 C&C 서버 주소들이다.
- hxxp://193.201.9[.]43/plays/chapter/index.php
- hxxp://193.201.9[.]240/live/games/index.php
- hxxp://77.91.124[.]207/plays/chapter/index.php
- hxxp://212.113.119[.]255/joomla/index.php
Top 2 – AgentTesla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인 AgentTesla가 22.8%로 2위를 기록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유형의 악성코드이다.

수집한 정보 유출 시 메일 주로 메일 즉 SMTP 프로토콜을 활용하지만 FTP나 Telegram API 등을 사용하는 샘플도 존재한다. 최근 샘플들의 C&C 정보는 아래와 같다.
- SMTP Server : mail.expertsconsultgh.co
User : oppong@expertsconsultgh.co
Password : Op******012
Receiver : decenmomodou20@gmail.com - SMTP Server : mail.ciscuns.coop
User : info@ciscuns.coop
Password : 20******cun5
Receiver : admin@drpepercoadvertinc.com - Telegram API : hxxps://api.telegram[.]org/bot5261540771:AAHpybxDtEnwQtX4w7iGcSpo7-vbVF4FJuk
대부분 송장(Invoice), 선적 서류(Shipment Document), 구매 주문서(P.O. – Purchase Order) 등으로 위장한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기 때문에 파일명도 이와 관련된 단어 또는 문장이 사용된다. 확장자의 경우 pdf, xlsx와 같은 문서 파일로 위장한 샘플도 다수 존재한다.
- ORDER_110280.exe
- Payment Swift USD45,000.exe
- TT Copy.exe
- New Prices List.exe
- SO# A56DX04471.exe
- Invoice.exe
- paymentswift2020297830.pdf.exe
- Device Images.exe
Top 3 – Formbook
Formbook 악성코드는 5.8%로 3위를 기록하였다.

다른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들과 동일하게 대부분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며 유포 파일명도 유사하다.
- swiftcopy.exe
- Parcel No; TNT 502379AWF_pdf.exe
- VSL_BUNKER UPLOAD.exe
- DHL.exe
- QUOTATION.exe
Formbook 악성코드는 현재 실행 중인 정상 프로세스인 explorer.exe 및 system32 경로에 있는 또 다른 정상 프로세스에 인젝션함에 따라 악성 행위는 두 정상 프로세스에 의해 수행된다. 웹 브라우저의 사용자 계정 정보 외에도 키로깅, Clipboard Grabbing, 웹 브라우저의 Form Grabbing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할 수 있다.

다음은 확인된 Formbook의 C&C 서버 주소이다.
- hxxp://www.qr-api[.]net/3ri5/
- hxxp://www.qiopz[.]online/ie59/
- hxxp://www.purtfur[.]info/se6j/
- hxxp://www.methicone[.]top/wqdm/
- hxxp://www.stufshop[.]life/umuc/
- hxxp://www.bakecamp[.]info/5t58/
- hxxp://www.lightouch[.]life/ua0e/
- hxxp://www.tanforks[.]xyz/t6t4/
- hxxp://www.whymart[.]info/3ri5/
- hxxp://www.brequx[.]online/cx01/
- hxxp://www.hagfiw[.]xyz/re29/
- hxxp://www.brezop[.]xyz/oa09/
Top 4 – Guloader
3.2%로 4위를 차지한 GuLoader 는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여 실행시키는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과거에는 진단을 우회하기 위해 Visual Basic 언어로 패킹되어 있었으나 최근에는 NSIS 인스톨러 외형으로 유포된다. 원래 이름은 CloudEye로 알려져 있으며 GuLoader로 이름붙여진 이유는 다운로드 주소로 구글 드라이브가 자주 사용되기 때문이다. 물론 구글 드라이브 외에도 마이크로소프트의 원 드라이브, 디스코드 등 다양한 주소가 사용될 수 있다.
- hxxps://drive.google[.]com/uc?export=download&id=1enmlJf20qmEKuoERVqE-DLdm7_rTF4rZ
- hxxps://drive.google[.]com/uc?export=download&id=1JIYa-7eyXrD3bNUFz4FW-os00PURG4sB
- hxxps://drive.google[.]com/uc?export=download&id=1WkjiHCl-WqQvBjcNulsjYlBEE06eYb9U
- hxxps://drive.google[.]com/uc?export=download&id=17LWE42-pl_Ruy-vzWMZRWme0IisGa9mD
- hxxps://drive.google[.]com/uc?export=download&id=12yFAwFxWU04tQgFvL-37BeUyQax320QH
- hxxps://drive.google[.]com/uc?export=download&id=1foxwqq-YNxUWtSCDlFcD4E5c-2Gb_TAd
GuLoader는 탐지를 회피하기 위해 파일 형태가 아니라 메모리 상에 다운로드하며, 다운로드된 파일도 PE가 아닌 인코딩된 형태이다. 이후 메모리 상에서 디코딩되어 실행되는데, 다운로드되는 악성코드로는 Formbook, AgentTesla 같은 인포스틸러 악성코드 및 Remcos, NanoCore와 같은 RAT 악성코드들이 있다.
대부분 송장(Invoice), 선적 서류(Shipment Document), 구매 주문서(P.O. – Purchase Order) 등으로 위장한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기 때문에 파일 이름도 동일하게 위와 같은 이름이 사용된다. 또한 확장자의 경우 pdf, xlsx와 같은 문서 파일이나 .dwg 즉 Auto CAD 도면 파일로 위장한 것들도 다수 존재한다.
- Ziraat Bankasi Swift Mesaji_pdf.exe
- Tax Invoice 7759003436.exe
- Tarot Bureaucratist.exe
- Kristina.exe
- Kartotekiseringen Knyr.exe
Top 5 – njRAT
njRAT은 키로깅을 포함한 정보 유출 외에도 공격자의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RAT 악성코드로서 금주는 2.6%로 5위를 차지하였다. 최근 수집되는 njRAT들은 페이스북 광고 페이지 등과 같은 피싱을 통해 유포되는 경우가 많다.
- 176.115.70[.]97:5552
- mailsdc61[.]ga:2666
- 194.71.227[.]62:4444
- 7.tcp.eu.ngrok[.]io:10968
- 109.206.243[.]59:4444
njRAT은 상당수 정상 파일로 위장하여 유포되는 특징이 있다. 유포 시 위장하는 대상으로는 게임 핵이나 크랙 프로그램과 같은 불법 프로그램이 다수 존재하며, 이 외에도 불법 공유 게임들에 포함되어 유포되는 경우가 많다.
- Java update.exe
- rcon.exe
연관 IOC 및 관련 상세 분석 정보는 안랩의 차세대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AhnLab TIP’ 구독 서비스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Categories:위협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