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AhnLab Security Emergency response Center)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3년 3월 27일 월요일부터 4월 2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백도어가 54.9%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다운로더가 22.9%, 이어서 인포스틸러 20.6%, 랜섬웨어 1.3%, 코인마이너 0.3%로 집계되었다.

Top 1 – RedLine
RedLine 악성코드는 47.4%로 1위를 기록하였다. RedLine 악성코드는 웹 브라우저, FTP 클라이언트, 암호화폐 지갑, PC 설정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하며 C&C 서버로 부터 명령을 받아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BeamWinHTTP와 마찬가지로 S/W 크랙 다운로드로 위장하여 유포되는 경우가 많다.

다음은 확인된 RedLine의 C&C 서버 도메인이다.
- 193.233.20[.]32:4125/
- 212.113.116[.]143:29996/
- 51.210.161[.]21:36108/
- koreamonitoring[.]com:80/
- 176.113.115[.]145:4125/
Top 2 – Amadey
Amadey Bot 악성코드는 이번 주 12.2%를 차지하며 2위에 올랐다. Amadey는 다운로더 악성코드로서 공격자의 명령을 받아 추가 악성코드를 설치할 수 있으며, 정보 탈취 모듈이 사용될 경우에는 감염 시스템의 사용자 정보들을 수집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Amadey는 정상 프로그램 및 크랙 악성코드를 위장해 유포되고 있는 SmokeLoader에 의해 설치된다. 하지만 최근에는 기업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스팸 메일에 첨부된 악성 문서 파일을 통해 유포되면서 LockBit 랜섬웨어를 설치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다음은 확인된 C&C 서버 주소들이다.
- hxxp://77.73.134[.]27/8bmdh3Slb2/index.php
- hxxp://62.204.41[.]87/joomla/index.php
- hxxp://193.233.20[.]36/joomla/index.php
- hxxp://31.41.244[.]200/games/category/index.php
Top 3 – AgentTesla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인 AgentTesla가 11.5%로 3위를 기록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유형의 악성코드이다.

수집한 정보 유출 시 메일 주로 메일 즉 SMTP 프로토콜을 활용하지만 FTP나 Telegram API 등을 사용하는 샘플도 존재한다. 최근 샘플들의 C&C 정보는 아래와 같다.
- FTP Server : hxxp://www.213221321[.]com
User : root
Password : 12***********12 - SMTP Server : mail.dmstech.in
User : sanjeev@dmstech.in
Password : 0*********fd
Receiver : zakirrome@ostdubai.com - SMTP Server : mail.mdist.us
User : maria@mdist.us
Password : Ma*******1
Receiver : elchin.huseynov@retemslogistics.com - SMTP Server : mail.mercamaq.com.br
User : vendas@mercamaq.com.br
Password : 12***************
Receiver : ops.eg@24x7rooms.com
대부분 송장(Invoice), 선적 서류(Shipment Document), 구매 주문서(P.O. – Purchase Order) 등으로 위장한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기 때문에 파일명도 이와 관련된 단어 또는 문장이 사용된다. 확장자의 경우 pdf, xlsx와 같은 문서 파일로 위장한 샘플도 다수 존재한다.
- UPDATED_LIST.exe
- swift.exe
- PO-1060688.exe
- REMITTANCE TT COPY $23.exe
- 150.00_20230320.pdf.exe
- Udated SOA2223.exe
- New Prices List and Products.exe
- New Products and Prices.exe
Top 4 – Guloader
6.0%로 4위를 차지한 GuLoader 는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여 실행시키는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과거에는 진단을 우회하기 위해 Visual Basic 언어로 패킹되어 있었으나 최근에는 NSIS 인스톨러 외형으로 유포된다. 원래 이름은 CloudEye로 알려져 있으며 GuLoader로 이름붙여진 이유는 다운로드 주소로 구글 드라이브가 자주 사용되기 때문이다. 물론 구글 드라이브 외에도 마이크로소프트의 원 드라이브, 디스코드 등 다양한 주소가 사용될 수 있다.
- hxxp://drive.google[.]com/uc?export=download&id=1zomSN6wCxUSmHyDxEQxPjW0m6b8x81cT
- hxxp://drive.google[.]com/uc?export=download&id=1DuiP219QsHK19SznHPC9NMJ30Owcebsu
- hxxp://drive.google[.]com/uc?export=download&id=1dv6tlOwLU3eePqgwUUYvgVSFYgs8NuZi
- hxxp://drive.google[.]com/uc?export=download&id=1KxH1poJnEw5m0kDdS0Ut5cY3RYNL4-dL
- hxxp://drive.google[.]com/uc?export=download&id=1uv_5EGH8vju6IUAtg3Bc1iyWfqLnhNaU
- hxxp://drive.google[.]com/uc?export=download&id=1w4Ldxfm6QjyxbksxswERlGDtHvoheTf9
GuLoader는 탐지를 회피하기 위해 파일 형태가 아니라 메모리 상에 다운로드하며, 다운로드된 파일도 PE가 아닌 인코딩된 형태이다. 이후 메모리 상에서 디코딩되어 실행되는데, 다운로드되는 악성코드로는 Formbook, AgentTesla 같은 인포스틸러 악성코드 및 Remcos, NanoCore와 같은 RAT 악성코드들이 있다.
대부분 송장(Invoice), 선적 서류(Shipment Document), 구매 주문서(P.O. – Purchase Order) 등으로 위장한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기 때문에 파일 이름도 동일하게 위와 같은 이름이 사용된다. 또한 확장자의 경우 pdf, xlsx와 같은 문서 파일이나 .dwg 즉 Auto CAD 도면 파일로 위장한 것들도 다수 존재한다.
- Arrival Notice_6648122036.exe
- SPEC02781.exe
- MRSK0052447.exe
- d6300a.exe
- Scan Pictures.exe
- Nuestro Cargo Abono.exe
Top 5 – Formbook
Formbook 악성코드는 4.2%로 5위를 기록하였다.

다른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들과 동일하게 대부분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며 유포 파일명도 유사하다.
- Reference Notice_pdf.exe
- ESP510YI0.exe
- Intl House – Bill of Lading (Draft)-0078.pdf………………………………exe
- PNS5109Y31.exe
- SC51097Y43X0I.exe
Formbook 악성코드는 현재 실행 중인 정상 프로세스인 explorer.exe 및 system32 경로에 있는 또 다른 정상 프로세스에 인젝션함에 따라 악성 행위는 두 정상 프로세스에 의해 수행된다. 웹 브라우저의 사용자 계정 정보 외에도 키로깅, Clipboard Grabbing, 웹 브라우저의 Form Grabbing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할 수 있다.

다음은 확인된 Formbook의 C&C 서버 주소이다.
- hxxp://www.copebees[.]online/h6qh/
- hxxp://www.nasvour[.]top/0ons/
- hxxp://www.anrovlp[.]xyz/n13e/
- hxxp://www.mtevz[.]online/ar73/
- hxxp://www.pitmarpay[.]xyz/essu/
연관 IOC 및 관련 상세 분석 정보는 안랩의 차세대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AhnLab TIP’ 구독 서비스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Categories:위협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