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20230313 ~ 20230319)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3년 3월 13일 월요일부터 3월 19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인포스틸러가 43.8%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백도어가 34.5%, 이어서 다운로더 18.7%, 랜섬웨어 1.7%, 뱅킹 0.9%, 코인마이너 0.4%로 집계되었다.


Top 1 –  Redline

RedLine 악성코드는 23.4%로 1위를 기록하였다. RedLine 악성코드는 웹 브라우저, FTP 클라이언트, 암호화폐 지갑, PC 설정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하며 C&C 서버로 부터 명령을 받아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BeamWinHTTP와 마찬가지로 S/W 크랙 다운로드로 위장하여 유포되는 경우가 많다.

다음은 확인된 RedLine의 C&C 서버 도메인이다.

  • fronxtracking[.]com:80/
  • 193.233.20[.]28:4125/
  • 176.113.115[.]24:37118/
  • 82.115.223[.]46:57672/
  • 91.193.43[.]63:81/


Top 2 – AgentTesla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인 AgentTesla가 20.9%로 2위를 기록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유형의 악성코드이다.

수집한 정보 유출 시 메일 주로 메일 즉 SMTP 프로토콜을 활용하지만 FTP나 Telegram API 등을 사용하는 샘플도 존재한다. 최근 샘플들의 C&C 정보는 아래와 같다.

  • SMTP Server : us2.smtp.mailhostbox[.]com
    User : log3@forrwel.net
    Password : HN***Y3
    Receiver : log3@forrwel.net
  • SMTP Server : mail.shekharlogistics[.]com
    User : asm@shekharlogistics.com
    Password : as***234
    Receiver : pcompany157@gmail.com
  • Telegram : hxxps://api.telegram[.]org/bot5693068931:AAGSQSNIWDJM1FzeZVNHS020I9wVBrQdkRM/
  • Telegram : hxxps://api.telegram[.]org/bot5663632223:AAG5KHZDs7KWoaqTYx3lSyFlOdfD9vGegQo/

대부분 송장(Invoice), 선적 서류(Shipment Document), 구매 주문서(P.O. – Purchase Order) 등으로 위장한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기 때문에 파일명도 이와 관련된 단어 또는 문장이 사용된다. 확장자의 경우 pdf, xlsx와 같은 문서 파일로 위장한 샘플도 다수 존재한다.

  • img-3151025-0001.exe
  • New Order & SPB drawings.exe
  • PO2300109.exe
  • PURCHASE CONTRACT.exe
  • Purchase Order-0823636.exe
  • Rajhi Almarai Co Order Specification.exe


Top 3 – Formbook

Formbook 악성코드는 9.4%로 3위를 기록하였다.

다른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들과 동일하게 대부분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며 유포 파일명도 유사하다.

  • Listed Product.pdf
  • OUTSTANDING PAYMENT.exe
  • RQ20230903.pdf.exe
  • PSU-PQRN-23-00004 Supply at Port Suwaiq.exe
  • PO.exe
  • PUCHASE INQUIRY_pdf.exe

Formbook 악성코드는 현재 실행 중인 정상 프로세스인 explorer.exe 및 system32 경로에 있는 또 다른 정상 프로세스에 인젝션함에 따라 악성 행위는 두 정상 프로세스에 의해 수행된다. 웹 브라우저의 사용자 계정 정보 외에도 키로깅, Clipboard Grabbing, 웹 브라우저의 Form Grabbing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할 수 있다.

다음은 확인된 Formbook의 C&C 서버 주소이다.

  • hxxp://www.bameit[.]xyz/us38/
  • hxxp://www.bleclear[.]xyz/p58z/
  • hxxp://www.cdhptor[.]xyz/ho62/
  • hxxp://www.choicymart[.]info/qcd1/
  • hxxp://www.deglaz[.]xyz/rdc9/
  • hxxp://www.forgrat[.]xyz/u8fg/
  • hxxp://www.frykuv[.]xyz/ke03/
  • hxxp://www.ftgam[.]xyz/k04s/
  • hxxp://www.gorwly[.]top/0oqq/
  • hxxp://www.mexob[.]online/ny18/
  • hxxp://www.mtevz[.]online/ar73/
  • hxxp://www.ontexz[.]online/s26y/
  • hxxp://www.pilcoh[.]online/dr62/
  • hxxp://www.polyneat[.]xyz/q3m2/
  • hxxp://www.prwonq[.]online/l01h/
  • hxxp://www.pyvob[.]xyz/nu06/
  • hxxp://www.voiceg[.]live/mwbm/
  • hxxp://www.ytorly[.]xyz/bk08/


Top 4 – Smokeloader

Smokerloader는 인포스틸러 /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며 익스플로잇 킷을 통해 유포된다. 이번 주는 7.7%를 차지하며 4위에 올랐다. 익스플로잇 킷을 통해 유포되는 다른 악성코드와 마찬가지로 MalPe 외형을 갖는다. 

실행되면 explorer.exe에 자기 자신을 인젝션하게 되고, 실제 악성 행위는 이 explorer.exe에 의해 수행된다. C&C 서버에 접속한 후 명령에 따라 추가 모듈을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고, 또 다른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추가 모듈의 경우 다운로드되는 모듈 대부분은 인포스틸러 기능을 담당하며, 자식 프로세스로 explorer.exe를 생성하여 모듈을 인젝션하여 동작시킨다.

Smoker Loader는 인포스틸러 / 다운로더 악성코드로서 6.6% 비율로 이번주 5위를 차지하였다. Smoke Loader와 관련된 분석 보고서는 아래의 ASEC 리포트 내에 존재한다.

[PDF] ASEC REPORT vol.101_한층 업그레이드된 최신판 스모크로더(Smoke Loader), 전격해부

다음은 확인된 C&C 서버 주소들이다.

  • hoh0aeghwugh2gie[.]com/
  • hie7doodohpae4na[.]com/
  • aek0aicifaloh1yo[.]com/
  • yic0oosaeiy7ahng[.]com/
  • wa5zu7sekai8xeih[.]com/
  • vispik[.]at/tmp/
  • ekcentric[.]com/tmp/
  • hbeat[.]ru/tmp/
  • mordo[.]ru/tmp/

C&C 서버의 명령에 따라 외부에서 또 다른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데, 확인된 악성코드로는 Dharma 랜섬웨어, Lockbit 랜섬웨어 등이 있다.


Top 5 – Guloader

6.0%로 5위를 차지한 GuLoader 는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여 실행시키는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과거에는 진단을 우회하기 위해 Visual Basic 언어로 패킹되어 있었으나 최근에는 NSIS 인스톨러 외형으로 유포된다. 원래 이름은 CloudEye로 알려져 있으며 GuLoader로 이름붙여진 이유는 다운로드 주소로 구글 드라이브가 자주 사용되기 때문이다. 물론 구글 드라이브 외에도 마이크로소프트의 원 드라이브, 디스코드 등 다양한 주소가 사용될 수 있다.

  • hxxps://drive.google[.]com/uc?export=download&id=1JLoWY_UwPQZqnfU-aXcbmQQGdybQA7bC
  • hxxps://drive.google[.]com/uc?export=download&id=1ZXCL8GB-g88ZrE5yZcpsNCrMMx7dcNFt
  • hxxps://drive.google[.]com/uc?export=download&id=11CbFsftqr1Xo5pMnQ0yXoU3AOXjN6D9g
  • hxxps://drive.google[.]com/uc?export=download&id=1Fkuz6htSSF-OnZWIprqGOtyyuwm-5HbL
  • hxxps://drive.google[.]com/uc?export=download&id=1vmOa0igmO0NqRm3gFyOGIeifLGX9oQN4
  • hxxps://drive.google[.]com/uc?export=download&id=17NzUaSj4s1XuTTewrLRdGOZr0b0foGCO
  • hxxps://drive.google[.]com/uc?export=download&id=1knb_1yCJra3TXaDYwwOwGC_CmdAclfH-
  • hxxps://drive.google[.]com/uc?export=download&id=1WOHTf_-ZMbqLEd4azi7ABOVT3Sc31Qwf
  • hxxps://www.superwatercleanhealthy[.]com/ReAlN124.bin
  • hxxp://5.255.110[.]224/klErcNeTFQR182.emz

GuLoader는 탐지를 회피하기 위해 파일 형태가 아니라 메모리 상에 다운로드하며, 다운로드된 파일도 PE가 아닌 인코딩된 형태이다. 이후 메모리 상에서 디코딩되어 실행되는데, 다운로드되는 악성코드로는 Formbook, AgentTesla 같은 인포스틸러 악성코드 및 Remcos, NanoCore와 같은 RAT 악성코드들이 있다.

대부분 송장(Invoice), 선적 서류(Shipment Document), 구매 주문서(P.O. – Purchase Order) 등으로 위장한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기 때문에 파일 이름도 동일하게 위와 같은 이름이 사용된다. 또한 확장자의 경우 pdf, xlsx와 같은 문서 파일이나 .dwg 즉 Auto CAD 도면 파일로 위장한 것들도 다수 존재한다.

  • MEDIANET SOLUTIONS SL OFERTA 2602288.exe
  • RC-30071940116400.exe
  • Satedness.exe
  • SITAMO COMPARTIMENTACION DE OFICINAS S.L OFERTA 2563400.exe
  • TDQ2907714_MGKME2478_150302023.exe
  • TJMAXX_DISTRIBUTION_INSTRUCTIONS_13_03_2023_1008_AM_873318_V1.exe

연관 IOC 및 관련 상세 분석 정보는 안랩의 차세대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AhnLab TIP’ 구독 서비스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0 0 votes
별점 주기
Subscribe
Notify of
guest

0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