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주간 피싱 이메일 위협 트렌드 (20221204 ~ 20221210)

ASEC 분석팀에서는 샘플 자동 분석 시스템(RAPIT)과 허니팟을 활용하여 피싱 이메일 위협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12월 04일부터 12월 10일까지 한 주간 확인된 피싱 이메일 공격의 유포 사례와 이를 유형별로 분류한 통계 정보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피싱은 공격자가 사회공학 기법을 이용하여 주로 이메일을 통해 기관, 기업, 개인 등으로 위장하거나 사칭함으로써 사용자의 로그인 계정(크리덴셜) 정보를 유출하는 공격을 의미한다. 또한 피싱은 넓은 의미에서, 공격자가 각종 대상을 상대로 하는 정보 유출, 악성코드 유포, 온라인 사기 행위 등의 공격을 가능하게 하는 악의적인 속임수(technical subterfuge) 뜻한다. 본 포스팅에서는 피싱이 주로 이메일로 유입되는 공격이라는 것에 주안점을 둔다. 그리고 피싱 이메일을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공격 방식들을 세부적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기존에 발견되지 않은 새로운 유형이나 주의해야 할 이메일을 키워드와 함께 소개하여 사용자 피해를 최소화하려고 한다. 참고로 본 포스팅에서 다루는 피싱 이메일은 첨부파일이 있는 이메일만을 대상으로 한다. 첨부파일 없이 악성 링크만 본문에 포함된 이메일은 대상에서 제외한다. 로그인 계정 정보 유출 유형은 가짜 로그인 페이지로 용어를 정의하였다.

피싱 이메일 위협 유형

한 주간 피싱 이메일 첨부파일 중 가장 많은 위협 유형은 가짜 로그인 페이지(FakePage, 36%)였다. 가짜 로그인 페이지는 공격자가 정상 로그인 페이지의 화면 구성, 로고, 폰트를 그대로 모방한 웹 페이지로, 사용자가 자신의 계정과 패스워드를 입력하도록 유도한다. 입력된 정보는 공격자 C2 서버로 전송된다.아래 <가짜 로그인 페이지 C2> 참고

그다음으로 많은 위협 유형은 정보 탈취 악성코드(Infostealer, 23%)였다. 정보 탈취 악성코드는 AgentTesla, FormBook 등이 포함되며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한다.

세번째로 많은 위협 유형은  SmokeLoader, GuLoader와 같은 로더를 포함한 다운로더(Downloader, 16%) 악성코드 였다. 이 외에 웜(Worm, 13%), 백도어(Backdoor, 7%), 트로이목마(Trojan, 3%), 취약점(Exploit, 2%) 유형이 확인되었다.

피싱 이메일 첨부파일을 이용한 위협 유형과 그 순위는 <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로 매주 공개하는 악성코드 유포 순위와 유사하다.

첨부파일 확장자

위에서 설명한 위협들이 어떤 파일 확장자로 이메일에 첨부되어 유포되었는지 확인하였다. 가짜 로그인 페이지는 웹 브라우저로 실행되어야 하는 웹 페이지 스크립트이기 때문에 HTML, HTM 파일 확장자로 유포되었다. 정보유출형 악성코드와 다운로더 악성코드를 포함한 그 외 악성코드는 ZIP, R00, RAR,7Z 등의 압축파일, IMG 디스크 이미지 파일, XLS 문서 파일 등을 포함한 다양한 파일 확장자로 이메일에 첨부되어 들어왔다. 웹 페이지 스크립트 파일이어야 하는 가짜 로그인 페이지를 제외한 악성코드는 위협 유형에 상관 없이 다양한 파일 확장자로 유포되었다. 한 주간 피싱 이메일 첨부파일 유형에서는 특히 IMG 파일 유형이 높은 비율을 보였다.


유포 사례

2022년 12월 04일부터 12월 10일까지 한 주간 유포 사례이다. 가짜 로그인 페이지 유형과 정보유출, 다운로더, 취약점, 백도어를 포함한 악성코드 유형을 구분하여 소개한다. 이메일 제목과 첨부파일 명에 등장하는 숫자는 일반적으로 고유 ID 값으로서, 이메일 수신자에 따라 다를 수 있다. 한글 제목의 유포 사례도 확인되었다. 글로벌하게 똑같은 영문 제목과 내용으로 유포되는 것이 아닌 국내 사용자를 공격 대상으로 한 사례이다.

사례: 가짜 로그인 페이지 (FakePage)

이메일 제목 첨부파일
4_DHL KOREA에서 [거래명세서]가 도착하였습니다. AWB-87466784.html
FW: Quotation Enquiry.html
Payment Advise Payment Slip.html
Please approve payment of attached invoice before we process payment invoice balance payment comfirmation pdf.htm
RE: Shipping docs PO 2211& 785521 -Draft invoice comfirmation shipping docs invoice BL comfirmation pdf.htm
Your parcel has arrived urgent pick up needed today.? DHL AWB #8347630120622.pdf.htm

 

사례: 악성코드 (Infostealer, Downloader 등)

이메일 제목 첨부파일
20220512 Order 00177 20220512 Order 00177.pdf (78kb).img
TT05122022 Updated Payment List – 2022.12.05 Re: Contract for PO064005 TT0512202201.img
RFQ12072022 RFQsheet12072022.rar
Fw: RFQ#223090 Request quotation RFQ 223090.PDF.7z
RE: BALANCE PAYMENT Swift Copy.img
NEW ORDER #306078910 P.O #306078910.xls
CIF_ MW1000CW (NEW) QUOTATION CIF_ MW1000CW (NEW) QUOTATION.r00
Re[5]: very wonderful pictures imortant prv-photos.exe
RE: WRONG IBAN/PAYMENT RETURNED Transfer Application.img
Re: nuevo pedido #lista de precios y menor tiempo de entrega lista de cotizaciones.img
very cool images imortant sex_img.gif.pif
beautiful pictures superact.exe
RE: NEW ORDER PI IMG09122201.img
smart pics coolaction.gif.exe
Re[5]: beautiful photos privaction.jpg.pif
Re[2]: super cool picture PRIVATE best__action.jpg.pif
Re: RETURN PAYMENT TT (Ref 0180066743) TT12052022.img
PO No. ANOP0658 PO_No._ANOP0658.img
cool pictures only for you sexphotos.jpg.exe

 

ASEC 분석팀은 위 유포 사례를 토대로 사용자가 주의해야 할 키워드를 선정하였다. 키워드 단어가 이메일 제목에 포함되었거나 동일한 특징이 있다면, 공격자가 발송한 피싱 이메일일 수 있으니 각별히 주의가 필요하다.

 

주의 키워드: ‘거래명세서’
메일 중 한국어 ‘거래명세서‘ 키워드를 사용해 특정 업체로 위장하여 악성코드가 유포되었다. 아래 사례는 HTML 형식의 파일을 메일에 첨부하였다. 첨부 파일은 로그인 페이지를 위장한 피싱 파일(FakePage)이다.

 

주의 키워드: 그림 파일을 위장한 ‘PIF’
피싱 메일 중 사진 파일을 첨부한 것으로 위장(privaction.jpg.pif)하는 Worm 류 악성코드가 확인되었다 . 확장자는 아래와 같이 *.pif로 만들어져 유포되었으며 이는 EXE 확장자와 같은 실행 가능한 파일이다.
  

가짜 로그인 페이지 (FakePage) C2 주소

공격자가 만들어둔 가짜 로그인 페이지에 사용자가 자신의 계정과 패스워드를 입력할 경우 공격자 서버로 해당 정보가 전송된다. 아래 목록은 한 주간 유포된 가짜 로그인 페이지의 공격자 C2 주소이다.

  • hxxps://reverse-nature.mymeriva.com/.well-known/pki-validation/exe.php
  • hxxps://formspree.io/f/mlevkpjv
  • hxxps://satursuions.cc/MOyhoia/feedback.php
  • hxxps://submit-form.com/FgKiWexJ
  • hxxps://gojobs.in/xzx/dhl.php

 

피싱 이메일 공격 예방

피싱 이메일을 이용한 공격은 사용자가 가짜 로그인 페이지 접속이나 악성코드를 실행하도록 하기 위해 송장, 세금 납부 등 사용자가 속기 쉬운 내용으로 위장하여 유포된다. 가짜 로그인 페이지는 정상 페이지와 유사하게 시간이 지날수록 더 정교해지고 있다. 악성코드는 압축 파일 포맷으로 패키지되어 보안 제품의 첨부파일 탐지를 우회하고 있다. 사용자는 악성 피싱 이메일로 인한 감염 피해에 노출되지 않도록 최근 유포 사례를 참고하여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ASEC 분석팀은 다음과 같은 이메일 보안 수칙을 권고한다.

  • 확인되지 않은 발신자에게 온 이메일에 포함된 링크, 첨부파일은 그 내용을 신뢰할 수 있기 전까지 실행하지 않는다.
  • 로그인 계정을 비롯한 민감 정보는 신뢰할 수 있기 전까지 입력하지 않는다.
  • 익숙하지 않은 파일 확장자로 된 첨부파일은 신뢰할 수 있기 전까지 실행하지 않는다.
  • 안티바이러스를 비롯한 보안 제품을 이용한다.

피싱 이메일 공격은 MITRE ATT&CK 프레임워크에서 다음 Techniques에 해당한다.

  • Phishing for Information(Reconnaissance, ID: T1598[1])
  • Phishing(Initial Access, ID: TI1566[2])
  • Internal Spearphishing(Lateral Movement, ID:T1534[3])

연관 IOC 및 관련 상세 분석 정보는 안랩의 차세대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AhnLab TIP’ 구독 서비스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0 0 votes
별점 주기
Subscribe
Notify of
guest

0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