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9월 26일 월요일부터 10월 02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다운로더가 38.2%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인포스틸러 악성코드가 35.1%, 랜섬웨어 14.7%, 백도어가 11.6%, 코인마이너가 0.4%로 집계되었다.

Top 1 – BeamWinHTTP
16.7%로 1위를 차지한 BeamWinHTTP는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PUP 설치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를 통해 유포되는데, BeamWinHTTP가 실행되면 PUP 악성코드인 Garbage Cleaner를 설치하고, 동시에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다음은 확인된 C&C 서버 주소이다.
- 95.214.24[.]96
- 208.67.104[.]97
- gcl-gb[.]biz
- artislife[.]top
- forwardstorage[.]biz
Top 2 – Smokeloader
Smokerloader는 인포스틸러 /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며 익스플로잇 킷을 통해 유포된다. 이번 주는 15.1%를 차지하며 2위에 올랐다. 익스플로잇 킷을 통해 유포되는 다른 악성코드와 마찬가지로 MalPe 외형을 갖는다.
실행되면 explorer.exe에 자기 자신을 인젝션하게 되고, 실제 악성 행위는 이 explorer.exe에 의해 수행된다. C&C 서버에 접속한 후 명령에 따라 추가 모듈을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고, 또 다른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추가 모듈의 경우 다운로드되는 모듈 대부분은 인포스틸러 기능을 담당하며, 자식 프로세스로 explorer.exe를 생성하여 모듈을 인젝션하여 동작시킨다.
Smoke Loader와 관련된 분석 보고서는 아래의 ASEC 리포트 내에 존재한다.
[PDF] ASEC REPORT vol.101_한층 업그레이드된 최신판 스모크로더(Smoke Loader), 전격해부
다음은 확인된 C&C 서버 주소들이다.
- host-file-host6[.]com
- host-file-host8[.]com
- furubujjul[.]net
- starvestitibo[.]org
- liubertiyyyul[.]net
- bururutu44org[.]org
- nvulukuluir[.]net
- gulutina49org[.]org
- hulimudulinu[.]net
- stalnnuytyt[.]org
- nuluitnulo[.]me
C&C 서버의 명령에 따라 외부에서 또 다른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데, 확인된 악성코드로는 Dharma 랜섬웨어, Lockbit 랜섬웨어 등이 있다.
Top 3 – Stop Ransomware
14.3%로 3위를 차지한 Stop Ransomware 는 주로 익스플로잇 킷을 통해 유포되는 랜섬웨어 악성코드이다. 해당 악성코드는 사용자 PC 내 특정 파일들을 암호화하며, 이전부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지속적으로 유포되고 있다. 최근 유포된 샘플들은 정보탈취형 악성코드인 Vidar 악성코드를 설치 후 랜섬웨어 행위를 한다.

다음은 Stop 랜섬웨어의 C&C 서버주소이다.
- hxxp://rgyui[.]top/dl/build2.exe
- hxxp://winnlinne[.]com/test3/get.php
- hxxp://winnlinne[.]com/files/1/build3.exe
- hxxp://wfsdragon[.]ru/api/setStats.php
- hxxp://136.144.41[.]201/server.txt
- hxxp://136.144.41[.]152/base/api/getData.php
- hxxp://uyg5wye.2ihsfa[.]com/api/fbtime
- hxxp://45.133.1[.]107/server.txt
- hxxp://gcl-gb[.]biz/stats/1.php
- hxxp://gcl-gb[.]biz/check.php
- hxxp://gcl-gb[.]biz/stats/save.php
- hxxp://t.gogamec[.]com
- hxxp://49.12.226[.]201/base/api/getData.php
Top 4 – Vidar
이번주는 Vidar가 13.1%를 차지하며 4위를 차지하였다. Vidar는 대표적인 인포스틸러 /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Vidar는 웹 브라우저, FTP, 코인 지갑 주소, 스크린샷 등의 인포스틸러 기능 외에도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할 수 있는 기능이 존재한다.
아래의 블로그처럼 주기적으로 국내 사용자 타겟의 스팸 메일로 유포 중이며, 스팸 메일의 첨부 파일에 존재하는 압축 파일 내부에 다른 랜섬웨어와 함께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외에도 최근에는 특정 게임 플랫폼을 악용하여 유포 중이다.

다음 Vidar 악성코드의 정보 유출 기능에 대한 분석 정보이다.

해당 기간 동안 사용된 C&C 주소는 다음과 같다.
- hxxp://94.131.97[.]136/1281
- hxxp://94.131.96[.]16/1281
- hxxp://94.131.97[.]143/1281
- hxxp://94.131.97[.]153/1191
- hxxp://45.142.213[.]7/1281
- hxxp://45.89.55[.]176/1281
- hxxp://94.131.97[.]119/1281
- hxxp://88.198.89[.]6/1695
Top 5 – Agent Tesla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인 AgentTesla가 11.6%로 5위를 기록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유형의 악성코드이다.

수집한 정보 유출 시 메일을 활용하며 FTP나 Discord API 등을 사용하는 샘플도 존재한다. 최근 샘플들의 C&C 정보는 아래와 같다.
- server : mail.tricomcomputacion[.]com (192.254.211[.]36)
sender : danielventas@tricomcomputacion[.]com
receiver : dorotaannagrebowiec01@gmail[.]com
user : danielventas@tricomcomputacion[.]com
pw : DANI****168 - server : mail.thesharpening.com[.]au (139.99.142[.]16)
sender : sales@thesharpening.com[.]au
receiver : sales@thesharpening.com[.]au
user : sales@thesharpening.com[.]au
pw : Sa****{#_ - server : mail.rylanlogisticsltd[.]com (144.76.236[.]210)
sender : mary@rylanlogisticsltd[.]com
receiver : ranjqnupreti3@gmail[.]com
user : mary@rylanlogisticsltd[.]com
pw : M@***!*
대부분 송장(Invoice), 선적 서류(Shipment Document), 구매 주문서(P.O. – Purchase Order) 등으로 위장한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기 때문에 파일명도 이와 관련된 단어 또는 문장이 사용된다. 확장자의 경우 pdf, xlsx와 같은 문서 파일로 위장한 샘플도 다수 존재한다.
- EventSourceAttrib.exe
- DHL SHIPMENT NOTIFICATION.exe
- New Order 099923512489_pdf.exe
- PO 20220608.exe
- DEPOSIT SLIP.exe
연관 IOC 및 관련 상세 분석 정보는 안랩의 차세대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AhnLab TIP’ 구독 서비스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Categories:위협 통계
[…] 기준으로 하더라도 다양한 유형의 백도어들이 공격에 사용되고 있다.[2] 상용 RAT 및 딥웹에서 판매되고 있는 대표적인 RAT 유형으로는 Remocs RA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