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20220725 ~ 20220731)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7월 25일 월요일부터 7월 31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인포스틸러가 38.6%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백도어 악성코드가 38.1%, 다운로더 23.3%로 집계되었다.

Top 1 – Agent Tesla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인 AgentTesla가 23.8%로 1위를 기록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유형의 악성코드이다.

수집한 정보 유출 시 메일을 활용하며 FTP나 Discord API 등을 사용하는 샘플도 존재한다. 최근 샘플들의 C&C 정보는 아래와 같다.

  • server : server27.host[.]bg
    sender : mateev@ema-bg[.]com
    receiver : gonzajohnn@gmail[.]com
    user : sender : mateev@ema-bg[.]com
    pw : 72c******c80ff
  • server : mail.activandalucia[.]com (185.162.171[.]75)
    sender : marketing9@activandalucia[.]com
    receiver : sales9@activandalucia[].com
    user : marketing9@activandalucia[.]com
    pw : iyke****89@$
  • server : od.sin2.secureserver[.]net
    sender : whford@focuzauto[.]com
    receiver : obtxxxtf@gmail[.]com
    user : whford@focuzauto[.]com
    pw : Gdn4*****16

대부분 송장(Invoice), 선적 서류(Shipment Document), 구매 주문서(P.O. – Purchase Order) 등으로 위장한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기 때문에 파일명도 이와 관련된 단어 또는 문장이 사용된다. 확장자의 경우 pdf, xlsx와 같은 문서 파일로 위장한 샘플도 다수 존재한다.

  • SHipping documents.exe
  • ftkbeaep.exe
  • Purchase Order_Request for QUOTE Specs.exe
  • 220077 INVOICE.exe
  • Img-08052020.exe
  • Payment Advice.exe
  • DHL SHIPMENT NOTIFICATION.exe

Top 2 – RedLine

RedLine 악성코드는 21.2%로 2위를 기록하였다. RedLine 악성코드는 웹 브라우저, FTP 클라이언트, 암호화폐 지갑, PC 설정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하며 C&C 서버로 부터 명령을 받아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BeamWinHTTP와 마찬가지로 S/W 크랙 다운로드로 위장하여 유포되는 경우가 많다.

다음은 확인된 RedLine의 C&C 서버 도메인이다.

  • 62.204.41[.]144
  • 31.41.244[.]134
  • trustamsty[.]com
  • 103.89.90[.]61
  • 185.106.92[.]226
  • lunovim957.duckdns[.]org

Top 3 – GuLoader

11.6%를 차지하는 GuLoader 는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여 실행시키는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과거에는 진단을 우회하기 위해 Visual Basic 언어로 패킹되어 있었으나 최근에는 NSIS 인스톨러 외형으로 유포된다. 원래 이름은 CloudEye로 알려져 있으며 GuLoader로 이름붙여진 이유는 다운로드 주소로 구글 드라이브가 자주 사용되기 때문이다. 물론 구글 드라이브 외에도 마이크로소프트의 원 드라이브 및 다양한 주소가 사용될 수 있다.

  • hxxp://3sixtyd[.]nl/bin_KyNCVEt113.bin
  • hxxp://3sixtyd[.]nl/bin_qvhDx81.bin
  • hxxp://lansol[.]com/shaq_/babaC_ZVbkF201.bin
  • hxxps://401kforce[.]com/myspecailbin_frFgfn5.bin
  • hxxps://drive.google[.]com/uc?export=download&id=1CC0uVUY8fxeHHshjvaB-rsBabBVyNuJm
  • hxxps://drive.google[.]com/uc?export=download&id=1CC0uVUY8fxeHHshjvaB-rsBabBVyNuJm
  • hxxps://drive.google[.]com/uc?export=download&id=1PxiGxacgLs_2PRBMmPOqobz1QQAB-KCC
  • hxxps://onecallitservices.co[.]uk/gumabelt_kZSaaDscx165.bin

GuLoader는 탐지를 회피하기 위해 파일 형태가 아니라 메모리 상에 다운로드하며, 다운로드된 파일도 PE가 아닌 인코딩된 형태이다. 이후 메모리 상에서 디코딩되어 실행되는데, 다운로드되는 악성코드로는 Formbook, AgentTesla 같은 인포스틸러 악성코드 및 Remcos, NanoCore와 같은 RAT 악성코드들이 있다.

대부분 송장(Invoice), 선적 서류(Shipment Document), 구매 주문서(P.O. – Purchase Order) 등으로 위장한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기 때문에 파일 이름도 동일하게 위와 같은 이름이 사용된다. 또한 확장자의 경우 pdf, xlsx와 같은 문서 파일이나 .dwg 즉 Auto CAD 도면 파일로 위장한 것들도 다수 존재한다.

  • Abridgedly hypokinesis.exe
  • adv.._ref_copy_pdf.exe
  • Farmaceut.exe
  • Order#A0-22-039_A0009110234-22-036-pdf.exe
  • PO202202AG7.exe
  • Quote – Compagnie Madecasse _ RN6.exe
  • TNT_AWB_AND_INVOICE_098768.exe

Top 4 – Smoke Loader

Smoker Loader는 인포스틸러 / 다운로더 악성코드로서 11.1% 비율로 이번주 4위를 차지하였다. Smoke Loader와 관련된 분석 보고서는 아래의 ASEC 리포트를 참고하자.

[PDF] ASEC REPORT vol.101_한층 업그레이드된 최신판 스모크로더(Smoke Loader), 전격해부

다음은 확인된 C&C 서버 주소들이다.

  • rfgsdfhfghdfjdghkj[.]xyz
  • host-file-host6[.]com/
  • rgyui[.]top/dl/
  • acacaca[.]org/files/1/
  • cucumbetuturel4[.]com
  • linislominyt11[.]at
  • susuerulianita1[.]net
  • nusurionuy5ff[.]at
  • nunuslushau[.]com
  • moroitomo4[.]net
  • monsutiur4[.]com
  • ejeana.co[.]ug

Top 5 – Formbook

Formbook 악성코드는 9.5%로 5위를 기록하였다.

다른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들과 동일하게 대부분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며 유포 파일명도 유사하다.

  • Purchase Order Frank Manufact…….er Frank Manufactures.Pdf.exe
  • F22-0000746.pdf.exe
  • Statement (74002425).Pdf.exe
  • Automatic Deluge Pump.exe

Formbook 악성코드는 현재 실행 중인 정상 프로세스인 explorer.exe 및 system32 경로에 있는 또 다른 정상 프로세스에 인젝션함에 따라 악성 행위는 두 정상 프로세스에 의해 수행된다. 웹 브라우저의 사용자 계정 정보 외에도 키로깅, Clipboard Grabbing, 웹 브라우저의 Form Grabbing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할 수 있다.

다음은 확인된 Formbook의 C&C 서버 주소이다.

  • hxxp://www.gutro[.]online/ja25/
  • hxxp://www.caobatins[.]com/vcir/
  • hxxp://www.tecmos[.]xyz/d2s6/
  • hxxp://www.numu882[.]com/6hsc/
  • hxxp://www.chuvop[.]xyz/bg11/
  • hxxp://www.vast-yep[.]xyz/en15/
  • hxxp://www.numu882[.]com/6hsc/
  • hxxp://www.yourpamlano[.]xyz/sn31/
  • hxxp://www.gankotin[.]online/nt19/
  • hxxp://www.yaeting[.]online/f93z/
  • hxxp://www.keropy[.]xyz/s4s9/

연관 IOC 및 관련 상세 분석 정보는 안랩의 차세대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AhnLab TIP’ 구독 서비스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Categories:위협 통계

Tagged as:

0 0 votes
별점 주기
Subscribe
Notify of
guest

0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