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 20220502 ~ 20220508 )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5월 2일 월요일부터 5월 8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인포스틸러가 73.1%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RAT (Remote Administration Tool) 악성코드가 19.3%, 랜섬웨어 5.0%, 다운로더 2.5%로 집계되었다


Top 1 –  AgentTesla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인 AgentTesla 가 49.6%로 지난주에 이어 1위를 기록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유형의 악성코드이다.

수집한 정보 유출 시 메일을 활용하며 FTP나 Discord API 등을 사용하는 샘플도 존재한다. 최근 샘플들의 C&C 정보는 아래와 같다.

  • server: mail.stylestyrofoamind[.]com
    user: socialmedia@stylestyrofoamind[.]com
    pw: Qwe****786
  • server: mail.ocenmasters[.]com
    sender: suganthi@ocenmasters[.]com
    receiver: suwika.on@cj-l[.]net
    user: suganthi@ocenmasters[.]com
    pw: donb****12345
  • server: us2.smtp.mailhostbox[.]com
    user: az@gcmce[.]com
    pw: DANI****16

대부분 송장(Invoice), 선적 서류(Shipment Document), 구매 주문서(P.O. – Purchase Order) 등으로 위장한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기 때문에 파일명도 이와 관련된 단어 또는 문장이 사용된다. 확장자의 경우 pdf, xlsx와 같은 문서 파일로 위장한 샘플도 다수 존재한다.

  • 104_PICIF_RIYADH_SOSHEET_1033.exe
  • AVVISO_DI_SPEDIZIONE_DHL_xls.exe
  • bank_details.exe
  • Confirmation.exe
  • MV.JUNE_XIN_SHIP_PARTICULARS.xlsx.exe
  • new order#22.exe
  • PO_#_FJCHM300012.exe
  • purchase_order.exe
  • PURCHASE_ORDER.exe
  • SCAN- AWB 5032675620_MAY 2022.exe
  • STATEMENT_OF_ACCOUNT_(SOA).exe


Top 2 – Formbook

Formbook 악성코드는 10.9%로 2위를 기록하였다.

다른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들과 동일하게 대부분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며 유포 파일명도 유사하다.

  • 657573-ordin.exe
  • DHL_EXPRESS.exe
  • Invoice_Payment_Advice.exe
  • Order_IS010CT5.exe
  • REQ FOR QUOTATION.exe

Formbook 악성코드는 현재 실행 중인 정상 프로세스인 explorer.exe 및 system32 경로에 있는 또 다른 정상 프로세스에 인젝션함에 따라 악성 행위는 두 정상 프로세스에 의해 수행된다. 웹 브라우저의 사용자 계정 정보 외에도 키로깅, Clipboard Grabbing, 웹 브라우저의 Form Grabbing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할 수 있다.

다음은 확인된 Formbook의 C&C 서버 주소이다.

  • hxxp://www.b8ceex[.]com/gias/
  • hxxp://www.brasbux[.]com/t59n/
  • hxxp://www.cablinqee[.]com/fk84/
  • hxxp://www.mentication[.]com/s2q8/
  • hxxp://www.mentication[.]com/s4ig/
  • hxxp://www.nerosbin[.]info/n4w3/
  • hxxp://www.rasiorbee[.]com/amdf/


Top 3 –  Lokibot

Lokibot 악성코드는 7.6%로 3위를 기록하였다. Lokibot은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로서 웹 브라우저, 메일 클라이언트, FTP 클라이언트 등의 프로그램들에 대한 정보를 유출한다.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는 다른 악성코드들과 유사한 파일명으로 유포된다.

  • DHL Receipt_AWB811470484778.exe
  • DHL_256_007.exe
  • fedex receipt_awb5305323204643.exe

대부분의 Lokibot 악성코드 C&C 서버 주소는 다음과 같이 fre.php로 끝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hxxp://198.187.30[.]47/p.php
  • hxxp://85.202.169[.]172/remote/five/fre.php
  • hxxp://lasgidivibescontrol[.]com/lest/five/fre.php
  • hxxp://sempersim[.]su/gf10/fre.php
  • hxxp://sempersim[.]su/gf13/fre.php
  • hxxp://sempersim[.]su/gf7/fre.php


Top 4 – AveMaria

이번주는 AveMaria가 5.0%를 기록하며 4위에 이름을 올렸다. AveMaria는 원격제어 기능의 RAT (Remote Administration Tool) 악성코드로서 C&C 서버에서 공격자의 명령을 받아 다양한 악성 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AveMaria 악성코드는 최근 AgentTesla, Lokibot, Formbook 악성코드와 유사하게 대부분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고 있다. 또한 진단을 우회하기 위해 위의 악성코드들과 유사한 닷넷(.NET) 외형의 패커로 패킹되어 유포 중이다. 따라서 접수되는 파일명도 같이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는 악성코드들과 유사하다.

  • AKMG MAY ORDER LIST SOA.exe
  • PO#30063763006377.pdf.exe
  • Quotation#56220.PDF.exe
  • STATEMENT OF ACCOUNT (SOA).exe

다음은 확인된 AveMaria 의 C&C 서버이다.

  • 185.140.53[.]174:2404
  • 185.183.98[.]169:5678
  • 5.2.68[.]67:443


Top 5 –  Stop Ransomware

5.0%로 5위를 차지한 Stop Ransomware 는 주로 익스플로잇 킷을 통해 유포되는 랜섬웨어 악성코드이다. 해당 악성코드는 사용자 PC 내 특정 파일들을 암호화하며, 이전부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지속적으로 유포되고 있다. 최근 유포된 샘플들은 정보탈취형 악성코드인 Vidar 악성코드를 설치 후 랜섬웨어 행위를 한다.

다음은 Stop 랜섬웨어의 C&C 서버주소이다.

  • hxxp://ugll[.]org/fhsgtsspen6/get.php
  • hxxp://ugll[.]org/test1/get.php
  • hxxp://ugll[.]org/test3/get.php
  • hxxp://zerit[.]top/dl/build2.exe
  • hxxp://ugll[.]org/files/1/build3.exe

연관 IOC 및 관련 상세 분석 정보는 안랩의 차세대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AhnLab TIP’ 구독 서비스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Categories:위협 통계

Tagged as:

0 0 votes
별점 주기
Subscribe
Notify of
guest

0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