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 20220404 ~ 20220410 )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4월 4일 월요일부터 4월 10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인포스틸러가 74.1%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RAT (Remote Administration Tool) 악성코드가 15%, 다운로더 6.2%, 랜섬웨어 2.9%, 뱅킹 악성코드가 1.8%로 집계되었다.


Top 1 –  AgentTesla

이번주도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인 AgentTesla 가 27.7%로 1위를 기록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유형의 악성코드이다.

수집한 정보 유출 시 메일을 활용하며 최근 샘플들의 메일 주소 및 계정은 아래와 같다.

  • server: mail.waterchem.com[.]tr(109.232.216[.]96)
    sender: admin@waterchem.com[.]tr
    receiver: ugo@waterchem.com[.]tr
    user: admin@waterchem.com[.]tr  
    pw: 2022pa*****$
  • server: mail.newoasisbld[.]com(103.125.80[.]50)
    sender: sales@newoasisbld[.]com
    receiver: info-ctg@qandqbd[.]com
    user: sales@newoasisbld[.]com
    pw: S*****2022
  • server: smtp.sbtsrne[.]com(208.91.198[.]143)
    sender: janla@sbtsrne[.]com
    receiver: janla@sbtsrne[.]com
    user: janla@sbtsrne[.]com
    pw: Jn*****97

대부분 송장(Invoice), 선적 서류(Shipment Document), 구매 주문서(P.O. – Purchase Order) 등으로 위장한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기 때문에 파일명도 이와 관련된 단어 또는 문장이 사용된다. 확장자의 경우 pdf, xlsx와 같은 문서 파일로 위장한 샘플도 다수 존재한다.

  • New Purchase Order – April_06_2022.exe
  • dangxianfood import request.exe
  • ATTACHMENT.exe
  • MT101 Swift_ Remittance Invoice.exe
  • TQ-202577_ Al Laith.doc..exe
  • NEW PO 14071103501_pdf.exe
  • Pago Factura.exe

Top 2 – Formbook

Formbook 악성코드는 21.9%로 2위를 기록하였다.

다른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들과 동일하게 대부분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며 유포 파일명도 유사하다. 아래의 리스트에서 굵은 글꼴로 표시된 파일명의 경우, 상위폴더명만 다르게 수정하여 여러 메일 수신인을 타겟으로 유포된 것으로 추정된다. 즉, 악성 메일에 첨부된 압축파일 혹은 내부 폴더의 이름만 다르게 제작하여 유포한 것으로 판단되므로, 출처가 불분명한 발신인으로부터의 메일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New Order #TX110804#.exe
  • Image000004.exe
  • Dhl _SHIPPING DOC – #0036284639289.exe
  • product list of trial order _00123133.exe
  • PO2204-012SP (TOP URGENT).exe
  • Pro Forma_pdf.exe QUOTATION.exe
  • invoice.exe

Formbook 악성코드는 현재 실행 중인 정상 프로세스인 explorer.exe 및 system32 경로에 있는 또 다른 정상 프로세스에 인젝션함에 따라 악성 행위는 두 정상 프로세스에 의해 수행된다. 웹 브라우저의 사용자 계정 정보 외에도 키로깅, Clipboard Grabbing, 웹 브라우저의 Form Grabbing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할 수 있다.

다음은 확인된 Formbook의 C&C 서버 주소이다.

  • hxxp://www.webtrajpylive[.]online/bs11/
  • hxxp://www.stageyor[.]online/gn27/
  • hxxp://www.pordges[.]com/ok4e/
  • hxxp://www.neurosise[.]com/op53/
  • hxxp://www.mydactil[.]online/e0l9/
  • hxxp://www.keepitng[.]com/inga/
  • hxxp://www.kartye[.]xyz/pd21/
  • hxxp://www.globalfabtol[.]online/b11y/
  • hxxp://www.gingure[.]com/e0ep/
  • hxxp://www.gimbases[.]com/cnt4/
  • hxxp://www.demtate[.]xyz/d23n/
  • hxxp://www.dactil[.]xyz/s09m/
  • hxxp://www.cures8t[.]com/p9iu/


Top 3 –  Lokibot

Lokibot 악성코드는 17.5%를 기록하며 3위에 이름을 올렸다. Lokibot은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로서 웹 브라우저, 메일 클라이언트, FTP 클라이언트 등의 프로그램들에 대한 정보를 유출한다.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는 다른 악성코드들과 유사한 파일명으로 유포된다.

  • MLOADER.exe
  • vloader.exe
  • qloader.exe
  • hloader.exe
  • updated_order.exe 
  • Cuserspublicvbc.exe
  • vbc.exe
  • Arrival Notice_XSS26005.exe

대부분의 Lokibot 악성코드 C&C 서버 주소는 다음과 같이 fre.php로 끝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 hxxp://vmopahtqdf84hfvsqepalcbcch63gdyvah[.]ml/BN2/fre.php
  • hxxp://sempersim[.]su/bb/fre.php
  • hxxp://sdgcd[.]xyz/Mine/PWS/fre.php
  • hxxp://outlook-webpage-auth[.]ml/worldwide/logs/fre.php
  • hxxp://iowipalbv6atsy[.]cf/Exodus1/fre.php
  • hxxp://hyatqfuh9olahvxf[.]gq/BN3/fre.php
  • hxxp://85.202.169[.]172/remote/five/fre.php
  • hxxp://62.197.136[.]186/oluwa/five/fre.php
  • hxxp://62.197.136[.]176/userbob/five/fre.php


Top 4 –  RedLine

RedLine 악성코드는 7.7%로 4위를 기록하였다. RedLine 악성코드는 웹 브라우저, FTP 클라이언트, 암호화폐 지갑, PC 설정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하며 C&C 서버로 부터 명령을 받아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BeamWinHTTP와 마찬가지로 S/W 크랙 다운로드로 위장하여 유포되는 경우가 많다.

다음은 확인된 RedLine의 C&C 서버 도메인이다.

  • 116.202.106[.]111:9582
  • 185.200.191[.]18:80
  • 185.215.113[.]122:15386
  • 193.150.103[.]37:21330
  • 193.150.103[.]38:80
  • 141.95.227[.]187:6238
  • 91.243.59[.]131:7171


Top 5 –  BeamWinHTTP

6.2% 로 5위를 차지한 BeamWinHTTP는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PUP 설치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를 통해 유포되는데, BeamWinHTTP가 실행되면 PUP 악성코드인 Garbage Cleaner를 설치하고, 동시에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최근 들어서는 S/W 크랙 다운로드를 위장하여 유포되는 드로퍼형 악성코드에 의해 유포되는 수량이 상당하다. ASEC 분석팀에서는 이러한 악성코드를 “MulDrop” 진단명으로 대응 중이며, 해당 악성코드에 대한 정보는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길 바란다.

다음은 확인된 C&C 서버 주소이다.

  • hxxp://appwebstat[.]biz/info.php 
  • hxxp://ads-memory[.]biz/patner/hooker.php
  • hxxp://hogwartsfog[.]com/checkversion.php
  • hxxp://212.192.246[.]217/access.php

연관 IOC 및 관련 상세 분석 정보는 안랩의 차세대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AhnLab TIP’ 구독 서비스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Categories:위협 통계

Tagged as:

5 1 vote
별점 주기
Subscribe
Notify of
guest

0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