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 20220131 ~ 20220206 )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1월 31일 월요일부터 2월 6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인포스틸러가 61.6%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RAT (Remote Administration Tool) 악성코드가 18.9%, 뱅킹 악성코드 11.3%, 랜섬웨어 4.4%, 다운로더 3.8% 로 집계되었다.


Top 1 –  AgentTesla

이번주도 AgentTesla가 40.3%로 1위를 기록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유형의 악성코드이다.

수집한 정보 유출 시 메일을 활용하며 최근 샘플들의 메일 주소 및 계정은 아래와 같다.

  • server : mail.topfrozenfoodbrand[.]com
    sender : webmaster@topfrozenfoodbrand[.]com
    receiver : originnn222@gmail[.]com
    user : webmaster@topfrozenfoodbrand[.]com
    pw : Chukwud****@
  • server : mail.arlus[.]es
    sender : compras@arlus[.]es
    receiver : zspamming@modularelect[.]com
    user : compras@arlus[.]es
    pw : Lg****Vz
  • server : mail.jindalpackaging[.]in
    sender : info@jindalpackaging[.]in
    receiver : donya@fortunaship[.]com
    user : info@jindalpackaging[.]in
    pw : Jinda****fo##
  • server : mail.melcme[.]com
    sender : sales@melcme[.]com
    receiver : fastonefast08@gmail[.]com
    user : sales@melcme[.]com
    pw : sa****7@
  • server : mail.qnscont[.]com
    sender : hr.dept@qnscont[.]com
    receiver : support@gcsenagency[.]com
    user : hr.dept@qnscont[.]com
    pw : 2020****om

대부분 송장(Invoice), 선적 서류(Shipment Document), 구매 주문서(P.O. – Purchase Order) 등으로 위장한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기 때문에 파일명도 이와 관련된 단어 또는 문장이 사용된다. 확장자의 경우 pdf, xlsx와 같은 문서 파일로 위장한 샘플도 다수 존재한다.

  • angebot resale.de interesse nummer 02022022555987665.exe
  • HBL_Scan_copy.exe
  • New purchase order PO6742311pdf.exe
  • Payment advice.exe
  • payment copy.exe
  • payment_advice..exe
  • payment_copy.exe
  • PAYMENT_INSTRUCTIONS_COPY.exe
  • PI.exe
  • PROFORMA INVOICE.exe
  • PURCHASE ORDER.exe
  • purchase order_no102277.exe
  • SAMPLE_INVOICE.exe
  • SOA.exe
  • SWIFT_DETAILS_093424217183.exe


Top 2 – Formbook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인 Formbook은 11.9%로 2위에 올랐다.

다른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들과 동일하게 대부분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며 유포 파일명도 유사하다.

  • dhl 영수증 문서 배달871209,pdf.exe
  • DHL_Receipt_3-02-22._txt.exe
  • Order_No_5843.exe
  • PENDING_INVOICE&SOA.exe
  • Proforma_Invoice#09876-INV-Order.PDF.exe
  • shipping invoice documents.pdf.exe
  • SHIPPING_INVOICE_DOCUMENTS.pdf.exe

Formbook 악성코드는 현재 실행 중인 정상 프로세스인 explorer.exe 및 system32 경로에 있는 또 다른 정상 프로세스에 인젝션함에 따라 악성 행위는 두 정상 프로세스에 의해 수행된다. 웹 브라우저의 사용자 계정 정보 외에도 키로깅, Clipboard Grabbing, 웹 브라우저의 Form Grabbing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할 수 있다.

다음은 확인된 Formbook의 C&C 서버 주소이다.


Top 3 – Emotet

Emotet은 10.7%로 3위를 기록하였다. Emotet은 뱅킹 악성코드이며 스팸 메일을 통해 꾸준히 유포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형태는 추가적인 기능이 없는 다운로더라고 할 수 있으며, 시스템에 설치된 이후 추가 모듈 또는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추가 모듈로는 웹 브라우저 및 메일 계정 정보 등 사용자 정보 탈취 모듈들과 공유 폴더 등을 이용한 전파 모듈이 있다. 다운로드되는 악성코드로는 Qakbot, Trickbot 등 또 다른 뱅킹 악성코드들이 있다.

다음은 확인된 Emotet의 C&C 서버 중 일부이다.

  • 149.202.179[.]100:443
  • 103.75.201[.]4:443
  • 50.116.54[.]215:443
  • 129.232.188[.]93:443
  • 217.182.143[.]207:443
  • 129.232.188[.]93:443
  • 79.172.212[.]216:8080
  • 144.76.186[.]49:8080


Top 4 –  RedLine

RedLine 악성코드는 7.5%로 4위를 기록하였다. RedLine 악성코드는 웹 브라우저, FTP 클라이언트, 암호화폐 지갑, PC 설정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하며 C&C 서버로 부터 명령을 받아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BeamWinHTTP와 마찬가지로 S/W 크랙 다운로드로 위장하여 유포되는 경우가 많다.

다음은 확인된 RedLine의 C&C 서버 도메인이다.

  • 92.255.57[.]154:11841
  • 92.255.57[.]115:11841
  • 91.243.59[.]37:61742
  • 91.243.32[.]8:20856
  • 91.243.32[.]101:1568
  • 51.79.188[.]112:7110
  • 5.206.227[.]11:63730
  • 46.8.52[.]48:9006
  • 185.215.113[.]83:60722
  • 185.215.113[.]10:39759
  • 185.183.32[.]183:80
  • 185.128.107[.]100:80
  • 185.112.83[.]135:15482
  • 157.90.17[.]156:56409
  • 116.203.252[.]195:22021


Top 5 –  Remcos

이번 주는 Remcos가 4.4% 로 5위를 차지했다. Remcos는 RAT 악성코드로서 키로깅을 포함한 정보 유출 및 다양한 공격자의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Remcos는 AgentTesla, Formbook, NanoCore 등의 악성코드와 같이 닷넷 외형의 패커로 패킹되어 스팸 메일의 첨부 파일을 통해 유포되고 있다. 최근에는 특정 툴로 위장하여 유포되는 케이스도 다수 발견된다.

다음은 확인된 Remcos의 C&C 서버 주소이다.

  • 91.243.44[.]30:37773
  • 91.243.44[.]32:58432
  • 91.243.44[.]33:7813
  • 185.140.53[.]178:2404

연관 IOC 및 관련 상세 분석 정보는 안랩의 차세대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AhnLab TIP’ 구독 서비스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Categories:위협 통계

Tagged as:

0 0 votes
별점 주기
Subscribe
Notify of
guest

0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