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 20211122 ~ 20211128 )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1년 11월 22일 월요일부터 2021년 11월 28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다운로더가 31.7%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인포스틸러가 23.7%, 코인마이너가 22.0, RAT (Remote Administration Tool) 악성코드가 21.5%, 랜섬웨어가 0.8%, 뱅킹 악성코드가 0.2%로 집계되었다.


Top 1 –  BeamWinHTTP

30.9%로 지난주에 이어 1위를 기록한 BeamWinHTTP는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PUP 설치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를 통해 유포되는데, BeamWinHTTP가 실행되면 PUP 악성코드인 Garbage Cleaner를 설치하고, 동시에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다.

최근 들어서는 S/W 크랙 다운로드를 위장하여 유포되는 드로퍼형 악성코드에 의해 유포되는 수량이 상당하다. ASEC 분석팀에서는 이러한 악성코드를 “MulDrop” 진단명으로 대응 중이며, 해당 악성코드에 대한 정보는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길 바란다.

다음은 확인된 C&C 서버 주소이다.

  • hxxp://postbackstat[.]biz


Top 2 –  Glupteba

22.0%로 2위를 차지한 Glupteba는 Golang으로 개발된 악성코드이다. 다수의 추가 모듈을 다운로드하며 여러 기능을 갖지만 실질적으로는 XMR (모네로) 코인 마이너를 설치하는 코인 마이너 악성코드이다. 

Glupteba는 실행되면 UAC Bypass를 거쳐서 TrustedInstaller의 권한을 이용해 시스템 권한을 갖게 된다. 그리고 C:Windowsrsscsrss.exe 이름으로 정상 프로세스를 위장하여 시스템에 상주한다. 이후 추가 모듈을 다운로드하는데, 그 대상으로는 프로세스 및 파일들을 숨기기 위한 루트킷 드라이버들이 있으며, 최종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는 XMR 코인 마이너 및 SMB 취약점을 통한 전파를 위한 Eternal Blue 패키지가 있다.

현재 확인된 Glupteba 대부분은 PUP를 통해 다운로드되는 방식으로 유포 중이다. PUP를 통해 유포 중임에도 불구하고 이전 블로그에서 언급된 MalPe 패커 외형을 갖는다는 것이 특징이다.

MalPe 패커 외형을 갖는 악성코드들은 대부분 Exploit Kit을 통해 유포되지만 이전 Vidar 인포스틸러의 사례와 같이 PUP를 통해 다운로드 되거나 정상 프로그램으로 위장하여 유포되는 악성코드들에서도 동일하게 MalPe 패커 외형이 확인되고 있다.

확인된 C&C 서버 주소는 아래와 같다.

[C&C 서버 주소]

  • hxxps://trumops[.]com
  • hxxps://retoti[.]com


Top 3 –  RedLine

RedLine 악성코드가 19.3%로 3위를 기록하였다. RedLine 악성코드는 웹 브라우저, FTP 클라이언트, 암호화폐 지갑, PC 설정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하며 C&C 서버로 부터 명령을 받아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BeamWinHTTP와 마찬가지로 S/W 크랙 다운로드로 위장하여 유포되는 경우가 많다.

다음은 확인된 RedLine의 C&C 서버 도메인이다.

  • 51.68.142[.]233:31156
  • 95.181.152[.]12:44159
  • 194.58.69[.]100:37026
  • 65.108.20[.]184:13650
  • molerreneta[.]xyz
  • nariviqusir[.]xyz
  • 45.67.228[.]227:58696


Top 4 – Formbook

Formbook은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는 7.3%로 4위에 올랐다.

다른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들과 동일하게 대부분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며 유포 파일명도 유사하다.

  • vbc.exe
  • winlogon.exe
  • 견적 요청.exe
  • ORDER K0-9110.exe
  • invoice copy.pdf.exe
  • SEOCHANG INDUSTRY.exe
  • ITEMS{G7015-G7018-G7020-G7025}.exe
  • Picture for ORDER AFF21-19810,pdf.exe

Formbook 악성코드는 현재 실행 중인 정상 프로세스인 explorer.exe 및 system32 경로에 있는 또 다른 정상 프로세스에 인젝션함에 따라 악성 행위는 두 정상 프로세스에 의해 수행된다. 웹 브라우저의 사용자 계정 정보 외에도 키로깅, Clipboard Grabbing, 웹 브라우저의 Form Grabbing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할 수 있다.

다음은 확인된 Formbook의 C&C 서버 주소이다.

  • hxxp://www.saftcos[.]com/cfb2/
  • hxxp://www.bitrice23[.]com/bcwg/
  • hxxp://www.mcabyv[.]xyz/l3ld/
  • hxxp://www.easybeasts[.]com/mub6/
  • hxxp://www.busy-clicks[.]com/e8ia/
  • hxxp://www.bitrice23[.]com/bcwg/
  • hxxp://www.bfcmtld[.]com/hf9j/
  • hxxp://www.abros88[.]com/46uq/


Top 5 –  AgentTesla

AgentTesla는 5.6%로 5위를 기록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유형의 악성코드이다.

수집한 정보 유출 시 메일을 활용하며 최근 샘플들의 메일 주소 및 계정은 아래와 같다.

  • mail.nktech.com[.]sg (103.52.59[.]50)
    sender : admin@nktech.com[.]sg
    receiver : admin@nktech.com[.]sg
    user : admin@nktech.com[.]sg
    pw : Nk***@64
  • mail.incolbop[.]com (178.33.113.220)
    sender : info@incolbo[.]com
    receiver : info@incolbo[.]com
    user : info@incolbo[.]com
    pw : Alt***@2121#
  • mail.framafilms[.]com (185.220.245[.]14)
    sender : framafilmsint@framafilms[.]com
    receiver : framafilmsint@framafilms[.]com
    user : framafilmsint@framafilms[.]com
    pw : lis***

대부분 송장(Invoice), 선적 서류(Shipment Document), 구매 주문서(P.O. – Purchase Order) 등으로 위장한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기 때문에 파일명도 이와 관련된 단어 또는 문장이 사용된다. 확장자의 경우 pdf, xlsx와 같은 문서 파일이나 .dwg, 즉 Auto CAD 도면 파일로 위장한 샘플도 다수 존재한다.

  • microcomputer Official Order.exe
  • BESTELLUNG AG56261190.exe,pdf
  • P0_636732672772_RFQ.exe
  • ST#00321.exe
  • 00983567832021_pdf.exe
  • CUsersAdam SmithDesktopNew order.exe  Download Zip
  • Freight Charges.exe
  • documentos_fedex.pdf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exe
  • NEW PURCHASE ORDER,pdf.exe

연관 IOC 및 관련 상세 분석 정보는 안랩의 차세대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AhnLab TIP’ 구독 서비스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Categories:위협 통계

Tagged as:

0 0 votes
별점 주기
Subscribe
Notify of
guest

0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