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20230102 ~ 20230108)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3년 1월 2일 월요일부터 01월 08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다운로더가 55.9%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인포스틸러가 21.3%, 이어서 백도어 14.2%, 랜섬웨어 7.9%, 코인마이너 0.8%로 집계되었다. Top 1 – BeamWinHTTP 32.3%로 1위를 차지한 BeamWinHTTP는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PUP 설치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를 통해 유포되는데, BeamWinHTTP가 실행되면 PUP 악성코드인 Garbage Cleaner를 설치하고, 동시에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원고 청탁서로 위장한 악성코드 (안보 분야 종사자 대상)

ASEC 분석팀은 01월 08일 안보 분야 종사자를 대상으로 원고 청탁서로 위장한 문서형 악성코드 유포 정황을 확인하였다. 확보된 악성코드는 워드 문서 내 External 개체를 통해 추가 악성 매크로를 실행한다. 이러한 기법은 템플릿 인젝션(Template Injection) 기법으로 불리며 이전 블로그를 통해 유사한 공격 사례를 소개한 바 있다. 워드 문서를 실행하면 공격자 C&C 서버로부터 추가 악성 워드 매크로 문서를 다운로드 받아 실행한다. 추가로 실행되는 매크로는 사용자가 백그라운드에서 매크로 코드가 실행되는 것을 눈치채지 못하게 하기위해 정상 문서 파일도 함께 실행되도록 작성되어 있다. 공격자가 함께 유포한…

국세청 위장 메일을 통해 확인된 피싱 웹 서버

ASEC 분석팀에서는 최근 국세청을 사칭한 피싱메일이 유포되고 있는 정황을 확인하였다. 해당 피싱메일은 사내 메일의 비밀번호가 당일에 만료된다는 시급성을 강조하며, 계정이 잠기기 전에 암호를 유지하라는 내용으로 유포되고 있었다.   그림 1) 원문 메일 그림 2) 계정 입력 피싱 사이트 그림 3) 로그인 페이지의 소스코드 ‘같은 비밀번호를 유지’라는 URL을 클릭하면 사내 메일 로그인 페이지가 확인되는데, 해당 로그인 페이지의 HTML 스크립트 코드는 위와 같다. 코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면 사용자의 계정정보가 공격자의 서버로 유출되는 형식을 띠고 있다. 그림 4) 공격자의 서버…

ASEC 주간 피싱 이메일 위협 트렌드 (20221225 ~ 20221231)

ASEC 분석팀에서는 샘플 자동 분석 시스템(RAPIT)과 허니팟을 활용하여 피싱 이메일 위협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12월 25일부터 12월 31일까지 한 주간 확인된 피싱 이메일 공격의 유포 사례와 이를 유형별로 분류한 통계 정보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피싱은 공격자가 사회공학 기법을 이용하여 주로 이메일을 통해 기관, 기업, 개인 등으로 위장하거나 사칭함으로써 사용자의 로그인 계정(크리덴셜) 정보를 유출하는 공격을 의미한다. 또한 피싱은 넓은 의미에서, 공격자가 각종 대상을 상대로 하는 정보 유출, 악성코드 유포, 온라인 사기 행위 등의 공격을 가능하게 하는 악의적인 속임수(technical subterfuge) 뜻한다….

한글 워드 프로세서 크랙으로 위장하여 유포 중인 Orcus RAT

ASEC 분석팀은 최근 Orcus RAT이 웹하드에서 한글 워드 프로세서의 크랙 버전으로 유포 중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유포한 공격자는 과거 웹하드에서 윈도우 정품 인증 툴을 위장해 BitRAT과 XMRig 코인 마이너를 유포하였던 공격자와 동일하다.[1] 공격자가 유포 중인 악성코드들은 과거와 유사한 형태이지만, BitRAT 대신 Orcus RAT을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이외에도 안티바이러스의 행위 탐지를 우회하기 위해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거나, 작업 스케줄러에 파워쉘 명령을 등록하여 주기적으로 최신 악성코드들을 설치하는 등 과거와 비교해 훨씬 정교한 형태로 변화되었다. 웹하드는 토렌트와 함께 국내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공격자들이 사용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