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하반기로 접어들면서 국내 관공서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한글 소프트웨어의 취약점을 악용하여 악성코드 감염을 시도하는 사레가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특히 2012년 6월과 10월에는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Day, 0-Day) 취약점을 악용하는 사례들도 발견되었다.
10월 15일과 16일 다시 국내에서 국방 관련 내용을 가지고 있는 취약한 한글 파일들이 발견되었으며, 이 번에 발견된 취약한 한글 파일은 총 2개로 “군환경교육계획(2012).hwp (1,044,996 바이트)”와 “우리도 항공모함을 갖자.hwp (240,285 바이트)”의 파일명으로 유포되었다.
취약한 한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들을 열게 될 경우에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국방 관련 내용이 나타나게 된다.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들은 기존에 이미 알려진 HncTextArt_hplg 또는 HncApp.dll 관련 버퍼 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로 인한 코드 실행 취약점들을 악용하고 있다.
첫 번째 취약한 한글 파일인 군환경교육계획(2012).hwp 을 열게 되면, 백그라운드로 “system32.dll (65,536 바이트)” 가 다음 경로에 생성 된다.
C:Documents and Settings[사용자 계정명]Local SettingsTempsystem32.dll
그리고 다시 “taskmon.exe (15,048 바이트)”를 아래 경로에 추가적으로 생성하여, 시스템이 재부팅하더라도 자동 실행하게 구성한다.
C:Documents and Settings[사용자 계정명]시작 메뉴프로그램시작프로그램taskmon.exe
추가적으로 생성된 taskmon.exe는 외부에 있는 시스템으로 역접속을 시도하나 분석 당시에는 정상적인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다음의 악의적인 기능들을 수행하게 된다.
CMD.EXE 실행 후 콘솔 명령 실행
감염된 시스템의 윈도우 운영체제 정보 수집
원격에서 공격자가 지정한 명령 수행
두 번째 취약한 한글 파일인 우리도 항공모함을 갖자.hwp 을 열게 되면, 백그라운드로 “hncctrl.exe (164,352 바이트)” 가 다음 경로에 생성 된다.
c:documents and settingstesterlocal settingstemphncctrl.exe
그리고 다시 “svchost.exe (131,584 바이트)”를 아래 경로에 추가적으로 생성하게 된다.
C:Documents and Settings[사용자 계정명]Application Datasvchost.exe
svchost.exe 는 윈도우 레지스트리에 다음 키 값을 생성하여 시스템이 재부팅하더라도 자동 실행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HKEY_CURRENT_USERSoftwareMicrosoftWindowsCurrentVersionRun
Network = C:Documents and Settings[사용자 계정명]Application Datasvchost.exe
추가적으로 생성된 svchost.exe 는 외부에 있는 시스템으로 역접속을 시도하나 분석 당시에는 정상적인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감염 된 시스템에서 다음 보안 프로그램들의 프로세스가 실행 중이라면 강제 종료를 시도하게 된다.
DaumCleaner.exe
hcontain.exe
vrmonnt.exe
ALYac.exe
AYAgent.exe
ALYac.aye
AYAgent.aye
이 외에 감염된 시스템의 운영체제 로그인을 위한 사용자계정명과 암호를 수집하여, 국내 유명 포털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이메일 서비스를 이용하여 해당 정보를 유출하게 된다.
이 번에 발견된 국방 관련 내용을 가지고 있는 취약한 한글 파일들은 V3 제품 군에서 다음과 같이 진단한다.
HWP/Exploit
Win-Trojan/Locker.65536
Trojan/Win32.Agent
Win-Trojan/Backdoor.15048
APT 전문 대응 솔루션인 트러스와쳐(TrusWatcher)에 포함된 DICA(Dynamic Intelligent Content Analysis)에 의해 시그니처 없이 아래와 같이 탐지가 가능하다.
Exploit/HWP.AccessViolation-DE
향후 출시 예정인 V3 인터넷 시큐리티(Internet Security) 9.0 에 포함 예정인 ASD 2.0의 MDP 엔진에서도 시그니처 없이 다음과 같이 탐지가 가능하다.
Dropper/MDP.Exploit
Dropper/MDP.Document
Suspicious/MDP.Document
Suspicious/MDP.DropMalware
Suspicious/MDP.Behavior
현재 한글과 컴퓨터에서는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들이 악용하는 취약점에 대한 보안 패치를 배포 중인 상태이다. 그러므로 해당 보안 패치를 설치하는 것이 악성코드 감염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방안이다.
Categories:악성코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