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는 중국 또는 러시아를 타겟으로, 프리미엄 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요금이 부과되는 안드로이드 악성 어플리케이션이 대부분 이었다.
이번에는 유럽국가를 타겟으로 제작된 안드로이드 악성 어플리케이션을 살펴 보자.
2. 안드로이드 악성 어플리케이션 정보
– SuiConFo 악성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 SEND_SMS 권한으로 보아, 과금이 발생할 수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 그 외 여러 권한정보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추정할 수 있다.



[그림] 설치 화면
– 설치된 악성 SuiConFo 어플리케이션

[그림] 설치된 악성어플리케이션 / 실행화면(ERROR)
– 어플리케이션 실행시팝업된 [ERROR] 는 아래의 코드에 의해 실행된 것이다.

[그림] ERROR 코드
– SMSReceiver class 기능
– 81001, 35064, 63000 등의 번호로 수신된 SMS를 사용자가 알 수 없도록 숨긴다.
– SMS 수신하는 기능과 함께, 제작자로 추정되는 번호로 SMS를 전송한다.(통계를 위한 전송으로 추정된다.)

[그림] SMS 관련 코드 일부
– MagicSMSActivity 기능
– 각 국가별 SMS 번호
벨기에 : 9903
스위스 : 543
룩셈부르크 : 64747
독일 : 63000
스페인 : 35064
영국 : 60999
프랑스 : 81001
– 악성 어플리케이션 제작자는 캐나다를 코딩하면서 실수를 한것으로 추정된다. str2 str3 부분이 반대로 코딩 되어 있다.

[그림] 국가별 SMS 코드
– SuiConFo 의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악성은 아니다.
해당 이름으로 제작된 정상적인 어플리케이션도 존재한다.
5. 스마트폰 안전수칙
아래의 수칙을 반드시 지켜 자신의 스마트폰을 악성코드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을 권한다.
2. 게임 등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때는 신중하게 다른 사람이 올린 평판 정보를 먼저 확인한다.
3. 브라우저나 애플리케이션으로 인터넷에 연결 시 이메일이나 문자 메시지에 있는 URL은 신중하게 클릭한다.
4. PC로부터 파일을 전송 받을 경우 악성코드 여부를 꼭 확인한다.
5. 백신의 패치 여부를 확인해서 최신 백신 엔진을 유지한다.
6. 스마트폰의 잠금 기능[암호 설정]을 이용해서 다른 사용자의 접근을 막는다. 잠금 기능에 사용한 비밀번호를 수시로 변경한다.
7. 블루투스 기능 등 무선기능은 필요할 때만 켜놓는다.
8. ID, 패스워드 등을 스마트폰에 저장하지 않는다.
9. 백업을 주기적으로 받아서 분실 시 정보의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10. 임의로 개조하거나 복사방지 등을 풀어서 사용하지 않는다.
Categories:악성코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