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인 마이스페이스를 사칭한 허위 백신

2010년 8월 17일 ASEC에서는 해외의 유명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인 린크드인(LinkedIn)의 친구 초대 메일로 위장한 악의적인 스팸(Spam) 메일이 유포되었음을 전한 바가 있었다.

2010년 8월 19일 야간에는 해외의 또 다른 유명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마이스페이스(MySpace)의 사용자 계정 관련 메일로 위장한 악의적인 스팸 메일이 유포되었다.

이번에 발견된 마이스페이스 관련 메일로 위장한 사례는 2009년 10월 Zbot 변형이 마이스페이스에서 발송하는 메일로 위장한 사례가 있었다.

당시에 발견된 악의적인 스팸 메일은 텍스트 형식의 메일로 되어 있었으나 이 번에는 아래 이미지와 같으 HTML 형식으로 되어 실제 마이스페이스에서 발송하는 메일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특이 사항으로 볼 수 있다.


마이스페이스로 위장한 악의적인 스팸 메일은 위 이미지에서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메일 제목으로는 “
MySpace Account Confirmation“를 사용하고 있다.

해당 악의적인 스팸 메일은 별도의 첨부 파일을 가지고 있지 않으나 메일 본문에 존재하는 웹 사이트 연결을 위한 모든 링크는 마이스페이스 웹 사이트가 아닌 미국 서부 지역에 존재하는 특정 시스템의 x.html(303 바이트) 파일을 웹 브라우저에 보여주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은
2010년 8월 19일 발견된 악성 HTML 파일이 첨부된 스팸 메일에서와 동일하나 첨부 파일 없이 본문에 존재하는 링크들을 바로 연결하도록 한 점과 연결되는 x.html(303 바이트)은 난독화가 되어 있지 않은 단순 텍스트 파일 형태로 되어 있는 점 역시 다른 특이 사항으로 볼 수 있다.

연결된
x.html(303 바이트) 파일은 다시 미국 동부 지역에 존재하는 다른 시스템으로 접속을 시도하며 접속이 성공하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사용하는 시스템에 다수의 악성코드에 감염되었다는 허위 정보를 보여주게 된다.

그리고 허위 정보를 보여주는 시스템 검사가 종료하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허위로 시스템에 감염되어 있는 악성코드 리스트를 보여주게 된다.

위 이미지에 존재하는 “Remove all”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antivirus.exe(164,864 바이트) 파일을 다운로드 하도록 유도하게 되며 해당 파일은 해외에서 제작된 허위 백신을 설치하는 악성코드의 변형 중 하나이다.

이번과 같이 해외 유명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마이스페이스를 사칭한 악의적인 스팸 메일은 결국 해외에서 제작된 허위 백신을 설치하기 위해 유포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악성코드들은 V3 제품군에서 다음과 같이 진단한다.

Dropper/Malware
Win-Trojan/Fakeav.164864.U

다양한 방식으로 유포되는 악성코드들의 감염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사항들을 숙지 할 필요가 있다.

Categories:악성코드 정보

0 0 votes
별점 주기
Subscribe
Notify of
guest

0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