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R 제품을 통한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 분석

AhnLab Security Emergency response Center(ASEC)은 유튜브를 통해 유포되는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 분석 보고서를 공개하였다.

유튜브를 통해 유포 중인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

보고서에서 언급하였듯이,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는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유포되고 있으며 유출된 정보는 사용자에게 직간접적인 피해를 준다.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에 감염된 경우 피해를 최소화 하기위해 어떤 정보를 어디로 유출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안랩 EDR 제품에서는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가 어떤 정보를 탈취하고, 어디로 유출했는지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어, 이를 추적하고 추가 피해를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해당 악성코드는 기존 공개한 분석 내용 처럼 PC에 저장된 다양한 정보를 탈취한다. 탈취한 정보는 ApplicationData, LocalApplicationData, CommonApplicationData 경로 중 임의의 경로에 44 폴더를 생성하고 하위에 복사 후 압축하여 전송한다. 현재 전송되는 주소에는 연결할 수 없는 상태이다.

[그림 1] EDR 탐지 화면

[그림 2] 프로세스 트리 요약

[그림 1]은 앞서 소개한 유튜브를 통해 유포되는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에 대한 안랩 EDR 제품 탐지 화면이다. 다양한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어 [그림2]에 별도로 요약하여 정리했다. 요약한 프로세스 트리를 기준으로, 어떤 정보를 탈취했는지에 대해 안랩 EDR 제품을 통해 추적한다.

[그림 3] 압축파일생성탐지

[그림 3]은 [그림 2]의 프로세스 트리에 있는 탐지 문구를 타임라인에서 검색한 검색 결과이다. 탈취를 목적으로 압축하는 행위에 대한 탐지를 알 수 있다.

[그림 4] 파일 생성 탐지

[그림 4] 는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가 생성하는 파일로, PC정보, 프로세스 정보를 txt 파일로 저장하는 것에 대한 안랩 EDR 제품 탐지 화면이다. process.txt는 프로세스 리스트를 저장한 내용이며, information.txt는 시스템 정보 탈취 내용을 갖고 있다.

[그림 5] 컴퓨터정보수집탐지

[그림 6] WMI 쿼리탐지

[그림 7] 클립보드 데이터 수집

[그림 5] [그림 6] [그림 7]는 information.txt에 수집되는 시스템 정보 탈취 내용에 대한 탐지를 볼 수 있다.

[그림 8] 화면캡처

[그림 8] 은 정보 탈취형 악성코드가 화면 캡처를 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그림 9] 탈취 파일 확인

[그림 9]는 안랩 EDR 제품의 모든 EDR 행위 정보가 기록된 내용으로 검색을 통해 탈취형 악성코드가 탈취를 목적으로 복사하는 파일에 대한 내용들이 기록되어 있으며 검색이 가능하다.

안랩 EDR 제품을 통해 앞서 소개한 내용 외에 더 많은 정보 탈취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어떤 정보를 어디로 탈취했는지를 추적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악성코드가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불법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는 행위를 지양해야 하며, 신뢰하지 않는 수신인으로부터 발송된 메일 열람을 자제해야 한다. 모든 위협에 선제적 대응을 하더라도 실수 한번으로 발생할 수 있는 위협에 대해 안랩 EDR 제품을 통해 이를 대응할 수 있다.

[파일 진단]
– Infostealer/Win.CALIBER.R513735 (2022.09.06.00)

[IOC]
MD5
6649fec7c656c6ab0ae0a27daf3ebb8e 

C2
– hxxps://discordapp[.]com/api/webhooks/947181971019292714/gXE5T4ZQQF0yGOhuBSDhTkFXB0ut9ai71IZmOFvsdIaznalhyvQP0h45xCss-8W7KQCo
– hxxps://discord[.]com/api/webhooks/940299131098890301/RU4T0D4gNAYM0BZkAMMKQRwGBORfHiJUJ5lJ20Gd-s2yCIX9lXCbyB6yZ6zHUA5B-H42

행위 정보 탐지 및 분석을 통한 엔드포인트 가시성을 제공하고 위협을 능동적으로 추적하는 AhnLab EDR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안랩닷컴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Categories:안랩 탐지

5 2 votes
별점 주기
guest

0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