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 을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2022년 11월 7일 월요일부터 11월 13일 일요일까지 한 주간 수집된 악성코드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다운로더가 37.8%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인포스틸러 악성코드가 27.1%, 뱅킹 22.9%, 백도어 11.2%, 랜섬웨어와 코인마이너가 0.5%로 집계되었다.

Top 1 – Emotet
6개월 만에 돌아온 Emotet 악성코드는 22.9%로 1위를 기록하였다. Emotet은 스팸 메일의 첨부 파일을 통해 유포되는 대표적인 뱅킹 악성코드이다. 국제적인 공조를 통해 무력화되기도 했던 Emotet은 최근 6개월 동안에도 잠시 활동이 사라졌었지만 2022년 11월 경부터 다시 유포를 재개하고 있다.

이모텟이 설치되면 시스템에 상주하면서 주기적으로 C&C 서버와 연결을 시도한다. 이모텟은 C&C 서버로부터 추가 모듈이나 악성코드를 전달받아 설치할 수 있다. 설치되는 추가 모듈로는 웹 브라우저 및 메일 계정 정보 등 사용자 정보 탈취 모듈들과 공유 폴더 등을 이용한 전파 모듈이 있다. 이모텟을 통해 다운로드되는 악성코드로는 과거 Qakbot, Trickbot 등 또 다른 뱅킹 악성코드들이 있었으며 최근에는 IcedID 뱅킹 악성코드를 설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Top 2 – AgentTesla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인 AgentTesla가 13.8%로 2위를 기록하였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유형의 악성코드이다.

수집한 정보 유출 시 메일 주로 메일 즉 SMTP 프로토콜을 활용하지만 FTP나 Telegram API 등을 사용하는 샘플도 존재한다. 최근 샘플들의 C&C 정보는 아래와 같다.
- FTP Server : ftp://ftp.valvulasthermovalve[.]cl/
User : cva19491@valvulasthermovalve.cl
Password : LI***L14!! - SMTP Server : mail.kulanitech.co[.]za
User : admin@kulanitech.co.za
Password : Le***0!
Receiver : salespcbcom@gmail.com - SMTP Server : mail.vrgenergy.com
User : account@vrgenergy.com
Password : M***hy*5VD
Receiver : elizabethgarcia@grupaormstrong.com
대부분 송장(Invoice), 선적 서류(Shipment Document), 구매 주문서(P.O. – Purchase Order) 등으로 위장한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기 때문에 파일명도 이와 관련된 단어 또는 문장이 사용된다. 확장자의 경우 pdf, xlsx와 같은 문서 파일로 위장한 샘플도 다수 존재한다.
- RFQ-97571784.PDF.exe
- OFFER – RPG 799902113840_pdf.exe
- Attachment New-Order20221108.exe
- ICMES-JIF-11-022 G1.exe
- BL Draft Copy.exe
Top 3 – SmokeLoader
Smokerloader는 인포스틸러 /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며 익스플로잇 킷을 통해 유포된다. 이번 주는 10.7%를 차지하며 3위에 올랐다. 익스플로잇 킷을 통해 유포되는 다른 악성코드와 마찬가지로 MalPe 외형을 갖는다.
실행되면 explorer.exe에 자기 자신을 인젝션하게 되고, 실제 악성 행위는 이 explorer.exe에 의해 수행된다. C&C 서버에 접속한 후 명령에 따라 추가 모듈을 다운로드할 수도 있고, 또 다른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할 수도 있다. 추가 모듈의 경우 다운로드되는 모듈 대부분은 인포스틸러 기능을 담당하며, 자식 프로세스로 explorer.exe를 생성하여 모듈을 인젝션하여 동작시킨다.
Smoke Loader와 관련된 분석 보고서는 아래의 ASEC 리포트 내에 존재한다.
[PDF] ASEC REPORT vol.101_한층 업그레이드된 최신판 스모크로더(Smoke Loader), 전격해부
다음은 확인된 C&C 서버 주소들이다.
- host-file-host6[.]com
- host-host-file8[.]com
- freeshmex[.]at/tmp
- wildweep[.]com/tmp
- cracker[.]biz/tmp
- piratia-life[.]ru/tmp
- piratia[.]su/tmp
- simplyadvanced1[.]com
- simplyadvanced2[.]com
- simplyadvanced3[.]com
- simplyadvanced4[.]com
- advancesimpley1[.]com
Top 4 – Amadey
Amadey Bot 악성코드는 이번 주 10.2%를 차지하며 4위에 올랐다. Amadey는 다운로더 악성코드로서 공격자의 명령을 받아 추가 악성코드를 설치할 수 있으며, 정보 탈취 모듈이 사용될 경우에는 감염 시스템의 사용자 정보들을 수집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Amadey는 정상 프로그램 및 크랙 악성코드를 위장해 유포되고 있는 SmokeLoader에 의해 설치된다. 하지만 최근에는 기업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스팸 메일에 첨부된 악성 문서 파일을 통해 유포되면서 LockBit 랜섬웨어를 설치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다음은 확인된 C&C 서버 주소들이다.
- hxxp://193.56.146[.]243/h8V2cQlbd3/index.php
- hxxp://31.41.244[.]15/Mb1sDv3/index.php
Top 5 – GuLoader
8.6%를 차지하는 GuLoader 는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하여 실행시키는 다운로더 악성코드이다. 과거에는 진단을 우회하기 위해 Visual Basic 언어로 패킹되어 있었으나 최근에는 NSIS 인스톨러 외형으로 유포된다. 원래 이름은 CloudEye로 알려져 있으며 GuLoader로 이름 붙여진 이유는 다운로드 주소로 구글 드라이브가 자주 사용되기 때문이다. 물론 구글 드라이브 외에도 마이크로소프트의 원 드라이브 및 다양한 주소가 사용될 수 있다.
- hxxps://drive.google[.]com/uc?export=download&id=1y12oc2s_ocBYtuwzawAsn-J8lS9icrku
- hxxps://drive.google[.]com/uc?export=download&id=1bFm1eQyvl5ZsKzQbZ9a_-XlGvpXfOBS9
- hxxps://heidi-blog[.]com/wp-includes/YIcITLFUI138.psd
- hxxp://ewsrtdy[.]ga/wp-admin/cukfI153.ocx
- hxxp://lombardeamok[.]tk/sdghja/gxLHrRObLmgKZUdvwnodQ45.qxd
GuLoader는 탐지를 회피하기 위해 파일 형태가 아니라 메모리 상에 다운로드하며, 다운로드된 파일도 PE가 아닌 인코딩된 형태이다. 이후 메모리 상에서 디코딩되어 실행되는데, 다운로드되는 악성코드로는 Formbook, AgentTesla 같은 인포스틸러 악성코드 및 Remcos, NanoCore와 같은 RAT 악성코드들이 있다.

대부분 송장(Invoice), 선적 서류(Shipment Document), 구매 주문서(P.O. – Purchase Order) 등으로 위장한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기 때문에 파일 이름도 동일하게 위와 같은 이름이 사용된다. 또한 확장자의 경우 pdf, xlsx와 같은 문서 파일이나 .dwg 즉 Auto CAD 도면 파일로 위장한 것들도 다수 존재한다.
- documentos DHL.exe
- Orden de compra #S045678.exe
- INQUIRY 001-904940.scr
- ADNOC97571784.exe
- PENTHOUSE BRIDGE GENOA.exe
연관 IOC 및 관련 상세 분석 정보는 안랩의 차세대 위협 인텔리전스 플랫폼 ‘AhnLab TIP’ 구독 서비스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Categories:위협 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