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 ( 20200727 ~ 20200802 )

ASEC 분석팀에서는 ASEC 자동 분석 시스템 RAPIT를 활용하여 알려진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류 및 대응을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2020년 7월 27일 월요일부터 2020년 8월 2일 일요일까지 수집된 한 주간의 통계를 정리한다.

대분류 상으로는 인포스틸러 악성코드가 45.6%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RAT (Remote Administration Tool) 악성코드가 19.1%, 뱅킹 악성코드가 18.6%, 차지하였다. Coin Miner 악성코드는 7.8%, 랜섬웨어는 4.9%를 차지하였으며 다운로더 악성코드가 2.9%로 그 뒤를 따랐다.

Top 1 –Lokibot

지난 주에 이어 Lokibot이 17.2% 비율로 1위를 차지했다. Lokibot은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로서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 메일 클라이언트, FTP 클라이언트들 뿐만 아니라 메신저, Putty 등의 프로그램도 그 대상이 된다. 또한 시스템에 상주하면서 키로깅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대부분 송장(Invoice), 선적 서류(Shipment Document), 구매 주문서(P.O. – Purchase Order) 등으로 위장한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기 때문에 파일 이름도 동일하게 위와 같은 이름이 사용된다. 또한 확장자의 경우 pdf, xlsx와 같은 문서 파일이나 .dwg 즉 Auto CAD 도면 파일로 위장한 것들도 다수 존재한다.

  • 11.일*산업po.exe
  • 일*산업.pdfpo.exe
  • 200728 티에스*텍 견적의뢰서,jpg.exe
  • 견적 품목 리스트po.exe
  • 견적200730.exe
  • 견적의뢰서 _20200730.xlspo.exe
  • 국토측량.pdf)po.exe
  • 사양서-mtrv03kvmtrv03kv.exe
  • 엠티*케이솔루션견적서0211po.exe
  • 한*이엔지견적 품목 리스트po.exe
  • 대*금속(ddm-20200730-2)티에스*텍,xlsx.exe
  • Gleason_QT28072020.exe
  • MT JOY CHEMIST V-14.exe
  • MT OLYMPIA ROAD – Cal9040743.exe
  • PO 203007-101A.exe
  • REMITTANCE ADVICE_ 28072020_[REF0000360261].exe
  • TT_COPY_PRO_FORMA_INVOICE_B023007_7-02-2020_pdf.exe

대부분의 Lokibot 악성코드 C&C 서버는 다음과 같이 fre.php로 끝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Top 2 –  AgentTesla

AgentTesla는 16.7%를 차지하며 지난 주와 같이 2위를 차지하고 있다. AgentTesla는 웹 브라우저, 메일 및 FTP 클라이언트 등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유출하는 인포스틸러 악성코드이다. 

https://asec.ahnlab.com/1361

최근 유입되는 샘플들은 수집한 정보 유출 시 아래와 같은 메일 서버 및 사용자 계정들을 이용한다.

  • bh-58.webhostbox[.]net (199.79.63[.]24)
    sender : angel@bulklogs[.]top
    receiver : angel@bulklogs[.]top
    user : angel@bulklogs[.]top
    pw : 72135***eACE@#$
  • mail.emifarma[.]com (162.241.60[.]204)
    sender : vedo@emifarma[.]com
    receiver : vedo@emifarma[.]com
    user : vedo@emifarma[.]com
    pw : icui4c***@
  • smtp.shakurjay[.]com (208.91.199[.]224)
    sender : jayboy@shakurjay[.]com
    receiver : jayboy@shakurjay[.]com
    user : jayboy@shakurjay[.]com
    pw : z9{6l***?sUj
  • bh-58.webhostbox[.]net (199.79.63[.]24)
    sender : dutchlog@evawater[.]xyz
    receiver : dutchlog@evawater[.]xyz
    user : dutchlog@evawater[.]xyz
    pw : 7213575ac***E@#$
  • mail.foodanddesign-lb[.]com (192.185.96[.]18)
    sender : yarze@foodanddesign-lb[.]com
    receiver : yarze@foodanddesign-lb[.]com
    user : yarze@foodanddesign-lb[.]com
    pw : yarze***8
  • mail.abr[.]rs (85.17.123[.]84)
    sender : beograd@abr[.]rs
    receiver : sarah_borte.com.cn@dr[.]com
    user : beograd@abr[.]rs
    pw : beogr***5874

AgentTesla 악성코드 또한 최근에는 주로 스팸 메일 형태로 유포됨에 따라 유사한 유포 파일명을 지닌다.

  • AWB PD 20.426 & 20.457.pdf.exe
  • Chem Patriot_q88_29May2020.exe
  • IMAGES_AND_SPECIFICATIONS_-_RFQ_DTD_24-0720PDF.exe
  • Invoice.exe
  • Mo TK 20VICO38.exe
  • Msiler_dump_assembly_2-1595903208 MV MONA KH.exe
  • MV.CRUISE_30000MT_OF_STEEL_BARS.exe
  • New order.exe
  • NEW PRODUCTS INQUIRY LISTED ITEMS DATASHEET.exe
  • POs 097663899 NEW ORDER.r.exe
  • purchase Order NO.8909w4vvy. (2).exe
  • Reference details PO required.exe
  • TT_Copy-23874-print………….Pdf.exe

Top 3 –  Emotet

13.7%를 차지하는 Emotet은 뱅킹 악성코드이며 최근 잠복기를 거쳐서 다시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 중이다.

https://asec.ahnlab.com/1358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형태는 추가적인 기능이 없는 다운로더라고 할 수 있으며, 시스템에 설치된 이후 추가 모듈 또는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추가 모듈로는 웹 브라우저 및 메일 계정 정보 등 사용자 정보 탈취 모듈들과 공유 폴더 등을 이용한 전파 모듈이 있다. 다운로드되는 악성코드로는 Qakbot, Trickbot 등 또 다른 뱅킹 악성코드들이 있다.

Top 4 –  Glupteba

7.8%를 차지하는 Glupteba는 Golang으로 개발된 악성코드이다. 다수의 추가 모듈을 다운로드하며 여러 기능을 갖지만 실질적으로는 XMR (모네로) 코인 마이너를 설치하는 코인 마이너 악성코드이다. 

Glupteba는 실행되면 UAC Bypass를 거쳐서 TrustedInstaller의 권한을 이용해 시스템 권한을 갖게 된다. 그리고 C:Windowsrsscsrss.exe 이름으로 정상 프로세스를 위장하여 시스템에 상주한다. 이후 추가 모듈을 다운로드하는데, 그 대상으로는 프로세스 및 파일들을 숨기기 위한 루트킷 드라이버들이 있으며, 최종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는 XMR 코인 마이너 및 SMB 취약점을 통한 전파를 위한 Eternal Blue 패키지가 있다.

현재 확인된 Glupteba 대부분은 PUP를 통해 다운로드되는 방식으로 유포 중이다. PUP를 통해 유포 중임에도 불구하고 이전 블로그에서 언급된 MalPe 패커 외형을 갖는다는 것이 특징이다.

https://asec.ahnlab.com/1276

MalPe 패커 외형을 갖는 악성코드들은 대부분 Exploit Kit을 통해 유포되지만 이전 Vidar 인포스틸러의 사례와 같이 PUP를 통해 다운로드 되거나 정상 프로그램으로 위장하여 유포되는 악성코드들에서도 동일하게 MalPe 패커 외형이 확인되고 있다.

https://asec.ahnlab.com/1330

확인된 C&C 서버 주소는 저번 주와 같이 다음과 같다.

[추가 모듈 다운로드 주소]

[C&C 서버 주소]

Top 5 – Formbook

Formbook은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로서 7.4%를 차지하고 있다. 

https://asec.ahnlab.com/1363

https://asec.ahnlab.com/1348

다른 인포스틸러 악성코드들과 동일하게 대부분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며 유포 파일명도 유사하다.

  • (주)유*티에스_INQUIRY_20072703KE.exe
  • 견적서,pdf.exe
  • 견적의뢰서,xls.exe
  • Payment_advice-advice_ref_g5008785.exe
  • NEW_ORDER_KV19FJ004_FJALLRAVEN_S20_TRUNG_HUY_COMPANY_LIMITE.exe
  • po_id_23072020_pdf.exe
  • QUOTATION-SSHT-Q20G-10 K98MC (1295025-5.1),pdf.exe

Formbook 악성코드는 현재 실행 중인 정상 프로세스인 explorer.exe 및 system32 경로에 있는 또 다른 정상 프로세스에 인젝션함에 따라 악의적인 행위는 정상 프로세스에 의해 수행된다. 웹 브라우저의 사용자 계정 정보 외에도 키로깅, Clipboard Grabbing, 웹 브라우저의 Form Grabbing 등 다양한 정보를 탈취할 수 있다. 다음은 확인된 Formbook의 C&C 서버 주소이다.

ETC –  njRAT

njRAT은 키로깅을 포함한 정보 유출 외에도 공격자의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RAT 악성코드로서 위의 Top 5 순위에는 없지만 6.9%를 차지한다. 최근 수집되는 njRAT들은 대부분 특정 국산 무료 도메인 서비스에서 kro.kr나 p-e.kr와 같은 도메인 주소를 활용하여 악성 C2 서버 주소를 얻어온다.

  • agrvda.kro[.]kr:2222
  • bkhwa123.n-e[.]kr:1
  • bkhwa123.n-e[.]kr:2
  • dfsadfa.kro[.]kr:5552
  • guccidomain.kro[.]kr:1
  • hgdomain.p-e[.]kr:1
  • khwa123.n-e[.]kr:1
  • sia1111.p-e[.]kr:1
  • spsp12.kro[.]kr:5555
  • xoftdomain.kro[.]kr:5552

njRAT은 대부분 웹 하드나 토렌트를 통해 정상 파일로 위장하여 유포 중이다. 유포 시 위장하는 대상으로는 게임 핵이나 기프트카드 생성기와 같은 불법 프로그램이 다수 존재하며, 이 외에도 불법 공유 게임들에 포함되어 유포되는 경우가 많다.

  • 전생했더니 마계였습니다! ver 1.00game_datamad_people.com
  • 밀레이유와 환혹의 숲의 암리타1game_datamad_people.com
  • 철검소녀 블레이쟈game_datamad_people.com
  • 망국의 왕녀 코렛트d3dcompiler_46.dll
  • 착정갸루걸의 이세계라이프!d3dcompiler_46.dll
  • 쯔꾸루암살자 크로네d3dcompiler_46.dll
  • [h]마녀 카르테systemrgss302.dll
  • [rj294721] 에리오와 요정의 숲d3dcompiler_46.dll
  • 무인도생활d4work.dll

Categories:위협 통계

Tagged as:

0 0 votes
별점 주기
Subscribe
Notify of
guest

0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