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Stealer

스팸 메일로 유포되는 정보탈취 악성코드(AgentTesla)

AhnLab Security Emergency response Center(ASEC)은 메일을 통해 악성 BAT파일로 유포되는 AgentTesla 정보 탈취 악성코드의 유포 정황을 발견했다. BAT파일은 실행되면 AgentTesla(EXE)를 사용자 PC에 생성하지 않고 실행하는 파일리스(Fileless) 기법으로 실행된다. 해당 블로그를 통해 스팸 메일로부터 최종 바이너리(AgentTesla)까지 유포되는 동작 흐름 및 관련 기법에 관해 설명한다.  [그림 1]은 AgentTesla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스팸메일 본문이다. 다른 이메일 계정을 통해 발신한다는 제목으로 수신자를 속여 악성파일(.BAT)의 실행을 유도했다. 첨부된 zip 압축 파일 내부에는 [그림 2] 와 같이 배치 스크립트 파일(.BAT)이 포함되어 있다. BAT 파일은 실행시 윈도우 응용프로그램인…

3CX DesktopApp 사용 주의 (CVE-2023-29059)

개요 3CX DesktopApp을 통해 공급망 공격이 이루어졌다는 내용이 공개되었다.[1] 해당 소프트웨어는 통화, 화상 회의 등 사용자에게 여러 통신 기능을 제공하며 Windows, MAC 운영체제 환경에서 구동이 가능하다. 현재 3CX 업체에서는 새로운 인증서를 발급하기 위하여 준비 중이며 그 전까지는 다른 소프트웨어를 대체하여 사용할 것을 가이드하고 있다. 설명 관련하여 유포된 악성코드는 악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들을 포함한 MSI, DMG 형태의 설치 파일인 것으로 확인된다. 3CXDesktopApp.exe가 악성 모듈인 ffmpeg.dll을 로드하고, 이후 d3dcompiler.dll를 추가 로드하여 메모리 상에서 실행한다. 메모리 상에서 실행되는 악성코드는 다운로더로서 최종적으로 정보 탈취형…

윈도우 도움말 파일(*.chm) 로 유포 중인 AsyncRAT

최근 악성코드의 유포 형태가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그 중 윈도우 도움말 파일(*.chm) 을 이용한 악성코드가 작년부터 증가하고 있으며, ASEC 블로그를 통해 아래와 같이 여러 차례 소개해왔다. 최근에는 AsyncRAT 악성코드가 chm 을 이용하여 유포 중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체적인 동작 과정은 [그림 1] 과 같으며, 각 과정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한다. 먼저, chm 파일을 실행하게 되면 기존에 소개했던 유형과는 다르게 빈 화면의 도움말 창이 생성된다. 이때 사용자 모르게 실행되는 악성 스크립트의 내용은 [그림 3] 과 같으며, 이전 유형들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형태인 것을…

다양한 플랫폼을 악용하는 Vidar Stealer

Vidar 악성코드는 꾸준하게 유포 중인 정보탈취 유형의 악성코드로 최근 유포량이 눈에 띄게 늘었다. Telegram, Mastodon등의 유명 플랫폼을 중간 C2로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다음 링크는 Mastodon을 활용하여 악성 행위를 수행하는 사례에 대한 포스팅이다. 이후에도 Vidar 악성코드는 활발히 유포되며 지속적으로 버전이 업데이트되었고, 최근 유포 중인 샘플군에서는 Telegram, Mastodon 뿐만 아니라 Steam, TikTok 등 다양한 플랫폼이 사용되고 있어 관련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온라인 플랫폼의 계정을 생성하면 누구든지 접속이 가능한 계정 고유의 페이지가 만들어진다. 공격자는 이 페이지의 일부 공간에 식별 문자와 C2 주소를 작성한다….

위장 파일명으로 유포되는 악성코드(RIGHT-TO-LEFT OVERRIDE)

ASEC 분석팀에서는 지난 8월 RIGHT-TO-LEFT OVERRIDE(이하 RTLO) 를 이용한 파일명을 사용하여 유포되고 있는 악성코드에 대한 블로그를 게시했다. RTLO는 설명된 내용처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오버라이드 하는 유니코드이다. 이를 이용하여 파일명과 확장자를 섞어 사용자의 실행을 유도하는 방식의 악성코드 유포는 현재도 계속되고 있다. GitHub에 솔루션파일(*.sln) 위장하여 유포되는 RAT 툴 이전 블로그 포스팅 내용을 토대로 GitHub에서 검색 시 Commits 된 게시글은 금일(2022.11.30)기준 304건이 조회된다. 몇 개의 계정으로 다수의 악성코드를 정상 코드처럼 등록했으며 기존 게시된 솔루션 위장 악성코드 파일만 새로운 악성코드로 업로드하여 유지된 게시글도 존재했다. RTL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