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31 발간

안랩 ASEC에서 2012년 7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31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7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Banki 트로이목마의 공습 구글 코드를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국외 은행 피싱 메일 아래아한글 취약점을 악용한 파일 추가 발견 링크드인 스팸 메일과 결합된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킷 BHO에 등록되는 온라인 게임핵 악성코드 WinSocketA.dll 파일을 이용하는 온라인 게임핵 Cross-Platform 악성코드 위구르족을 타깃으로 한 맥 악성코드 2) 모바일 악성코드 이슈 APT 공격과 관련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발견 스마트폰에도 설치되는 애드웨어 3) 보안 이슈 DNS changer 감염으로 인한 인터넷 접속 장애 주의 BIND 9 취약점 발견 및 업데이트 권고 어느 기업의 데이터 유출 후, 고객에게 보내진 ‘보안 패치’ 메일의 비밀 4)…

오라클 자바 JRE 7 제로 데이 취약점 관련 보안 패치 배포

ASEC에서는 8월 29일 “오라클 자바 JRE 7 제로 데이 취약점 악용 악성코드 유포“를 통해 오라클 자바 JRE(Java Runtime Environment) 7에서 임의의 코드를 실행 할 수 있는 코드 실행 취약점(CVE-2012-4681)을 발견하였음을 공개하였다. 한국 시간으로 8월 31일 금일 자바 JRE 7에 존재하는 취약점 CVE-2012-4681을 제거 할 수 있는 보안 패치를 보안 권고문 “Oracle Security Alert for CVE-2012-4681“를 통해 공개하였다. 현재 해당 자바 JRE 7에 존재하는 취약점 CVE-2012-4681을 악용하는 JAR 파일이 공다 팩(GongDa Pack)과 블랙홀(Blackhole)이라 불리는 웹 익스플로잇 툴킷(Web Exploit Toolkit)을 통해 백도어 기능을 수행하는 윈도우 악성코드와 맥(Mac) 악성코드 등 지속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악용 사례가 발견되고 있다. 그러므로, 오라클에서 배포 중인 해당 보안 패치를 즉시 설치하여 해당  CVE-2012-4681 취약점을 악용하는 다양한 보안 위협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오라클에서 배포 중인 보안 패치를 포함한 최신 버전은 웹 사이트 “무료 Java 다운로드” 또는 “Java SE Downloads“를…

악성코드 감염으로 알려진 일본 재무성 침해 사고

2012년 7월 21일 일본 국내 언론들을 통해 “Finance Ministry reveals 2010-2011 computer virus; info leak feared” 일본 재무성에서 2010년에서 2011년 2년 사이에 감염된 악성코드가 발견되었으며, 이로 인해 내부 정보가 유출 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는 기사가 공개 되었다. ASEC에서는 해당 침해 사고와 관련한 추가적인 정보와 관련 악성코드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해당 침해 사고와 관련된 악성코드를 확보하게 되었으며, 해당 악성코드는 약 1년 전인 2011년 9월 경에 발견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번에 파악된 악성코드가 실행되면 해당 파일이 실행된 동일한 경로에 다음 파일을 생성하고, 정상 시스템 프로세스인 explorer.exe에 스레드로 인젝션하게 된다. C::[악성코드 실행 경로]tabcteng.dll (114,688 바이트) 그리고 다음 레지스트 경로에 키 값을 생성하여 감염된 시스템이 재부팅하더라도 자동 실행 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HKLMSYSTEMControlSet001ServicesNetmanParametersServiceDll “C:[악성코드 실행 경로]tabcteng.dll” 감염된 시스템에 존재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의 실행 파일 iexplorer.exe를 실행 시켜 HTTP로 외부에 존재하는…

사우디아라비아 정유 업체를 공격한 Disttrack 악성코드

8월 17일 ASEC에서는 8월 15일 공개된 외국 언론 “Saudi Aramco says virus shuts down its computer network“을 통해 사우디 아라비아의 정유 업체인 Saudi Aramco에 특정 악성코드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였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추가적으로 ASEC에서 관련 보안 위협에 대한 정보들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시만텍(Symantec)에서 “The Shamoon Attacks“로 명명한 보안 위협과 관련되었음을 파악하였다. Shamoon 보안 위협과 관련된 악성코드는 Disttrack로 명명되었으며, 크게 3가지 기능을 가진 악성코드들이 모듈 형태로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드로퍼(Dropper) – 다른 기능들을 수행하는 악성코드들을 생성하는 메인 악성코드 와이퍼(Wiper) – 실질적인 MBR(Master Boot Record)를 파괴 기능을 수행하는 악성코드 리포터(Reporter) – 공격자에게 감염된 시스템의 현황을 보고 기능을 수행하는 악성코드 해당 Disttrack는 관리 목적의 공유 폴더인 ADMIN$, C$, D$와 E$ 를 통해 네트워크에 이웃한 시스템으로 자신의 복사본을 전송하여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감염된 시스템에 존재하는 JPEG 파일을 임이의 데이터로 덮어씀으로 이미지 파일을 정상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한다….

YSZZ 스크립트 악성코드의 지속 발견

ASEC에서는 중국에서 제작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GongDa Pack으로 명명된 스크립트 형태의 악성코드가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다는 것을 공개한 바가 있다. 7월 30일 – GongDa Pack의 스크립트 악성코드 증가 최근들어 GongDa Pack으로 명명된 스크립트 악성코드 이외에 YSZZ로 명명된 스크립트 악성코드가 버전을 계속 변경하면서 유포되고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7월 3일 발견된 스크립트 악성코드의 경우는 아래 이미지처럼 상반기부터 발견되기 시작한 다른 YSZZ 스크립트 악성코드 변형들과 동일하게  0.3 버전의 스크립트 였다.  그러나 8월 3일 발견된  YSZZ 스크립트 악성코드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0.8 VIP 버전으로 업데이트된 버전의 스크립트 였다. 8월 11일 주말에 발견된 YSZZ 스크립트 악성코드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0.9 VIP 버전으로 다시 업데이트된 버전의 스크립트 였다. 해당 업데이트 된 버전의  YSZZ 스크립트 악성코드들은 V3 제품군에서 다음과 같이 진단한다. 하지만 다수의 변형들이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음으로 주의가 필요하다. HTML/Downloader JS/Downloader  JS/Agent  그리고 네트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