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그니베르

매그니베르 랜섬웨어의 인젝션 V3 탐지 차단(Direct Syscall Detection)

매그니베르(Magniber) 랜섬웨어는 높은 유포건수를 보이며 꾸준히 유포되고 있다. 매그니베르 랜섬웨어는 최근 몇년간 IE 취약점을 통해 유포되었지만, IE(Internet Explorer)의 지원 종료시기를 기점으로 IE 취약점 유포를 중단하였다. 그리고 최근 매그니베르 랜섬웨어는 Edge, Chrome 브라우저에서 Windows 보안 업데이트 패키지(ex_ERROR.Center.Security.msi)로 파일명을 위장해 유포되고 있다. 현재 매그니베르 랜섬웨어(Magniber)는 실행중인 프로세스에 랜섬웨어를 주입하여 실행중인 프로세스가 사용자의 파일을 암호화하는 피해를 발생시킨다. 해당 글을 통하여 현재 유포되고 있는 매그니베르 랜섬웨어의 감염 흐름 과 랜섬웨어 주입방식 및 새로운 탐지 기법(Direct Syscall Detection)에 대해 설명한다. [그림 1]은 매그니베르 랜섬웨어의 감염…

매그니베르 랜섬웨어의 재실행 기법(Magniber)

ASEC(AhnLab Security Emergency response Center)은 높은 유포건수를 보이는 매그니베르(Magniber) 랜섬웨어를 꾸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 매그니베르 랜섬웨어는 최근 몇년간 IE 취약점을 통해 유포되었지만, IE(Internet Explorer)의 지원 종료시기를 기점으로 IE 취약점 유포를 중단하였다. 그리고 최근 매그니베르 랜섬웨어는 Edge, Chrome 브라우저에서 Windows 설치 패키지 파일(.msi)로 유포되고 있다. 최근 매그니베르(Magniber) 랜섬웨어에 감염된 시스템에서 재감염되었다는 피해 사례가 보고되어 분석결과 시스템이 재시작 될 때마다 새로운 매그니베르를 다운로드 받아 암호화가 되도록 제작하여 더 많은 피해를 발생 시키고 있다. 아래 [그림] 은 MSI 파일 실행시,  msiexec.exe 에서 동작되는 인젝터…

EDR을 활용한 Magniber 랜섬웨어 유포지 추적

안랩 ASEC은 지난 1월 Magniber 랜섬웨어 국내 유포 재개(1/28)를 공개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Magniber 유포가 확인되어 다양한 방식으로 차단을 하고 있다. 특히 당시 <a> 태그를 통해 도메인 차단을 우회하고 있는 것을 확인되었는데, 이를 탐지하기 위해 다른 방법을 통해 유포지 URL을 추적하여 대응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개선하여 적용한 인프라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유포지 차단, 파일 진단 등을 통해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고있다. Magniber 랜섬웨어는 Anti virus 제품의 탐지를 우회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변형을 유포하고 있어 실시간 대응을 어렵게 하고 있는만큼 추가 피해를…

Magniber 랜섬웨어의 유포 중단 (11/29 이후)

안랩 ASEC 분석팀은 도메인 오탈자를 악용한 타이포스쿼팅(Typosquatting) 방식을 통해 활발하게 유포되는 대표적인 악성코드인 매그니베르(Magniber) 랜섬웨어의 유포를 지속적인 모니터링 과정을 통해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속적 대응을 통해 11/29일자 기준으로 매그니베르 랜섬웨어의 유포 중단 현황을 포착하였다. 최근 매그니베르 랜섬웨어 제작자는 확장자 변경, 인젝션, UAC 우회 기법 등의 다양한 백신 탐지 회피를 위한 시도를 수행하였으며, 파일, 메모리, AMSI 진단 등을 비롯한 ASEC 분석팀의 지속적인 대응 과정을 거쳐, 10월 이후 MSI 확장자 형태로 유포 방식이 고착화되었다. 매그니베르 랜섬웨어 유포 방식의 변화(cpl -> jse…

매그니베르 랜섬웨어 취약점 변경 (CVE-2021-40444)

매그니베르 랜섬웨어는 IE 취약점을 이용하여 Fileless 형태로 감염되는 랜섬웨어로 국내 사용자 피해가 많은 랜섬웨어 중 하나이다. 취약점 발생 단계에서 사전 탐지 및 차단하지 않으면 감염을 막기 어려운 구조로 백신 프로그램에서 탐지가 어려운 상황이다. 매그니베르 랜섬웨어는 2021년 3월 15일에 CVE-2021-26411 취약점을 사용하여 최근까지 유포되고 있었으나, 9월 16일에는 CVE-2021-40444 취약점으로 변경된 것을 확인하였다. 해당 취약점은 9월 14일에 MS 보안패치가 적용된 최신 취약점으로 많은 사용자들이 감염 위험에 노출된 상황이다. (Win10 환경에서만 취약점이 변경되었으며, 그 외에는 기존 CVE-2021-26411이 사용 중) 취약점 발생 시, 아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