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ero-Day

다시 발견된 한글 취약점을 악용한 취약한 한글 파일

ASEC에서는 그 동안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는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감염 사례들 다수를 언급하였다.  6월 15일 – 한글 제로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6월 26일 – 알려진 한글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7월 5일 – 지속적으로 발견되는 취약한 한글 파일 유포 7월 25 – 한글 취약점을 악용한 취약한 한글 파일 추가 발견 2012년 8월 13일, 어제 다시 기존에 알려진 한글 취약점을 악용하는 취약한 한글 파일이 발견되었으며,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을 열게 되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타나게 된다.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새로운 제로 데이(Zero Day, 0-Day) 취약점이 아니다. 해당 취약점은 HncTextArt_hplg에 존재하는 스택(Stack)의 경계를 체크하지 않아 발생하는 버퍼 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 취약점이며, 해당 취약점은 2010년부터 지속적으로 악용되어 왔던 한글 소프트웨어 취약점들 중 하나이다. 그리고…

한글 취약점을 악용한 취약한 한글 파일 추가 발견

ASEC에서는 그 동안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는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감염 사례들 다수를 언급하였다.  6월 15일 – 한글 제로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6월 26일 – 알려진 한글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7월 5일 – 지속적으로 발견되는 취약한 한글 파일 유포 이러한 한글 소프트웨어 존재하는 취약점을 악용한 취약한 한글 파일이 7월 24일 다시 발견되었으며, 이 번에 발견된 취약한 한글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동일한 내용을 가지고 있다.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새로운 제로 데이(Zero Day, 0-Day) 취약점이 아니다. 해당 취약점은 HncTextArt_hplg에 존재하는 스택(Stack)의 경계를 체크하지 않아 발생하는 버퍼 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 취약점이며, 해당 취약점은 2010년부터 지속적으로 악용되어 왔던 한글 소프트웨어 취약점들 중 하나이다. 그리고 해당 취약점은 한글과 컴퓨터에서 이미 보안 패치를 제공 중에 있다.  해당 취약점이 존재하는 한글…

지속적으로 발견되는 취약한 한글 파일 유포

ASEC에서는 한글과 컴퓨터에서 개발하는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코드 실행 제로 데이(Zero Day, 0-Day) 취약점을 악용하는 악성코드가 6월 15일 발견되었음을 공개하였다. 그리고 6월 22일에는 기존에 발견되었던 취약점을 악용한 취약한 한글 파일이 발견되었음을 공개하였다. 7월 4일 어제 다시 한글 소프트웨어에 존재하는 알려진 취약점을 악용한 취약한 한글 파일이 발견되었으며,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 역시 이메일의 첨부 파일 형태로 국내 특정 조직을 대상으로 유포 되었다. 이메일에 첨부되어 유포된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을 열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동일한 내용이 나타나게 된다. 해당 취약한 파일은 아래 이미지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으며, 6월 15일 발견된 코드 실행 취약점을 응용한 형태가 아니라 이미 보안 패치가 제공되어 있는 취약점이다. 이 번에 발견된 해당 취약한 한글 파일은 HncTextArt_hplg에 존재하는 스택(Stack)의 경계를 체크하지 않아 발생하는 버퍼 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 취약점이며, 해당 취약점은 2010년부터…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 악용으로 온라인 게임 악성코드 유포

ASEC에서는 6월 26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CVE-2012-1889)을 악용한 공격 형태가 증가하고 있다는 안내를 한 바가 있다. 그리고  6월 28에는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는 코드가 변형된 형태의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CVE-2012-1889) 악용하고 있는 것으로 공개한 바가 있으며, 취약한 웹 사이트를 중심으로 유포가 진행 되고 있다고 언급한 바가 있다. 현재까지도 보안 패치가 제공되지 않고 있는 제로 데이(Zero-Day, 0-Day) 취약점인 해당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 악용형태가 지난 주말인 6월 30일과 7월 1일 이틀 사이 한국 내의 취약한 웹 사이트들을 대상으로 유포되고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주말 사이 발견된 해당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을 악용하는 스크립트 악성코드는 아래 이미지와 같은 형태이며, 이제까지 발견된 스크립트 악성코드와는 다르게 난독화 정도가 심하게 제작되어 있다.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는 스크립트 악성코드는 최소 36개 이상의 온라인 게임 정보를 탈취하기 위한 악성코드 변형들을 유포하기 위해…

변형된 형태의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CVE-2012-1889) 악용

ASEC에서는 6월 26일 현재까지도 제로 데이(Zero Day, 0-Day) 취약점인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CVE-2012-1889)을 악용한 공격 사례들이 발생하고 있다고 공유한 바가 있다. 금일 해당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을 악용한 다른 형태의 공격 사례가 발견되었으며, 해당 공격 사례는 XML 코어 서비스 뿐 만이 아니라 자바(JAVA)와 어도비 플래쉬(Adobe Flash) 취약점까지도 같이 악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을 악용한 사례는 블랙홀(Blackhole)과 같은 웹 익스플로잇 툴킷(Web Exploit Toolkit) 형태로 스크립트 악성코드들을 기능별로 분류하여 단계적으로 취약점을 악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단계적으로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 형태는 아래 이미지와 같은 전체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일부 스크립트들만 분석하여서는 전체적인 공격 및 취약점 형태를 파악하기 어렵도록 하고 있다. 현재 해당 XML 코어 서비스 취약점 등을 악용한 공격 형태는 SQL 인젝션(Injection) 공격 기법 등으로 취약한 웹 페이지의 하단에 Exploit.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