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치드(Patched) 형태의 악성코드 변천사 Posted By ASEC , 2012년 10월 18일 ASEC에서는 그 동안 악성코드에 의해 정상 윈도우(Windows) 시스템 파일을 변조시켜 악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패치드(Patched) 형태의 악성코드에 대한 정보들을 공개하였다. 특히 다양한 온라인 게임의 사용자 정보들을 탈취하는 온라인 게임 관련 트로이목마(OnlineGameHack)에 의해 온라인 게임의 메인 실행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에 악성코드인 DLL 파일을 안정적으로 실행시키기 위해 윈도우 시스템의 정상 DLL 파일들을 감염 시키는 형태가 자주 발견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악성코드들을 일반적으로 패치드(Patched) 형태의 악성코드라고 불리고 있으며, 현재까지 발견된 악성코드에 의해 사용되는 패치드 기법들을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 1. DLL 파일에 악의적인 DLL 파일을 로드하는 코드 삽입 후 이 코드로 분기하도록 패치하는 형태 일반적으로 많이 알려진 패치드 형태로서, 과거 3년 전부터 발견되기 시작하였으며, 주로 패치의 대상이 되었던 윈도우 정상 DLL 파일들은 imm32.dll, olepro32.dll, dsound.dll과 같다. 패치가 된 DLL 파일은 위 이미지와 같이 파일의 섹션 끝 부분에 쉘코드(Shellcode)가 삽입 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