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licious Software, Friday Night Fever~!! Posted By ASEC , 2011년 6월 24일 1. 서론 ⊙ 금요일 퇴근 후 또는 학업을 마치고, PC를 사용하는 인터넷 사용자를 타겟으로 하는 악성코드가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러한 악성코드의 감염 원인과, 예방방법을 알아보자. 2. 악성코드 유포 사이트 ⊙ 국내에서 주말마다 반복되는 악성코드 유포 경유지 이번주는 어디일까? 본격적인 어둠이 오기전 먼저 유포를 시작하는 곳 중, 한두 곳만 살펴 보았다. – 악성코드 유포 경유지 : 현재는 조치되어 유포하고 있지 않다. [그림] 악성 스크립트 유포 사이트 –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사이트로 연결되어 악의적인 스크립트가 실행된다. [그림] 악성코드를 감염시키기 위해 다운로드 되는 파일 정보 – 이중 마지막 단계인 main.swf 파일을 살펴보자. 최근, Adobe Flash Player (CVE-2011-2110) 취약점을 이용한 악성코드 감염이 일반적이다. [그림] Adobe Flash Player 취약점을 이용한 main.swf 내부 코드 – 다운로드 받는 파일을 확인해 보자. main.swf 파일에 파라미터 “info=”를 통해 URL을…
윈도우 시스템 파일을 변조하는 악성코드 주의 Posted By ASEC , 2011년 6월 1일 1. 서론최근 lpk.dll, imm32.dll 등 윈도우 중요 시스템 파일을 변조하는 악성코드가 국내 다수의 사이트에서 유포되고 있어 주의 차원에서 해당글을 작성합니다.2. 전파 경로해당 악성코드는 웹사이트를 통해 윈도우 및 기타 어플리케이션 취약점을 통해 전파되며 이때 이용되는 취약점은 주로 아래와 같습니다. Adobe Flash Player 취약점 (CVE-2011-0611)인터넷 익스플로러 취약점 (CVE-2010-0806) 이들 취약점은 모두 가장 최근에 나와 보안 업데이트가 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가 많아 다수의 사용자가 해당 악성코드에 감염이 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3. 감염 시 나타나는 증상해당 악성코드 감염 시 특별히 눈에 띄게 나타나는 증상이 없어 사용자가 악성코드 감염을 인지할 수 있는 방법은 힘듭니다. 다만 아래와 같이 파일을 확인하여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감염 확인 방법]1) 내컴퓨터를 실행하여 [도구] – [폴더 옵션] 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2) 위와 같이 설정 후 C:WindowsSystem32 폴더로 이동하여 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