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licious Software, Friday Night Fever~!! Posted By ASEC , 2011년 6월 24일 1. 서론 ⊙ 금요일 퇴근 후 또는 학업을 마치고, PC를 사용하는 인터넷 사용자를 타겟으로 하는 악성코드가 여전히 기승을 부리고 있다. 이러한 악성코드의 감염 원인과, 예방방법을 알아보자. 2. 악성코드 유포 사이트 ⊙ 국내에서 주말마다 반복되는 악성코드 유포 경유지 이번주는 어디일까? 본격적인 어둠이 오기전 먼저 유포를 시작하는 곳 중, 한두 곳만 살펴 보았다. – 악성코드 유포 경유지 : 현재는 조치되어 유포하고 있지 않다. [그림] 악성 스크립트 유포 사이트 –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사이트로 연결되어 악의적인 스크립트가 실행된다. [그림] 악성코드를 감염시키기 위해 다운로드 되는 파일 정보 – 이중 마지막 단계인 main.swf 파일을 살펴보자. 최근, Adobe Flash Player (CVE-2011-2110) 취약점을 이용한 악성코드 감염이 일반적이다. [그림] Adobe Flash Player 취약점을 이용한 main.swf 내부 코드 – 다운로드 받는 파일을 확인해 보자. main.swf 파일에 파라미터 “info=”를 통해 URL을…
Antimalware Doctor (가짜백신) 조치가이드 Posted By ASEC , 2010년 5월 10일 1. 개 요 현재 'Antimalware Doctor' 라는 FakeAV(허위백신) 감염사실이 다수 제보된 상태입니다. 같은 증상을 갖고 있는 네티즌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Antimalware Doctor'의 치료법을 안내하는 조치가이드를 작성하여 공유합니다. 2. 감염 시 증상 허위백신이 동작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지속적으로 나타납니다. [그림1. 감염 시 생성되는 창] 위협요소를 치료하겠다고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Key가 활성화되어있지 않다고 안내하며 결제페이지로 유도합니다. [그림2. Key 활성화 안내창] 트레이에는 그림과 같은 2가지 아이콘이 생성되며, Close를 눌러도 종료되지 않습니다. [그림3. 트레이에 나타나는 아이콘] 3. 조치 방법 현재 V3 제품에서 해당 허위백신을 Win-Trojan/Fakeav.743424 로 진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V3 제품에서 스마트업데이트를 통해 엔진을 최신엔진으로 업데이트 하신 후 검사 및 치료를 진행해 보시기 바랍니다. 만일 V3를 설치하지 않으셨다면, 아래의 링크를 통해 무료백신 V3lite 를 설치하여 치료하시기 바랍니다. V3lite 바로가기 – www.v3lite.com 수동으로 직접 조치를 원하시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