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B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3 Vol.47 발간

안랩 ASEC에서 2013년 11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3 Vol.47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3년 11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PC 내 파일을 암호화하는 랜섬웨어 CryptoLocker 악성 매크로를 포함한 엑셀 파일 USB에 생성되는 ‘바로가기’ 파일 MS 오피스 제로데이 취약점(CVE-2013-3906) 주의 새터민 자기소개서로 위장한 악성 한글 파일 출현 신용카드 명세서로 위장한 악성코드 변종 유포 가짜 음성 메시지가 첨부된 악성 스팸 메일 등장 동영상 파일로 위장한 악성코드 이력서 문서 파일로 위장한 실행 파일 2) 모바일 악성코드 이슈 정상 앱을 가장한 광고 앱 주의 신뢰할 수 있는 기업의 웹사이트로 위장한 모바일 사이트 음란 페이지로 가장해 모바일 악성 앱 배포 웹서핑 중 자동으로 다운로드 되는 앱 3) 보안 이슈…

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3 Vol.46 발간

안랩 ASEC에서 2013년 10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3 Vol.46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3년 10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IE 취약점(MS13-080) 주의보! 웹하드 사이트에서 유포된 백도어 악성코드 발견 반복 감염 유발하는 USB 악성코드 발견 일반 사용자에게도 유포된 이력서 첨부 파일 화면보호기 확장자(.scr)를 이용한 악성 파일 2) 모바일 악성코드 이슈 모바일 메신저 피싱 앱 설치하는 악성 앱 등장 암호화된 안드로이드 악성코드의 등장 공공기관 및 기업 사칭 스미싱 증가 3) 보안 이슈 스팸 메일을 발송하는 다리미? PHP.net 해킹으로 인한 악성코드 유포 DNS 하이재킹을 통한 홈페이지 해킹 어도비 해킹 피해자, 3800만 명으로 증가 ASEC에서 발간하는 월간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는 아래 웹 사이트에서 확인 할 수 있다. …

Autorun.inf에 쓰레기 데이터를 채운 DorkBot

악성코드에서 USB와 같은 이동형 저장 장치를 자신의 복제본을 전파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이미 오랜전 일로 변해버렸다. 이러한 이동형 저장 장치를 악성코드 전파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점은 과거 플로피 디스켓이 DOS 운영체제에 감염되는 바이러스의 전파 수단이 되는 것과 같은 동일한 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USB와 같은 이동형 저장 장치로 인해 악성코드가 유포되었던 대표적인 사례들은 아래와 같이 정리 할 수 가 있다. 2010년 5월 21일 – 호주 보안 컨퍼런스에서 악성코드에 감염된 USB 배포 2010년 6월 2일 – 독일에 수출된 삼성 바다폰에 감염된 악성코드 2010년 9월 10일 – 해외에서 이메일을 이용해 대량 유포된 Swisyn 웜 이러한 대표적인 사례들 외에도 다수의 악성코드들에서 USB와 같은 이동형 저장 장치를 악성코드 유포의 매개체로 하여 사용되었던 사례들이 존재하며, 현재까지도 이러한 사례들이 적지 않게 발견되고 있다. 2012년 12월 4일…

Flame 변형으로 알려진 Gauss 악성코드 발견

현지 시각으로 2012년 8월 9일 해외 보안 업체 캐스퍼스키(Kaspersky)에서 블로그 “Gauss: Nation-state cyber-surveillance meets banking Trojan“와 함께 분석 보고서인 “Gauss:Abnormal Distribution“를 공개하였다. 이 번 캐스퍼스키에서 공개한 분석 보고서에서는 Gauss로 명명된 악성코드가 발견되었으며, 해당 악성코드들이 기존에 발견되었던 Duqu와 Stuxnet 변형으로 알려진 Flame과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밝히고 있다. 해당 Gauss 악성코드의 전체적인 구조는 아래 캐스퍼스키에서 공개한 이미지와 동일한 형태로 Duqu, Stuxnet 그리고 Flame과 유사한 모듈화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 번에 발견된 해당 Gauss 악성코드들의 특징은 다음과 같으며, Flame에서 발견되었던 특징들이 유사하게 발견되었다. 1) 2011년 9월에서 10월사이에 제작 및 유포된 것으로 추정, 제작 이후 수 차례 모듈 업데이트 및 C&C 서버 주소가 변경됨 2) 웹 브라우저 인젝션 이후 사용자 세션을 가로채는 기법으로 사용자 암호, 브라우저 쿠키 및 히스토리 수집 3) 감염된 PC에서 네트워크 정보, 프로세스, 폴더, BIOS와 CMOS…

VBS/Autorun 악성코드 감염사례 및 치료, 예방방법

1. VBS(Visual Basic Script)와 VBS 이용 악성코드 작성 이유   요즘에는 전문서적뿐 아니라 인터넷의 정보를 이용하면 누구나 유해 가능한 악성코드를 손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러한 악성코드를 제작하는데 있어 많이 사용되는 것이 바로 VBS(Visual Basic Script)입니다. 그래서 빈번하게 퍼지고 있는 유해 악성프로그램(바이러스, 웜, 백도어, 트로이목마 등)의 종류를 보면 VBS를 이용하여 제작된 것이 많습니다.  VBS란 비주얼 베이직의 서브세트로써,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사에서 개발한 자바 스크립트와 마찬가지로 MS사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IIS (Internet Information Server)에서 실행 가능한 스크립트 언어로 비주얼 베이직 문법에 기초를 두고 제작되어 HTML문서 안에 스크립트를 두고 동적으로 처리하는 언어이며 대화형 월드 와이드 웹(WWW) 홈 페이지를 작성하기 위하여 사용됩니다. 또 액티브 X 제어(Active X control)나 자바 애플릿(Java applet)을 조작할 수 있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프로그램 제작 언어(어셈블러, C 등)에 비하여 프로그램 분석이나 제작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