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C 보안 위협 동향 리포트 2012 Vol.36 발간 Posted By ASEC , 2013년 2월 13일 안랩 ASEC에서 2012년 12월 국내,외에서 발생한 다양한 보안 위협 이슈와 동향들을 정리한 ASEC 리포트 2012 Vol.36을 발간하였다. 이 번에 발간된 ASEC 리포트는 2012년 12월 주요 보안 위협 이슈들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 1) 악성코드 이슈 온라인 뱅킹 트로이목마 Banki(1) 온라인 뱅킹 트로이목마 Banki(2) 패스워드를 노리는 악성코드 악성코드의 3단 콤보 공격 온라인 게임핵 변종 악성코드 특정 후보의 정책관련 한글문서 위장 악성코드 부킹닷컴을 사칭한 악성코드 과다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악성코드 상품권 번호 탈취하는 온라인 게임핵 악성코드 Xerox WorkCentre를 사칭한 악성 메일 Facebook을 사칭한 악성 e-mail 주의 2) 모바일 악성코드 이슈 국내 스마트폰 사용자를 노린 Win-Android/Chest 악성코드 PUP 앱의 폭발적인 증가 3) 보안 이슈 Stuxnet 기술을 이용하는 MySQL 취약점 지속적으로 보고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use-after-free 취약점 4) 2012년 보안 동향 분석 악성코드 통계 – 2012년 악성코드,…
플레임 악성코드 변형 miniFlame 변형 발견 Posted By ASEC , 2012년 10월 16일 해외 시각으로 10월 15일 러시아 보안 업체인 캐스퍼스키(Kaspersky)에서는 플레임(Flame)의 새로운 변형인 미니플레임(miniFlame)을 발견 하였음을 블로그 “miniFlame aka SPE: “Elvis and his friends”“를 통해 공개하였습니다. 이 번에 발견된 플레임의 변형인 미니플레임은 2012년 8월에 공개된 가우스(Gauss)와 유사도가 높으며, 해당 악성코드 역시 사이버 전쟁을 위한 정보 수집의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현재까지 캐스퍼스키에서 밝히 스턱스넷(Stuxnet)에서부터 미니플레임까지의 감염된 시스템의 수치는 다음 표와 같은 것으로 밝히고 있다. 해당 미니플레임 악성코드는 모듈화된 형태로 존재하며 전체적인 전체적인 구조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동작하게 되어 있다. 이번에 발견된 미니플레임은 감염된 시스템에서 자신의 복사본을 유포하기 위해 스턱스넷 등 기존에 발견된 다른 악성코드들과 유사하게 이동형 저장 장치인 USB를 악용하고 있다. 그리고 감염된 시스템에서는 파일 읽기 및 쓰기, 특정 파일 C&C 서버로 전송, 특정 프로세스 실행시 화면 캡쳐 등의 악의적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 번에 발견된 플레임의…
Flame 변형으로 알려진 Gauss 악성코드 발견 Posted By ASEC , 2012년 8월 10일 현지 시각으로 2012년 8월 9일 해외 보안 업체 캐스퍼스키(Kaspersky)에서 블로그 “Gauss: Nation-state cyber-surveillance meets banking Trojan“와 함께 분석 보고서인 “Gauss:Abnormal Distribution“를 공개하였다. 이 번 캐스퍼스키에서 공개한 분석 보고서에서는 Gauss로 명명된 악성코드가 발견되었으며, 해당 악성코드들이 기존에 발견되었던 Duqu와 Stuxnet 변형으로 알려진 Flame과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밝히고 있다. 해당 Gauss 악성코드의 전체적인 구조는 아래 캐스퍼스키에서 공개한 이미지와 동일한 형태로 Duqu, Stuxnet 그리고 Flame과 유사한 모듈화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 번에 발견된 해당 Gauss 악성코드들의 특징은 다음과 같으며, Flame에서 발견되었던 특징들이 유사하게 발견되었다. 1) 2011년 9월에서 10월사이에 제작 및 유포된 것으로 추정, 제작 이후 수 차례 모듈 업데이트 및 C&C 서버 주소가 변경됨 2) 웹 브라우저 인젝션 이후 사용자 세션을 가로채는 기법으로 사용자 암호, 브라우저 쿠키 및 히스토리 수집 3) 감염된 PC에서 네트워크 정보, 프로세스, 폴더, BIOS와 CMOS…
Stuxnet 변형으로 알려진 Duqu 악성코드의 다른 변형 발견 Posted By ASEC , 2012년 4월 4일 현지 시각으로 3월 20일 Symantec에서 해당 기업의 블로그 “New Duqu Sample Found in the Wild“를 통해 Stuxnet의 변형으로 알려진 Duqu 악성코드의 또 다른 변형이 발견되었음을 공유 하였다. Duqu는 기존에 알려진 Stuxnet이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감염으로 원자력 발전소 운영을 방해하기 위한 목적과 달리 감염 된 시스템과 네트워크에서 정보들을 수집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Duqu의 또 다른 변형은 아래 Symantec에서 공개한 이미지와 같이, 붉은 색 박스로 표기된 드라이버(.sys) 파일로 밝히고 있다. ASEC에서는 이 번에 새롭게 알려진 Duqu 악성코드의 또 다른 변형을 확보하여 확인하는 과정에서 아래 이미지와 동일하게 파일의 Time Date Stamp를 통해 2012년 2월 23일 해당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항으로 미루어 Duqu 제작자 또는 제작 그룹은 지속적으로 Duqu 악성코드의 다른 변형들을 제작하여 유포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마이크로소프트 2011년 12월 보안 패치 배포 Posted By ASEC , 2011년 12월 14일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2011년 11월 한달 동안 해당 업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보안 패치를 2011년 12월 14일 배포하였다. 이번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된 보안 패치들은 총 13건으로 다음과 같다.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1-087 – Critical Vulnerability in Windows Kernel-Mode Drivers Could Allow Remote Code Execution (2639417)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1-088 – Important Vulnerability in Microsoft Office IME (Chinese) Could Allow Elevation of Privilege (2652016)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1-089 – Important Vulnerability in Microsoft Office Could Allow Remote Code Execution (2590602)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1-090 – Critical Cumulative Security Update of ActiveX Kill Bits (2618451)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1-091 – Important Vulnerabilities in Microsoft Publisher Could Allow Remote Code Execution (2607702)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1-092 – Critical Vulnerability in Windows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