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

어도비 리더 CVE-2013-0640 및 CVE-2013-0641 취약점 악용

어도비(Adobe)에서는 현지 시각으로 2월 13일 어도비 리더(Reader)와 아크로뱃(Acrobat)에 존재하는 취약점인 CVE-2013-0640 및 CVE-2013-0641를 악용한 타깃 공격(Targeted Attack)이 발생하였음을 보안 권고문 “Security Advisory for Adobe Reader and Acrobat“를 통해 밝혔다. 이 번에 발견된 2개의 어도비 리더와 아크로뱃 취약점은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Day, 0-Day) 취약점으로 현재까지 해당 취약점들을 제거할 수 있는 보안 패치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 ASEC에서 파악한 바로는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들은 아프가니스탄을 중심으로 한 중동 지역을 대상으로 한 타깃 공격(Targeted Attack) 형태로 이메일의 첨부 파일로 공격이 진행되었다. 어도비에서는 해당 취약점들에 영향을 받는 어도비 리더와 아크로뱃 버전들은 다음과 같음을 밝히고 있다. 윈도우(Windows) 및 맥킨토시(Macintosh) Adobe Reader XI (11.0.01 및 이전 버전) 윈도우(Windows) 및 맥킨토시(Macintosh) Adobe Reader X (10.1.5  및 이전 버전) 윈도우(Windows), 맥킨토시(Macintosh) 및 리눅스(Linux) Adobe Reader 9.5.3 및 이전 버전 윈도우(Windows), 맥킨토시(Macintosh) Adobe Acrobat XI (11.0.01 및 이전 버전) 윈도우(Windows), 맥킨토시(Macintosh)Adobe…

인터넷 익스플로러 버전 7과 8의 제로 데이 취약점 악용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는 2012년 9월 17일 블로그 “Microsoft Security Advisory (2757760) Vulnerability in Internet Explorer Could Allow Remote Code Execution“를 통해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버전 7과 8에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 Day, 0-Day) 취약점이 발견되음을 공개하였다. 이 번에 발견된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은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HTML 파일을 렌더링하는 과정에서 메모리 오염으로 인한 임의의 코드 실행 취약점으로, 현재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한 공격이 9월 14일을 전후하여 실제 발생하였다.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은 8월 26일 공개된 오라클 자바 JRE 7 제로 데이 취약점 악용 악성코드 유포 관련 서버에서 발견되어, 자바(Java) 취약점 악용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번에 유포된 인터넷 익스플로러 제로 데이 취약점을 악용에는 Exploit.html (304 바이트), Moh2010.swf (13,631 바이트), Protect.html (973 바이트)와 111.exe (16,896 바이트) 총 4개의 악성코드가 사용되었다. 최초 Exploit.html (304 바이트)에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 Moh2010.swf (13,631 바이트)을 호출하는 코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Moh2010.swf (13,631 바이트)는 DoSWF라는…

이메일을 이용한 어도비 CVE-2009-0927 취약점 악성코드 유포

ASEC에서는 2012년 8월 21일 어제 CVE-2009-0927 취약점을 악용하는 어도비 리더(Adobe Reader) 파일인 PDF 파일이 이메일에 첨부되어 국내에 유포된 사실을 확인 하였다. 해당 CVE-2009-0927 취약점은 2009년 3월 어도비에서 보안 권고문 “APSB09-04 Security Updates available for Adobe Reader and Acrobat“을 통해 이미 보안 패치가 배포 중인 취약점이다. 그리고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여 취약한 PDF 파일을 유포하는 공격 형태는 2009년 10월부터 지속적으로 발견되어 왔다. 2009년 10월 9일 – 어도비 PDF 제로 데이 취약점 공격 악성코드 발견 2009년 10월 16일 – 새로운 어도비 취약점 웹 사이트를 통해 유포 2009년 11월 10일 – 타켓 공격에 악용된 취약한 PDF 악성코드 2010년 11월 25일 – 이메일로 유포된 랜섬웨어를 다운로드하는 제우스 이 번에 발견된  CVE-2009-0927 취약점을 악용하는 취약한 PDF 파일은 이메일에 첨부된 형태로 유포되었으며, 동일한 취약점을 파일명과 문서 내용만을 변경하여 유포되었다. 현재 확인된 취약한 PDF 파일은 총…

Zitmo 변형으로 알려진 안드로이드 악성코드

ASEC에서는 “2012 예상 스마트폰 보안 위협 트렌드“를 발표하며 윈도우 PC에서 감염 및 동작하는 제우스(Zeus) 악성코드의 모바일 버전인 Zitmo[Zeus In The Mobile]가 발견되었으며 심비안(Symbian), 블랙베리(Blackberry)를 거쳐 최근엔 안드로이드(Android) 플랫폼으로까지 확장되었다고 언급한 바가 있다. 금일 러시아 보안 업체 캐스퍼스키(Kaspersky)에서는 블로그 “Android Security Suite Premium = New ZitMo“를 통해 새로운 Zitmo 변형이 발견되었음을 공개하였다. ASEC에서는 추가적인 조사를 통해 해당 새로운 Zitmo 변형은 구글(Google)의 공식 안드로이드 앱스토어(Appstore)를 통해 유포 된 것이 아니라, 인터넷에 존재하는 서드 파티 앱스토어(3rd Party Appstore)를 통해 유포된 것을 파악하였다. 이 번에 발견된 새로운 Zitmo 변형은 안드로이드 모바일 운영체제에서 감염 및 동작하도록 되어 있으며,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설치 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허위 보안 소프트웨어로 위장하고 있다. 안드로이드에 감염되는 허위 보안 소프트웨어는 이 번에 처음 발견된 것이 아니며 2012년 5월 해외 보안 업체 아이콘으로…

마이크로소프트 2012년 5월 보안 패치 배포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2012년 4월 한달 동안 해당 업체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에서 발견된 보안 취약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보안 패치를 2012년 5월 9일 배포하였다. 이번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포된 보안 패치들은 총 7건으로 다음과 같다.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29 – 긴급 Microsoft Word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680352)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0 – 중요 Microsoft Office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663830)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1 – 중요 Microsoft Visio Viewer 2010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597981)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2 – 중요 TCP/IP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688338)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3 – 중요 Windows Partition Manager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690533) Microsoft Security Bulletin MS12-034 – 긴급 Microsoft Office, Windows, .NET Framework 및 Silverlight에 대한 통합 보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