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arCruft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내용을 이용한 CHM 악성코드 : RedEyes(ScarCruft)

ASEC(AhnLab Security Emergency response Center) 분석팀은 RedEyes 공격 그룹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CHM 악성코드가 최근 다시 유포되고 있는 정황을 포착하였다. 최근 유포 중인 CHM 악성코드는 지난 3월에 소개한 “국내 금융 기업 보안 메일을 사칭한 CHM 악성코드”[1] 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하며, 이번에도 RedEyes 그룹의 M2RAT 악성코드 공격 과정 중 “2.3. 지속성 유지 (Persistence)”[2] 과정에서 사용된 명령어가 동일하게 확인되었다. 이번 공격에는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내용을 이용하였는데 공격자는 국내 이슈가 되는 주제를 통해 사용자의 궁금증을 유발하여 악성 파일을 실행하도록 유도한다. 해당 내용은 [그림 1] 과…

Backdoor를 유포하는 악성 LNK : RedEyes(ScarCruft)

AhnLab Security Emergency response Center(ASEC)은 CHM 형식으로 유포되던 악성코드[1]가 LNK 형식으로 유포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해당 악성코드는 mshta 프로세스를 통해 특정 url 에 존재하는 추가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공격자 서버로부터 명령어를 수신받아 추가 악성 행위를 수행한다. 확인된 LNK 파일은 공격자가 정상 사이트에 악성 코드가 포함된 압축 파일을 업로드하여 유포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악성 LNK 파일은 ‘REPORT.ZIP’ 파일명으로 업로드 되어 있다. 해당 파일은 <링크 파일(*.lnk)을 통해 유포되는 RokRAT 악성코드 : RedEyes(ScarCruft)>[2]에서 확인된 악성코드와 동일하게 LNK 내부에 정상 엑셀 문서 데이터와 악성 스크립트…

개인을 도청하는 RedEyes 그룹 (APT37)

1.개요 RedEyes(also known as APT37, ScarCruft, Reaper) 그룹은 국가 지원을 받는 APT 조직이며 주로 북한 이탈 주민, 인권 운동가, 대학 교수 등의 개인을 대상으로 공격을 수행한다. 이들의 임무는 특정인들의 일상을 감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SEC(AhnLab Security Emergengy response Center)은 2023년 5월 RedEyes 그룹이 Ably 플랫폼을 악용한 Golang 백도어를 유포 및 마이크 도청 기능을 포함한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정보 유출 악성코드 사용 정황을 확인하였다.* ABLY[1]는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및 메시지를 위한 플랫폼이며 Pub/Sub 메시징, 푸시 알림, 실시간 쿼리, 상태 동기화를…

링크 파일(*.lnk)을 통해 유포되는 RokRAT 악성코드 : RedEyes(ScarCruft)

AhnLab Security Emergency response Center(ASEC)은 지난 달 국내 금융 기업 보안 메일을 사칭한 CHM 악성코드를 유포한 RedEyes 공격 그룹(also known as APT37, ScarCruft)이 최근 LNK 파일을 통해 RokRAT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RokRAT 악성코드는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고 추가 악성코드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악성코드로 과거 한글 문서 및 워드 문서를 통해 유포된 이력이 존재한다. 이번에 확인된 LNK 파일은 내부에 파워쉘 명령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temp 경로에 정상 파일과 함께 스크립트 파일을 생성 및 실행하여 악성 행위를 수행한다. 확인된 LNK 파일명은 다음과 같다….

패스워드 파일로 위장하여 유포 중인 악성코드

AhnLab Security Emergency response Center(ASEC)은 지난 달 패스워드 파일로 위장하여 정상 문서 파일과 함께 압축 파일로 유포되는 악성코드를 확인하였다. 해당 유형의 악성코드는 정상 문서 파일을 함께 유포함으로써 사용자가 악성 파일임을 알아채기 어렵다. 최근 확인된 악성코드는 CHM과 LNK 형식으로, CHM의 경우 아래에 소개한 악성코드와 동일한 유형으로 같은 공격 그룹에서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CHM과 LNK 파일은 모두 암호가 설정된 정상 문서 파일과 함께 압축되어 유포된 것으로 추정된다. 엑셀 및 한글 파일의 경우 암호가 설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암호가 적힌 것으로 보여지는 CH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