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드인 스팸 메일과 결합된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킷 Posted By ASEC , 2012년 7월 19일 ASEC에서는 6월 5일 웹 익스플로잇 툴킷(Web Exploit Toolkit)의 일종인 블랙홀(Blackhole) 웹 익스플로잇 툴 킷이 스팸 메일(Spam Mail)과 결합되어 유포되었다는 사실을 밝힌 바가 있다. 금일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 킷과 결합된 스팸 메일이 다시 발견되었으며, 이 번에 발견된 스팸 메일은 사용자가 많은 유명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 서비스인 링크드인(LinkedIn)의 초대 메일로 위장하여 유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링크드인 스팸 메일과 결합된 형태로 유포된 블랙홀 웹 익스플로잇 툴킷은 아래 이미지와 같이 다양한 취약점들을 악용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 감염된 PC에서 사용자 정보들을 탈취하기 위한 악성코드 감염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링크드인의 초대 메일로 위장해 유포된 스팸 메일은 아래 이미지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Accept] 부분은 정상적인 링크드인 웹 페이지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중국에 위치한 특정 시스템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해당 [Accept] 부분을 클릭하게 되면 중국에 위치한 특정…
어도비 플래쉬 CVE-2012-0754 취약점 악용한 문서 파일들 발견 Posted By ASEC , 2012년 3월 6일 최근 발견되고 있는 타겟 공격(Targeted Attack) 이나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 형태의 공격들에서는 공통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Microsoft Office), 어도비 리더(Adobe Reader) 그리고 한글 프로그램과 같은 전자 문서 파일에 존재하는 취약점들을 악용하는 사례가 자주 발견되고 있다. 그 중에서 특히 어도비 리더와 어도비 플래쉬(Adobe Flash)에 존재하는 취약점들을 악용하여 원격 제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사례가 자주 발견되고 있다. 금일 해외에서 어도비 플래쉬에 존재하는 CVE-2012-0754 취약점을 악용하는 마이크로소프트 워드(Microsoft) 파일 또는 엑셀(Excel) 파일을 이용한 타겟 공격이 발견되었으며, 해당 공격은 이메일의 첨부 파일로 존재한 것으로 공개되었다. 어도비 플래쉬에 존재하는 CVE-2012-0754 취약점은 제로 데이(Zero-Day, 0-Day) 취약점은 아니며, 미국 현지 시각으로 2012년 2월 15일 어도비에서 보안 권고문 “APSB12-03 Security update available for Adobe Flash Player” 을 통해 보안 패치를 배포 중에 있다. 이번에 발견된 CVE-2012-0754 취약점을 악용하는 취약한…
Adobe 다수 취약점을 위한 보안 패치 배포 Posted By ASEC , 2012년 1월 11일 어도비(Adobe)에서 한국 시각으로 1월 11일 어도비 리더(Adobe Reader)와 아크로뱃(Acrobat)에 존재하는 취약점을 제거하기 위한 보안 패치를 배포하였다. 이번 1월에 배포하는 보안 패치와 관련된 사항들에 대해 어도비에서는 보안 권고문 “Security updates available for Adobe Reader and Acrobat“을 통해 관련 사항들을 밝히고 있다. 이번 보안 패치에 대상이 되는 어도비 제품군들은 다음과 같다. Adobe Reader X (10.1.1) and earlier 10.x versions for Windows and Macintosh Adobe Reader 9.4.7 and earlier 9.x versions for Windows Adobe Reader 9.4.6 and earlier 9.x versions for Macintosh Adobe Acrobat X (10.1.1) and earlier 10.x versions for Windows and Macintosh Adobe Acrobat 9.4.7 and earlier 9.x versions for Windows Adobe Acrobat 9.4.6 and earlier 9.x versions for Macintosh 특히 이 번 보안 패치 중에는 2011년 12월 7일 발생하였던 어도비…
Adobe CVE-2011-2462 취약점 보안 패치 배포 Posted By ASEC , 2011년 12월 18일 ASEC에서는 12월 8일 Adobe Reader에서 알려지지 않은 제로 데이(Zero Day, 0-Day) 취약점인 CVE-2011-2462 발견되었으며, 이를 악용한 타깃 공격(Targeted Attack)이 발생하였음을 공개한 바가 있다. 해당 제로 데이 취약점을 제거하기 위한 보안 패치를 Adobe에서 미국 현지 시각 12월 16일 배포하기 시작하였음을 보안 권고문 “APSB11-30 Security updates available for Adobe Reader and Acrobat 9.x for Windows“을 공개하였다. 이 번 보안 패치의 설치 대상이 되는 제품들은 다음과 같다. Adobe Reader 9.x for Windows Adobe Acrobat 9.x for Windows 해당 버전의 Adobe Reader와 Adobe Acrobat 사용자들은 다음의 순서로 Adobe에서 배포하는 보안 패치를 설치 할 수 있다. [도움말] -> [업데이트 확인] Adobe Reader X 제품은 보호 모드(Protected Mode)와 보호 뷰(Protected View) 기능을 통해 해당 취약점으로부터 보호가 가능하며, 해당 버전의 제품은 2012년 1월 12일경에 보안 패치를 배포 할 예정으로…
4월의 중요 보안 업데이트 리스트 Posted By ASEC , 2010년 4월 15일 이번주에 악성코드와 관련된 다수의 보안 패치가 발표가 되었습니다. 아래 내용을 살펴보신 후 보안패치가 되어 있지 않으시다면 보안패치를 권장 드립니다. 1. 윈도우 보안 업데이트마이크로소프트는 4월 14일에 새로운 보안 공지 11개를 발표했습니다. 아직까지 보안 업데이트를 하지 않으신 분들은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어 업데이트를 하시기 바랍니다.4월 공지 요약 : http://www.microsoft.com/korea/technet/security/bulletin/MS10-apr.mspx [윈도우 보안 업데이트 방법]1.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실행합니다.2. 메뉴에서 [도구] – [Windows Update] 를 선택하여 윈도우 업데이트 사이트로 이동 합니다.3. 윈도우 XP 이하의 버전에서는 [빠른 설치] 버튼을 눌러 설치를 계속 진행하며, Vista 이상의 버전에서는 윈도우 업데이트 프로그램이 실행되므로 업데이트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추가로 윈도우가 정품이 아닌 경우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업데이트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한국 인터넷 진흥원에서 운영하는 보호나라 사이트에서 “PC 보안 자동 업데이트”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해당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품이 아닌 사용자도 업데이트를 꼭 하시기 바랍니다.PC 보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