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한 MS-SQL 서버를 대상으로 유포 중인 Remcos RAT Posted By ASEC , 2022년 2월 15일 ASEC 분석팀은 취약한 MS-SQL 서버를 대상으로 하는 공격을 지속해서 모니터링하고 있다. 공격에 취약한 MS-SQL 서버라고 한다면 일반적으로 계정 정보를 부적절하게 관리함에 따라 무차별 대입 공격(Brute Forcing)이나 사전 공격(Dictionary Attack)에 취약한 케이스가 대부분으로 추정된다. 공격자 또는 악성코드는 외부에 노출된 MS-SQL 서버를 스캐닝하고 무차별 대입 공격이나 사전 공격을 통해 MS-SQL에 관리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후 xp_cmdshell과 같은 명령을 이용해 악성코드를 설치한다. 이에 따라 이전 블로그에서는 MS-SQL 서버 프로세스 즉 sqlservr.exe에 의해 설치되는 코발트 스트라이크 악성코드를 다루었다. – [ASEC 블로그] 취약한 MS-SQL 서버를 대상으로…
외화송금 통지를 가장한 NanoCore RAT 유포중! Posted By ASEC , 2021년 8월 5일 ASEC 분석팀에서는 최근 외화송금 통지를 가장한 NanoCore RAT 악성코드 유포 정황을 확인하였다. NanoCore RAT의 경우 주로 피싱메일을 이용하여 유포되기 때문에 사용자들의 주의가 더욱 더 필요하다. 먼저, 피싱 메일은 아래와 같이 특정 캐피탈 회사를 사칭하여 “[00캐피탈]외화송금도착 통지” 라는 제목으로 유포되고 있으며, 본문에는 사용자에게 첨부파일을 확인하고 실행하도록 유도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본문은 특정 캐피탈 회사에서 실제 정상적으로 사용하는 그림을 그대로 가져온 것으로 추정된다. 첨부파일을 받아 확인해보면 R03 확장자를 가진 RAR 계열 파일로 확인이 되며, 압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압축을 풀면 아래 사진과 같이…
스팸 메일로 유포되는 닷넷 다운로더 악성코드 Posted By ASEC , 2021년 4월 26일 ASEC 주간 악성코드 통계에 따르면 최근 유포되고 있는 악성코드들 다수가 인포스틸러(정보 유출형 악성코드) 및 RAT(Remote Administration Tool) 악성코드들이다. 이러한 인포스틸러 및 RAT의 상당수는 스팸 메일을 통해 유포되며, 대부분 사용자가 첨부 파일을 실행시키도록 유도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공격자는 스팸 메일의 첨부 파일을 이용해 악성코드를 유포할 때 백신의 파일 진단을 우회하기 위한 목적으로 악성코드의 외형을 패커로 패킹한다. 즉 실제 악성코드는 이미 백신에 의해 탐지된다고 하더라도 패킹될 경우에는 매번 다른 형태의 외형을 가지게 되며, 이에 따라 파일 진단을 우회할 수 있다. 이렇게 파일 진단을…
메신저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 주의 Posted By securityresponseteam , 2020년 12월 31일 안랩에서는 최근 특정 정부의 지원을 받는 해킹그룹의 공격 활동을 포착하여 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발견된 위장 프로그램은 정상 페이지로 위장한 피싱 페이지나 공급망 공격을 통해 유포된다. 피싱 페이지에 연결한 사용자가 각 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버튼을 클릭하면 메신저 설치 파일이 다운로드된다. 메신저 설치 파일의 디지털 서명 정보는 정상 파일과 달리 ‘Uclick’으로 적용되어 있다. 메신저 설치 파일은 다음과 같이 NSIS를 사용하여 제작된 윈도우 운영체제 설치 프로그램이다. NSIS(Nullsoft Scriptable Install System) 널소프트(Nullsoft)사가 제작한 프로그램으로 스크립트 기반의 윈도우 운영체제용 설치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는 도구 표…
스팸 메일로 유포 중인 NanoCore RAT 악성코드 Posted By ASEC , 2020년 12월 11일 NanoCore는 RAT(Remote Administration Tool) 악성코드로서 개발자가 과거 2014년부터 제작하기 시작했고 2016년 체포되기 전까지 딥웹을 통해 판매되었다. 하지만 크랙 버전이 공개됨에 따라 개발자가 체포된 후에도 현재까지 꾸준히 공격자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RAT 악성코드인 NanoCore는 키로깅, 스크린샷 캡쳐, 웹캠 제어와 같은 기능들뿐만 아니라 DDoS, 웹 브라우저 및 이메일 그리고 FTP 클라이언트 계정 정보 수집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지원한다. NanoCore는 플러그인 기반 악성코드로서 위에서 언급한 거의 모든 기능들이 각각의 플러그인에 구현되어 있다. 즉 공격자가 어떠한 플러그인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