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xy

Meterpreter를 이용해 웹 서버를 공격하는 Kimsuky 그룹

AhnLab Security Emergency response Center(ASEC)에서는 최근 Kimsuky (김수키) 공격 그룹이 웹 서버를 대상으로 악성코드를 유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Kimsuky는 북한의 지원을 받고 있다고 확인되는 위협 그룹으로 2013년부터 활동하고 있다. 초기에는 한국의 북한 관련 연구기관 등에 대한 공격을 진행했으며 2014년 한국의 에너지 기관에 대한 공격을 진행했으며 2017년 이후 한국 외 다른 나라에 대한 공격도 진행하고 있다. [1] ASEC에서는 블로그를 통해 Kimsuky 그룹의 다양한 공격 사례들을 분석하여 공개하고 있으며, 주로 메일에 MS 오피스 문서 파일이나 [2] 원노트 [3], CHM[4]과 같은 악성 파일들을…

중국 해커 조직의 국내 기업 정보 탈취

최근 SQL 서버나 IIS 웹서버와 같이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취약한 서버를 대상으로 공격하는 침해 사례가 빈번히 확인되고 있다. 이번 사례에서 확인된 피해 기업은 총 2곳으로 반도체 업체와 AI를 활용한 스마트 제조업체이다. 해킹 공격을 수행한 공격 그룹에서 해킹 도구의 사용법이 적힌 중국어 텍스트 파일이 확인되어 샤오치잉과 Dalbit(달빗)과 같이 중국 해커 그룹으로 추정하고 있다. 중국 해커 그룹의 가이드 라인 reg add HKLM\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SecurityProviders\WDigest /v UseLogonCredential /t REG_DWORD /d 1 /freg add “HKLM\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Image File Execution Options\sethc.exe” /v “Debugger” /t REG_SZ /d “\”c:\windows\system32\cmd.exe\” /z”…

Proxyware를 이용해 수익을 얻는 공격자들

Proxyware란 설치된 시스템에서 현재 사용 가능한 인터넷 대역폭 일부를 외부에 공유하는 프로그램이다. 일반적으로 이를 설치하는 사용자는 대역폭을 제공하는 대신 일정한 금액을 받는다.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로는 Peer2Profit, IPRoyal과 같은 회사들이 있다. 해당 업체들은 제공 받은 대역폭을 다른 업체들에 제공하는 방식으로 수익을 얻는데 홈페이지에 따르면 소프트웨어 배포, 시장 조사, 광고 검증, 소프트웨어 테스트와 같은 다양한 비즈니스 파트너들이 있다고 주장한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시스템에 Proxyware를 설치함으로써 일정 수익을 얻을 수 있지만, 외부의 다른 사용자가 자신의 네트워크를 이용해 특정 행위를 수행한다는 점에서 위험을 감수해야…

다양한 공격자들에 의해 사용되는 SystemBC 악성코드

SystemBC는 수년 전부터 다양한 공격자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Proxy 악성코드이다. 최근에는 SmokeLoader나 Emotet을 통해 유포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지만, 과거부터 꾸준히 여러 랜섬웨어 공격에서 사용된 사례들이 존재한다. 공격자가 악의적인 목적으로 특정 주소에 접근하려고 할 때, 감염된 시스템에서 Proxy Bot으로 동작하는 SystemBC를 활용할 경우 해당 시스템을 통로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외부에서 추가 악성코드를 설치할 수 있는 다운로더 기능이 존재하기 때문에, 공격자는 추가 페이로드를 설치하는 수단으로서도 SystemBC를 활용 가능하다. 과거 유포 사례 SystemBC는 2019년 RIG 익스플로잇 킷과 Fallout 익스플로잇 킷을 통해 유포되었던…

Kimsuky 그룹의 APT 공격 분석 보고서 (AppleSeed, PebbleDash)

본 문서는 최근 Kimsuky 그룹에서 사용하는 악성코드들에 대한 분석 보고서이다. Kimsuky 그룹은 주로 스피어피싱과 같은 사회공학적 공격 방식을 이용하는데, 첨부 파일들의 이름으로 추정했을 때 공격 대상들은 주로 북한 및 외교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사용자들로 보인다. 자사 ASD 인프라의 감염 로그를 보면 공격 대상은 일반적인 기업들보다는 개인 사용자들이 다수인 것으로 확인되지만, 공공기관이나 기업들 또한 지속적으로 공격 대상이 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국내 대학교들이 주요 공격 대상이며 이외에도 IT 및 정보 통신 업체, 건설 업체에서도 공격 이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스피어피싱 공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