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축 URL을 이용해 트위터로 유포 중인 피싱 웹사이트 Posted By ASEC , 2012년 1월 26일 2012년 1월 26일 해외를 중심으로 유명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인 트위터(Twitter)의 메시지를 통해 트위터 사용자 계정과 암호를 수집하기 위한 용도의 피싱(Phishing) 시도가 발견되었다. 이 번에 발견된 트위터에서 피싱 시도는 처음으로 있는 일이 아니며 2010년 2월 24일 트위터의 다이렉트 메시지(Direct Message)의 단축 URL(URL Shortening)을 이용해 피싱 웹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한 사례가 있다. 금일 발견된 트위터에서의 피싱 웹 사이트로 접속을 유도하는 방식은 기존과 동일하게 단축 URL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호기심을 가질만한 내용으로 위장하고 있다. 해당 트위터 메시지에 포함된 단축 URL을 클릭하게 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트위터 사용자 로그인 페이지와 유사한 웹 사이트로 연결된다. 그러나 실제 해당 웹 사이트는 트위터 사용자 로그인 페이지로 위장하여 트위터 사용자 계정와 로그인 암호를 수집하기 위해 정교하게 제작된 피싱 웹 페이지이다. 그리고 입력되는 사용자 계정과 로그인…
2012 예상 스마트폰 보안 위협 트렌드 발표 Posted By ASEC , 2012년 1월 5일 – 앱, OS 취약점 노린 악성코드 대량 유포, 좀비폰 본격 등장 예상 – 스마트폰 전용 백신, 공식 마켓 활용 등 사용자 주의 당부 글로벌 보안 기업인 안철수연구소[대표 김홍선, http://www.ahnlab.com, 약칭 ‘안랩’]는 5일 2011년에 발생했던 주요 스마트폰 악성코드 트렌드와 2012년에 예상되는 스마트폰 보안 위협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11년의 주요 이슈는 ▶과금형 악성코드 폭발적 증가 ▶유명 어플리케이션으로 위장한 악성코드 ▶사생활 침해형 애플리케이션 증가 ▶ 온라인뱅킹정보 노리는 악성코드 발생 등을 꼽았다. 또한, 2012년 한 해 예상되는 주요 스마트폰 보안이슈는 ▶ 애플리케이션, OS 취약점 등을 이용한 악성코드 대량 유포 가능성 ▶커널을 공격하는 루트킷 기능의 발전 ▶ 좀비폰 및 봇넷 본격적 활성화 ▶국내를 겨냥하는 모바일 악성코드 등장 등이다. 2012년 예상 스마트폰 보안 위협 1] 애플리케이션, 운영체제 취약점 등을 이용한 악성코드 대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