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jRAT

웹하드를 통해 유포 중인 HackHound IRC Bot

웹하드는 국내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공격자들이 사용하는 대표적인 악성코드 유포 플랫폼이다. ASEC 분석팀에서는 웹하드를 통해 유포되는 악성코드들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과거 다수의 블로그를 통해 정보를 공유한 바 있다. 일반적으로 공격자들은 성인 게임이나 사용 게임의 크랙 버전과 같은 불법 프로그램과 함께 악성코드를 유포한다. 이렇게 웹하드를 유포 경로로 사용하는 공격자들은 주로 njRAT이나 UdpRAT, DDoS IRC Bot과 같은 RAT 유형의 악성코드를 설치한다. 공격자들은 위에서 다룬 사례들처럼 주기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악성코드를 사용하고 있다. ASEC 분석팀에서는 최근 “HH IRC Bot”이라고 하는 DDoS 봇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는…

웹하드를 통해 유포 중인 njRAT

웹하드는 국내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공격자들이 사용하는 대표적인 악성코드 유포 플랫폼이다. ASEC 분석팀에서는 웹하드를 통해 유포되는 악성코드들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과거 다수의 블로그를 통해 정보를 공유한 바 있다. 최근에는 UdpRat이나 GoLang으로 개발된 DDoS IRC Bot 등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고 있지만, 과거에는 아래와 같이 njRAT이 다수의 공격에서 사용되어 왔다. ASEC 분석팀에서는 최근 웹하드를 통해 유포 중인 njRAT 악성코드를 확인하여 블로그에서 소개하려고 한다. 특정 웹하드에서 다음과 같이 성인 게임을 위장한 악성코드가 업로드되었다. 사용자는 위의 성인 게임을 다운로드 받고 압축 파일 “Goblin walker.zip”의 압축을…

웹하드와 토렌트를 통해 유포 중인 njRAT

njRAT 악성코드는 공격자의 명령을 받아 다양한 악성 행위를 수행할 수 있는 RAT 악성코드이다. 대표적으로 파일 다운로드 및 명령 실행, 키로깅 그리고 사용자 계정 정보 탈취와 같은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기 때문에 과거부터 꾸준히 공격자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에서 쉽게 빌더를 구할 수 있기 때문에 국내 사용자들을 대상으로도 다양한 형태로 유포 중이며, 대표적으로는 토렌트와 웹하드를 이용해 정상 프로그램으로 위장하여 유포하는 방식이 있다. 참고로 njRAT 악성코드에 대해서는 과거 ASEC 블로그에서도 다수 소개된 바 있으며 하단의 블로그 링크를 참고하자. njRAT 같은 이미 알려진…

디스코드를 이용해 불법 음란물과 함께 유포되는 악성코드

ASEC 분석팀에서는 최근 디스코드 메신저를 통해 RAT (Remote Administration Tool) 악성코드들이 유포 중인 것을 확인하였다. 현재 해당 악성코드들을 다운로드하는 다운로더 악성코드가 “야동 링크.exe”라는 이름으로 유포 중이며 이 악성코드가 실행될 경우 외부에서 RAT 악성코드들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한다. 디스코드(Discord)는 채팅 및 음성, 화상 통화를 지원하는 인스턴트 메신저 프로그램으로 국내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대표적인 인스턴트 메신저 중 하나이다. 음성 채팅과 같은 기능을 지원해 주기 때문에 주로 게임을 플레이할 때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외에도 친목과 같은 다양한 목적으로 많은 사용자들이 존재한다. 문제는 비공개적인 인스턴트…

파일 공유 사이트(성인물) 통해 유포 중인 Korat 백도어

지난 8월, ASEC 분석팀은 국내 웹하드를 통해 백도어 기능의 RAT 악성코드가 유포되고 있음을 소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유형의 악성코드는 이전과 동일한 방법으로 여전히 유포 중임을 확인하였다. https://asec.ahnlab.com/1369 웹하드나 토렌트를 이용하면 어느 누구나 원하는 자료를 쉽게 업로드하고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공격자는 이를 이용하여 자료가 공유되는 곳에 정상과 악성 프로그램을 동시에 업로드하여 일반 사용자들의 감염을 유도한다. 공유되는 자료는 대부분 성인 게임이나 온라인 게임 핵, 불법으로 정품 인증하는 프로그램 등 일반적으로 ‘불법’과 연관된 프로그램이다. 아래의 그림은 특정 파일공유 사이트를 통해 유포된 사례로 성인게임을…